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아프리카56

벼농사와 디아스포라 <검은 쌀>이란 책이 있습니다. 아프리카 대륙에서 아메리카 대륙으로 강제로 끌려온 흑인 노예들과 함께 볍씨가 건너와 재배된 이야기입니다. http://www.hup.harvard.edu/catalog.php… 이와 비슷한 내용을 다루는 책으로, <깊은 뿌리: 서아프리카와 아프리카 디아스포라의 벼농사>도 매우 .. 2017. 5. 11.
음식 문화는 변하는 거야 흥미로운 식생활의 변화. 아프리카 대륙의 사람들은 아시아 대륙의 사람들처럼 쌀 소비가 늘고 있는 한편, 아시아 대륙의 사람들은 서구인들처럼 밀의 소비가 급증하고 있단다. 음식 문화는 변하는 것이야. 그런데 그 음식이 재배되는 환경은 크게 변화하지 않으니 국제무역에 의존하는 .. 2017. 4. 3.
유전자변형 작물은 영양부족 문제를 해결할까? 일각에서는 빈곤층의 아이들이 영양부족에 시달리는 것을 막아야 한다는 뜻으로 골든라이스라는 유전자변형 벼를 홍보하는 사람들이 있다. 그리고 또 다른 쪽에선, 그건 유전자변형 작물을 퍼뜨리려는 숨은 의도일 뿐이지 그러한 방식은 진정한 해결책이 아니라고 비판한다.무엇이 정.. 2017. 3. 12.
아프리카로 건너간 멸강충 2016년 1월, 아메리카 대륙에 살던 조밤나방이 아프리카 대륙으로 건너간 것이 최초로 발견되었다. https://theconversation.com/why-its-hard-to-control-the-fall-armyworm-in-southern-africa-72890 이놈의 애벌레는 멸강충(나라를 망하게 하는 벌레)이라 불릴 정도로 작물에 해를 끼치는데, 특히 옥수수 같은 작물.. 2017. 2. 17.
케냐의 생태농업 그린피스에서 제작했는데 내용이 참 좋습니다. 시리즈가 모두 괜찮네요. 유투브에서 검색해서 나머지도 찾아보세요. 2015. 10. 23.
2015년 국제 농생태학 포럼의 선언 2015년 2월 27일, 말리의 닐레니(Nyéléni)에서 2015년 농생태학 국제 포럼이 열렸다. 이미 2007년 2월에도 식량주권을 주제로 포럼이 열린 적이 있는데, 다시 8년 뒤 같은 장소에서 농생태학 관련 포럼이 개최된 것이다. 당시 닐레니 선언이 발표되었는데, 여기서 전문을 다시 한번 읽어보.. 2015. 3. 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