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작물89

흙, 흙, 흙. 흙을 공부합시다 흙에 대한 좋은 동영상 자료를 발견. 자막이 나오도록 할 수 있으니 영어를 읽을 수 있으면 더듬더듬 보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2016. 3. 24.
작물을 잘 키우는 비법 작물을 잘 키우려면 흙을 건강하게 잘 살려야 한다. 우리가 물과 비료를 주는 건 순간적이지만, 건강한 흙이 물과 양분, 공기를 붙들고 조절하는 건 지속적이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논어, 맹자에서 공자왈 맹자왈 하면서 수없이 들은 것처럼 지엽과 말단이 아니라 근본에 힘써야 한다. .. 2016. 3. 15.
풀과 작물은 다르다 아무것도 투입하지 않은 흙에서 풀이 싹트는 걸 가지고 이미 흙에 많은 게 있으니 작물을 재배하면서도 아무것도 넣지 않아도 된다고 설파하는 주장은 미심쩍다. 물론 그럴 수도 있지만, 꼭 그렇지만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풀 같은 경우는 땅속에서 몇 년이나 잠들어 있으면서 자신이 .. 2016. 3. 15.
C4 벼 프로젝트 대부분의 작물이 C3 광합성을 하는 식물이고, 대부분의 풀들이 C4 광합성을 하는 식물이라고 한다. 이 둘의 결정적 차이는 쉽게 이야기하자면(자세한 내용은 나도 잘 모르니 여기를 참조하시길... https://ko.wikipedia.org/wiki/C4_%EC%8B%9D%EB%AC%BC), 더 척박한 환경에서도 잘 자라느냐 아니냐라는 점.. 2015. 11. 10.
작물의 영양소는 예전보다 감소했는가? 토양의 악화와 작물의 영양소 감소 사이에 연관이 있느냐는 질문에 대한 답: 그보다는 다수확 품종으로 변화하면서 과거의 품종보다 영양소가 줄어들었을 수 있으며, 또 화학비료의 과다한 사용 같은 농법의 변화 때문일 수 있다고 함.http://www.nytimes.com/2015/09/15/science/a-decline-in-the-nutritional.. 2015. 9. 15.
가뭄을 이기는 한 방법 우리가 옷을 발가벗고 맨몸으로 햇빛과 공기 중에 그대로 노출되어 있다면 어떻게 되겠는가? 당연히 추위와 더위를 더 느끼고, 피부는 건조해질 것이다. 흙도 마찬가지이다. 흙을 우리의 피부라고 생각해 보자. 흙이 햇빛과 공기 중에 그대로 드러나 있다면 어떨까? 당연히 더 뜨겁거나 .. 2015. 1. 2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