본문 바로가기

정미소8

마을의 작은 정미소가 구하는 아시아, 아프리카의 쌀농사 - 맺음말을 대신해 맺음말을 대신해   '기술'이란 물질이 아니다사회관계를 무시한 '기술적 해결'이란 있을 수 없다  2차대전 패전 이후 많은 일본인은 이제부터는 세계 사람들의 평화적 발전을 위해 공헌하는 것이 그 살아가는 길이라 말하고, 해외 여러 나라의 사람들과 함께 발전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로 협력해 왔다. 선진국으로부터 도상국으로는 여러 가지 경제적 원조가 행해졌지만, 이윽고 "배고픈 자에게 주어야 할 것은 물고기가 아니라, 낚시 도구와 낚시 기술이다"라고 주창하며 "technology transfer"라는 것이 국제적으로 널리 강조되었다.이것을 일본에서는 '기술 이전'이라고 번역되었다. 기술이란 '전하고' '배우는' 것이지, 건물이나 물품처럼 한 지점에서 다른 장소로 '이동되'거나, 또는 사람에게서 사람으로 단순히.. 2025. 4. 1.
마을의 작은 정미소가 구하는 아시아, 아프리카의 쌀농사 -5장 5장   아시아, 아프리카의 쌀 증산과 농촌 정미소   농촌 정미소의 출현에 따른 인도네시아의 기적적인 쌀 증산 쌀농사로 농민이 얻는 이익은 매우 낮았다일찍이 인도네시아는 세계 최대의 쌀 수입국으로, 세계의 식량 안정 공급이란 측면에서 일대 불안 요인이었다. 그래서 1945년 독립 이후, 이 나라에서는 쌀의 증산이 지상명령이었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쌀 생산 증가의 발걸음은 더디기만 했다. 당시, 이 나라의 정미소는 화교의 소유·운영되는 소수의 상업 정미소밖에 없고, 그 총 정미 능력은 생산 나락의 10~20% 정도밖에 되지 않았다. 그렇다면 정미소가 신설·증설되어도 좋을 것 같지만, 거기에는 정부의 '허가'가 필요하고 그 허가를 얻을 수 있는 건 쌀의 집하·가공·판매·수입 등을 도맡아 하고 있는 화.. 2025. 3. 26.
마을의 작은 정미소가 구하는 아시아, 아프리카의 쌀농사 -4장 4장 농촌 정미소의 파급 효과   농촌 정미소는 그걸 쓰지 않는 농민에게도 도움이 된다 쌀농사 역사가 긴 아시아 여러 나라에서는 오늘날 농촌의 곳곳에 농촌 정미소가 있어서 농민이 널리 이용하고 있다. 아시아의 쌀농사 농민에게는 "나락으로 파는 건 손해, 백미로 만들어 팔면 돈벌이가 된다"는 것은 당연한 상식이 되고 있다. 그래서 그들의 대부분은 "가능하다면 나락으로가 아니라 백미로 만들어 팔고 싶다"고 염원한다. 그러나 빚에 쫓기고 있는 많은 소농민은 연간 수십 퍼센트에 이르는 고리의 빚을 서둘러 변제할 필요에 쫓기고 있기에, 나락 가격이 가장 싼 수확 직후의 시기에 손해를 감수하고 대부분의 나락을 그대로 집하업자에게 팔아 치울 수밖에 없는 일이 많다. 비록 나락 채로 팔더라도 그것을 좀 더 저장했다가 .. 2025. 3. 20.
마을의 작은 정미소가 구하는 아시아, 아프리카의 쌀농사 -3장 3장 영세 농민에게는 '농촌 정미소'가 구세주이다    쌀을 먹는 민족의 쌀농사 지역에는 농촌 정미소가 반드시 나타난다어느 지역에서 소규모 쌀농사가 시작되어 사람들이 쌀을 즐겨 먹기 시작하게 되어 그것이 일정 규모로 발달하면, 자연스레 '농촌 정미소'(또는 '삯방아 정미소')가 설립된다. 그 수는 시간과 함께 늘어나, 그 이용료(도정비, 삯방아 요금)도 저렴해지고, 기술 수준도 서비스도 점점 향상되어 나아간다. 그건 왜일까?쌀을 주요 식량으로 하는 쌀농사 농민은 나락을 생산하고, 그 대부분을 나락 채로 나락 집하업자에게 팔지만, 나락의 일부는 자가 소비용으로 떼어 놓고 그걸 백미로 만들어 가족의 소비에 충당한다. 그 자가 소비용 나락을 먹기 위해서는 왕겨를 제거하고 생긴 현미를 다시 찧어서, 어느 정도 .. 2025. 3. 18.
마을의 작은 정미소가 구하는 아시아, 아프리카의 쌀농사 -2장 2장 농민이 쌀농사에 열심이지 않다면 그럴 까닭이 있다  쌀이 벌이가 되는 작물이라면 생산은 금방 늘어난다일본에서는 1960년대 중반에 쌀 부족을 염려한 정부가 정부의 현미 매입 가격을 약 10% 인상했다. 당시, 쌀은 정부가 전면적으로 관리하여, 생산한 쌀은 정부에 의하여 전량 매입되었기에, 그 가격 인상은 그대로 농민의 소득 증대로 이어졌다. 쌀이 지금보다 훨씬 더 많은 돈벌이가 된다는 것을 안 농민은 논뿐만 아니라 밭에까지도 펌프를 설치해 물을 대고, 심지어 숲이 있는 땅이나 뽕나무밭의 뽕나무까지 뽑아내면서까지 벼를 심으며 온갖 수단으로 쌀농사에 광분했다. 그 결과, 쌀의 생산량은 금세 증가해 불과 몇 년 안에 지금까지의 쌀 부족에서 완전히 바뀌어 과잉이 되었다. 정부미 비축 창고에는 쌀이 넘치게 .. 2025. 3. 10.
마을의 작은 정미소가 구하는 아시아, 아프리카의 쌀농사 -1장 1장   일본에서만 행해지는 쌀농사 방법  세계에서 유일한 현미 유통-쌀의 증산과 품질 개선의 요인16~17세기 이후, 현재에 이르기까지 수백 년 동안 일본의 쌀농사 농가는 수확한 벼를 정선한 현미로 만들어 팔아 넘기고, 국내의 쌀 생산·유통·저장·수송 등은 모두 현미 형태로 행해졌다. 이는 '현미 유통'이라 부르고, 일본에서 '쌀의 양'이라 하면 주석이 없는 한 현미의 양으로 표시되어 있다. 물론, 소매나 소비의 단계에서는 소비자의 필요에 응하여 현미는 여러 정도의 '백미'가 된다(그림1).  그림1  벼이삭, 나락, 현미, 백미출전: 星川清親 『解剖図説イネの生長」 18쪽, 288쪽, 298쪽을 고침  쌀(현미나 백미)의 양은 현재에는 중량(정확히는 질량)으로 킬로그램이나 톤으로 표시되어 있지만, 이는.. 2025. 2. 2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