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728x90
728x90

베티브를 먹는 염소



베티브(Vetiver, http://goo.gl/qYp7C)는 흙과 물을 보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 풀이 깊게 내리는 뿌리는 가뭄이나 홍수, 폭염과 서리 같은 극한의 기후에도 견디는 힘이 있다. 또한 광범위한 토양 산도를 견디고, 중금속을 제거하는 역할도 한다. 그러나 그늘지는 것은 못 견딘다. 

Egerton 대학에서 강의하는 James Owino 박사는 건조한 지역이 세계 대륙의 1/4을 차지하고, 건조/반건조 지역의 70%가 심각한 사막화를 겪고 있다고 추정한다. 케냐 인구의 33% 이상이 그러한 지역에서 살고 있다. 베티브의 줄기(길거나 짧은)와 뿌리줄기(지표면 아래의 가느다란)는 가뭄에 강하다는 특징이 있다. 

“베티브는 숲을 조성하는 프로그램을 지원하는 데 쓰일 수 있다. 비탈땅에 심으면, 강인한 줄기가 좁은 틈으로 뻗어서 토양이 손실되는 것과 물에 쓸려가는 걸 줄여준다. 그 풀은 가축에게 사료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사막화를 막는 데 도움이 되는 효율적 도구인 식물다양성을 촉진하기도 한다. 그것의 질긴 뿌리는 흙이 갈라지고 구멍이 나는 걸 견딜 수 있도록 묶어줄 수도 있다. 뿌리가 아래쪽으로 뻗어서 옆에서 자라는 작물과 경쟁하지도 않는다”고 Owino 박사가 관찰했다.

현재 케냐에서 베트브 프로젝트가 주로 동쪽과 서쪽 지역의 Rift 계곡, 나이로비, Nyanza 같은 바닷가에서 진행되고 있다.


베티브를 기르는 방법

베트브는 덤불을 이루며 자란다. 땅이 젖기 시작하는 우기 동안 심기를 권장한다. 


재배

  • 베티브 덤불을 채취한다.
  • 15cm 정도로 뿌리를 자른다.
  • 6cm 정도로 잎을 자른다. 
  • 덤불을 개개의 뿌리로 나눈다. 
  • 45cm 정도의 간격으로 심는다. 
  • 적당히 물을 주고 마른 풀로 덮어준다.
  • 초기에는 풀을 잘 잡아준다.
  • 포기를 나눠 다시 심으면 빠르게 증식할 수 있다. 
  • 꽃이 피기 전에 순을 지른다. 


베티브의 활용

  • 뿌리를 말려서 비누나 향수를 만들 수 있다. 
  • 베티브는 흙을 정화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태국에서 베티브는 양배추 재배에 사용된 carbofuran, monocrotophos, anachlor 같은 농약을 해독하는 데 쓰여 흙과 작물을 오염시키고 축적되는 걸 막는다. 호주 퀸즈랜드의 파인애풀 농장에서는 강바닥을 정화하는 데 쓰인다. 
  • 베티브는 병해충과 풀을 억제한다; 그 뿌리가 나방을 유인하여 털이 많은 뿌리에 알을 낳게 하고, 그것이 유충이 잎으로 이동하는 걸 막는다. 
  • 전통적으로 아시아 대륙에서는 약으로 활용되었다. 일반적으로 화장품과 방향제 같은 수공예품과 지붕을 이는 재료로 쓰였다. 


사례 연구: Paul Mwadime의 베티브 농장 


Mwadime 씨가 농사짓는 Voi에 있는 vetiver 농장
Paul Mwadime 씨는 10년 이상 케냐의 Taita Taveta County에 있는 Voi의 고향에서 베티브를 재배해 왔다. 그는 여러 번 도전하며 열심히 그 풀을 재배하여 환경보전을 촉진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내가 베티브를 재배하기 시작했을 때, 지역의 농민들 가운데 아무도 그것에 대해 몰랐다. 내가 네이피어그라스를 심으며 노력했지만 그게 토양침식을 막는 데에는 효과적이지 않다는 것을 깨달았다. 오랜 시간이 걸리는 지역의 나무를 추천받았지만, 우리 공동체는 빠르게 토지를 재건할 해결책을 필요로 했다”고 Mwadime 씨는 말했다.

Mwadime 씨는 토지를 빌려서 공동체에 베티브에 대해 가르칠 모종을 가꾸기 시작했다. 몇몇 마을 사람들이 그 사업에 의구심을 표했지만, 그들과 몇 번의 토론회를 겪은 뒤 참여한 일부 사람들이 현재 가장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 


성공

Mwadime 씨는 국립 환경관리기관(National Environmental Management Authority)과 유럽연합을 포함한 다양한 조직과 협력하고 있다. “2011년, 나는 케냐에서 베티브 재배기술을 퍼뜨리려고 노력하여 Vetiver 네트워크에서 그 기술의 우수성을 인정받아 증명서를 받았다. 올해 Mashujaa 국경일 동안, 나는 환경 영웅으로 초청을 받았다. 최근 나는 Kajiado에 있는 비영리단체에게 1747달러어치의 베티브를 팔았다.”

그의 고향에 있는 대부분의 토지가 회복되면서 수확량이 엄청나게 개선되었다. 그는 그의 마을이 Wundanyi 강처럼 강기슭을 안정화시키도록 도왔다. “몇몇 농민들은 현재 다른 작물 옆에 베티브를 재배하고 있다. 일부는 물고기 양식업에 도전했는데, 그 웅덩이를 안정화시키는 데에 베티브가 쓸모있다.”

정부와 다양한 투자자들이 참가한다면, 특히 건조 지역에 있는 마을의 베티브 재배는 사막화를 억제하는 데 큰 영향을 미칠 것이다. 

Mwadime 씨는 그의 이메일을 통해 연락할 수 있다l: mwadimekombo1@yahoo.com 

그의 핸드폰: +254734835029/ +254724783690.

More Readings from:

http://www.vetiver.org/USA_Yolo%20Agric.htm

http://www.vetiver.com/ICV3-Proceedings/AUS_California.pdf

http://www.vetiver.org/Kenya_WS_report.pdf

Fiona Imbali

Fiona Imbali is the Communications Officer at ALIN. She can be reached through: fimbali@alin.net


728x90
728x90

The number of people who go hungry in Africa’s poorest countries is growing despite advances in food production, say Oxfam researchers who urge European donors and African governments to invest more in small farms and give rural people a bigger stake in decision-making.

A new report by the global anti-poverty group says more than 230 million people – or one-in-four Africans living south of the Sahara – are undernourished, up 38% from 20 years ago.

Though Oxfam cites big improvements in food availability and nutritional health in many African countries, it says access to land and underinvestment in the farm sector keep too many people in grinding poverty.

The findings are largely supported by international organisations concerned about food security on the rapidly growing continent. The European Commission’s research arm, for example, will soon publish an atlas that shows land and soil degradation pose a threat to food production in Africa.

“More prominence should be given to the agricultural sector because that’s where the majority of the people live and that’s where the majority of the people get their income,” said Ricardo Fuentes-Nieva, who heads Oxfam’s research team in Britain. “And once you improve their income, they will also improve their food security situation.”

Fuentes-Nieva contends Africa can produce the food it needs to reduce hunger and improve nutrition, if the farm sector gets the right help through national and international policies.

Getting to market

But studies show that underinvestment in research, training, irrigation and storage hinder farm productivity in the African sub-continent. Poor roads mean farmers can’t get goods to markets, undermining the fight against hunger and the livelihoods of growers.

Just 4.9% of the overall €100 billion in global development aid went to support agricultural production in 2011, according to the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The UN’s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FAO), in a report released last month,called for ramping up agricultural investment in developing nations to provide jobs and feed a sub-Saharan population that is forecast to grow from 860 million today to nearly 2 billion by 2050.

The FAO points out that average global farm production has declined since the 1960s and that threats to land quality and freshwater could further erase gains in food output.

Some 850 million of the world’s 7 billion people are classified as hungry, UN figures show. In the African sub-continent, 31% of people are considered malnourished, up from 29% at the start of the century.

EU researchers examine soil threats

Researchers at the European Commission Joint Research Centre (JRC) say that land degradation in sub-Saharan Africa hurts the region’s ability to feed its growing population. The JRC is preparing a soil atlas – similar to one already published on Europe - to help shed light on land productivity challenges.

Though Africa is rich in ecosystem diversity, only about 10% of the continent has naturally fertile soils for growing food crops but poor management practices threaten even those areas.

“Soil and land are absolutely fundamental to food to food security, to well-being, to poverty-reduction and all the rest of th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aid Alan Belward of the JRC’s Institute for Environment and Sustainability in Ispra, Italy.

It is not just an African problem but Europe is losing productive land to sprawl. “We’re taking really good productive soils and then were putting a car park on them, or a new road or a new housing estate. That’s not treating it [the land] properly,” said Belward, who part of the team producing the African soil atlas.

His colleague Arwyn Jones, another JRC researcher, said erosion, poor farming methods, land clearance and declining forest land in Africa are leading “to the soil being washed away, pollution [and] buildup of salts in irrigated land.”

Exporting opportunity

Meanwhile, researchers fear that more and more African land is being shifted fromcultivation for local consumption to production for export crops.

Investors from the Middle East, Asia and Europe are tapping Africa’s cheap land and labour to supplement their own commodity production while giving governments of poor nations lucrative export revenue. The EU alone imports 40% of sub-Saharan Africa’s agricultural exports

The Oakland Institute, a think tank in California, estimates that African land equal to the size of France has been leased or sold to foreign governments or investors since 2008 for commodity and biofuel exports. It warns that “displacement and affected livelihoods are becoming serious sources of international concern.”

Some African governments that banked on investors to create jobs and revenue have acknowledged that the land deals have hurt small farmers, by driving them off productive land or sapping their water supplies. Starting this month, Tanzania scaled back the amount of land foreign investors can lease, and several other African governments are reviewing their agricultural leasing policies.

Fuentes-Nieva, who is preparing a forthcoming Oxfam report on the so-called land-grabbing by foreigners, said weak governance in Africa is partly to blame for the land leases and inadequate investment in agriculture, despite the prominence farming plays in rural employment and economic growth.

“The long-term trend was one of neglect of the agricultural sector and the explanation that we found – and it’s kind of an old explanation but it still rings true – is that national governments were responding to the interests of urban groups which were the ones that were closer to the government, the ones that had a voice with the government,” Fuentes-Nieva said.

“And the rural sector was basically not being represented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POSITIONS: 

Among the conclusions of the UN Conference on Sustainable Development in June 2012 were that “soid and land are so fundamentally important to sustainable development that we want to strive for a land-degradation neutral world," said Alan Belward of the European Commission's Joint Research Centre.

"But that incapsulates the fact that soil and land are absolutely fundamental to food to food security, to well-being, to poverty-reduction and all the rest of th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And we fully support that point of view and we are absolutely convinced that soil and land are poorly recognised.”

728x90
728x90



728x90

'곳간 > 사진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성, 원구단  (0) 2013.01.06
음식쓰레기에 대한 모든 것  (0) 2012.12.31
2012년 미국의 산불 발생 현황  (0) 2012.12.12
월마트와 식량체계  (0) 2012.12.07
연간 1인당 식품섭취량  (0) 2012.12.01
728x90

Office Du Niger의 논을 방문


최근 말리와 세네갈로 다녀온 식량주권 투어에서 명백한 한 가지: 서아프리카 농민과 소농만의 전쟁이 아니다 —그들은 싸움으로 돌아오고 있다. 세네갈 다카르에서 열린 World Social 포럼에서 광범위한 농민과 비영리단체 연합은 Dakar Appeal Against Land Grabs을 발표했다. 우리의 투어에서 식량주권을 확대하고 토지수탈에 저항하는 농민단체와 조직을 만났다.



지역의 벼농사 농부와 이야기



2008년 식량가격이 치솟은 여파로, 상승한 곡물가격에 싼 땅값으로 뜻밖의 이윤을 안겨줄 수 있는 아프리카의 농지에 투자자들의 관심이 높아졌다. 2008년 이후 여러 건의 토지수탈이, 부드럽게 말하여 “외국인의 토지취득”이 가속화되었다: 프랑스, 남아프리카, 중국, 한국, 리비아의 기업들은 수천, 수만 평의 주요 농지를 사들였다. 그 면적은 말리에서만 약 7억에서 18억 평으로 추산된다.  물론 아프리카에서 일어나는 토지수탈이란 현상은 새로운 일도 아니고, “진보”라는 이름으로 정당화될 일도 아니다. 게다가 새로운 토지수탈은 "개발"이라는, 역설적으로 "식량안보"라는 이름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2008년 식량가격 위기를 이은 도시의 “식량폭동”이 이러한 공격을 위한 여러 긴급정책으로 무대를 만들었다. 가장 먼저 민주적 정통성이 부족한 여러 국가 —최근의 튀니지, 이집트, 리비아에서 보듯이— 더 깊은 불만이 담겨 있는 빵값에 대한 시위를 두려워했다. 권력을 잃을 것에 대한 두려움으로 그들은 특히 도시에서 식량가격을 빨리 떨어뜨려야 했다.



말리의 쌀푸대



그러면 어떻게 하면 빠르게 식량가격을 떨어뜨리겠는가? 간단하다! 첫째, 수출을 막아 해외로 나가는 식량을 막으면 된다. 둘째, 수입에 대한 규제를 풀어 더 많은 식량이 국내로 들어오도록 조장하면 된다. 볼리비아부터 나이지리아까지 여러 나라에서 이러한 두 가지 방법을 사용하여 적어도 오랜 격변이 일어나는 걸 막을 만큼 충분히 빠르게 소비자가격을 안정화시켰다. 그러나 농촌 지역에서 식량을 생산하는 농민은 매우 위태로워졌다.

자신이 소비하는 쌀의 대부분을 생산하는 국가인 말리에서, 정부는 2008년 식량가격 상승에 매우 놀라서 아직도 그때의 긴급조치를 유지하고 있다: 말리산 쌀의 수출을 금지하고 외국산 쌀에 대한 관세를 중단한다. 외국인 기부자의 도움과 함께 하이브리드 종자와 화학투입재(주로 화학비료와 제초제)를 사용하여 쌀 생산을 증가시키고자 압력을 가한다. 사실 말리의 쌀 생산은 2009~2010년 13% 증가했다. 이 "위기관리" 정책의 결과는 무엇인가? 값싼 아시아산 쌀이 범람하고, 말리의 벼농사 농민이 생산한 잉여분은 팔 수 없게 되었다.



말리 Office du Niger의 벼농사 농부의 조합 Sexagon




Niono 마을에서 만난 말리 벼농사 농민단체 Sexagon의 대표에 따르면, 현재 이전 해부터 잉여분의 쌀이 35만 톤까지 불어났다고 한다. 과거에는 모리타니아로 그들이 생산한 쌀을 수출했는데 그것이 금지되고 값싼 태국과 일본의 쌀이 들어오면서 농민들은 국내에 낮은 가격에 쌀을 팔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그 결과 그들은 대출을 갚지 못하여 부채를 떠안게 되었다. 그들의 신용도는 위험에 처해 있고, 그들의 가장 중요한 자산은 "땅"이다. Office du Niger —말리 시장에 낼 벼를 기르는 소농들의 지역— 의 벼농사 농민들은 관개를 하는 데 수세를 내는데, 그걸 지불할 능력이 없으면 그들은 쫓겨나게 된다.



Sexagon 농민과의 면담



그런데 이 지역에서 관개를 하지 않는 농민들은 더 큰 위험에 처해 있다. 말하자면 그들의 땅이 "미개발지"로 간주되어서 '수탈될' 상황이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2009년의 토지 거래로 리비아 정부에 3억 평이 넘어갔다. "Malibya 프로젝트"로 알려진 이 사업은 Ségou 지역에서 미개발지를 관개가 가능한 논으로 "개발"하겠다고 약속했다. 지금까지 쫓겨난 사람들이 얼마인지 명확하지 않다 —첫 번째 수탈로 57가족농이 쫓겨났다. 그들의 땅이 "미개발지"로 분류되었지만, 이 가족농들은 집에서 먹고 지역에서 소비하는 옥수수, 조, 카사바, 과실수, 채소 등을 재배하며 살아왔다. 그러한 작물들이 지금 대규모 단작으로 재배되는 하이브리드 벼로 대체될 예정이다. 생물다양성의 상실만 보더라도 엄청날 것이다. 



Ségou 지역의 Malibya 홍보 입간판




Malibya 프로젝트로 쫓겨난 가족 가운데 일부는 그들의 집과 나무에 대한 보상금을 받았지만, 대부분은 그것마저 받지 못했다. 그리고 땅 자체에 대해서 아무런 보상도 받지 못했고, 계속 농사지을 새로운 땅도 받지 못했다. Sexagon —관개 논에서 벼를 생산하는 소농을 대표하는— 은 관개할 수 있는 땅은 가장 먼저 말리의 국내 소비에 쓰일 식량을 생산하는 말리 농민에게 주어져야지 외국계 기업이나 정부에 분배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한다. Office du Niger 농장에서 몇 천 평을 경작하는 소농은 거의 생존하기가 힘들다.


또 다른 사례로, Sanamadougou 마을의 농민들에게서 6000만 평을 수용해 국영기업인 GDCM(Large Cereals Distributor of Mali)에게 부여했다. 이 토지 거래 —기업의 CEO Modibo Keita 씨의 이름을 따 "Modibo 프로젝트"라 이름을 붙임— 는 Office du Niger이 승인했다. 2010년 10월에 공사를 시작하길 바라여, Keita 씨는 마을사람들이 땅을 비우는 대가로 모두에게 축구공과 티셔츠부터 새로운 학교까지 제공했다. 그들의 거부에도 Keita 씨는 땅을 밀어버리기 시작하고 자신의 새로운 운하를 팠다 —그러면서 나온 흙더미는 근처 농민의 조밭에 퍼부었다. 마을사람들이 시위하자, Keita 씨는 수백 명의 경찰을 데려와 강제로 그들을 해산시켰다. 91세의 노인이 손가락이 부러진 것을 포함하여 수십 명이 다쳤다. 5개월 된 임산부도 얻어맞은 결과 아이를 유산했다: 그녀는 “모두 도망갔어요. 하지만 난 아무 잘못이 없었기에 도망가지 않았어요.”라고 말한다.

2003년, Keita 씨는 대규모 밀 생산을 위해 땅을 취득함으로써 자신의 사업을 "수직적으로 통합시킬" 명백한 의도를 가지고 밀어버리는 일을 확대하고자 미국 국제개발처USAID와 세계은행에서 자금을 지원받았다. 2003년 USAID의 보고서에서는 “2000만 달러를 초과하는 총 순자산에도 GDCM라는 기업은 Modibo Keita 사업주 일가에 의해 경영된다.”고 했다




말리의 작물다양성 전시회



위협과 탄압에도 2010년 11월 전국 각지의 농민들이 말리 Kolongo에 모여 공개적으로 토지수탈을 비판했다. 그들은 공동방안도 발표했다: 토지 강탈과 인권유린 사례를 조사하고 문서화하라; 국내와 해외에 토지수탈에 대한 정보를 널리 알려라; 대법원과 국제법원에 토지와 인권을 보호하기 위한 법적 조치를 강구하라. 서아프리카 전역의 비영리단체와 농민조직과의 강력한 연대도 구축되었다. 상부단체인 COPAGEN —아프리카 유전자원의 보호를 위한 연합— 과 함께 그들은 운동의 구호를 큰 소리로 외쳤다: 내 땅을 건드리지 마라, 그것은 나의 삶이다! (Touches-pas a ma terre, c’est ma vie!).



World Social 포럼: 서아프리카의 토지수탈 세션



이러한 토지수탈은 단지 부패한 관리와 탐욕스런 지도층의 작품이 아니다. 말리 농민연합(CNOP)의 Ibrahima Coulibaly 대표는 오히려 신자유주의의 개발 모델에 정면으로 맞서야 한다고 주장한다: “농민과 소농이 자신의 인구를 먹여 살릴 수 없다는 주장이 있다.” 세계은행과 아프리카의 새로운 녹색혁명을 위한 연합과 같은 집단의 대규모 개발 노력은 이러한 주장을 강화시킨다. 이러한 이유로 2011년 2월 World Social 포럼에서 발표된 “Dakar Appeal Against Land Grabs”은 모든 곳의 개인과 시민사회단체에 호소한다:

가능한 모든 수단(인맥, 언론, 법, 재정, 대중)으로 토지수탈에 맞서 싸우는 이들을 지원하고 인권에 대한 의무를 이행하도록 각국 정부와 국제기관에 압력을 행사하자.



http://www.foodsovereigntytours.org/2011/03/west-africa-report-part-i-don%E2%80%99t-touch-my-land-peasant-resistance-to-land-grabs-in-mali/

728x90
728x90


왜아프리카는식량수입국이되었는가.pdf



2011년 FAO에서 발간한 보고서.

아프리카에 만연한 식량문제의 원인을 살필 수 있는 한 자료.


왜아프리카는식량수입국이되었는가.pdf
2.15MB
728x90
728x90



728x90
728x90









728x90
728x90



August 07, 2012

It wasn’t too long ago that India’s food security needs depended on what was known as a “ship to mouth” existence: In the decades following independence, the Indian government depended on large shipments of wheat and other food grains, largely from the US, to feed its starving millions. Intellectuals of the period such as the Paddock brothers (authors of the book Famine 1975! American’s Decision: Who Will Survive?) and Paul Ehrlich (author of The Population Bomb) predicted mass starvation in India due to lack of agriculture productivity gains to keep up with an ever increasing population rate.  A number of Indian farmers, entrepreneurs, and policymakers vowed to overcome this expected catastrophe and were fortunate enough to have willing partners in private foundations, humanitarianNorman Borlaug, and two devoted and passionate Indian men in particular: plant geneticist M S Swaminathan and then Union Minister for Agriculture, C Subramanian. What started as a strong desire to change the status quo in agriculture resulted in a revolution that changed the country forever. And as Africa deals with its own catastrophic droughts and resulting famine, and its response, I can’t help but think about my country and experiences growing up the grandson of a small farmer in India.  

The revolution in response to the growing mass starvation is now known as ‘the Green Revolution’ in India. It involved a combination of better seeds and improved management, facilitated by the effective policies to dramatically raise yields and made the country self-sufficient in food production.  It was a partnership led by the Ford and Rockefeller Foundations and the efforts of Borlaug, Swaminathan, and Subramanian – the latter being instrumental in changing the policy environment – that helped make India resilient and food secure. 

But the true heroes of the Green Revolution were the millions of small-holders who sustained it.  My grandfather is one of them.  He was eager to contribute to this national mission and mitigate the risks of farming.  To do so, he started a seed company that would research, multiply, and distribute high quality, high yielding seeds to ensure higher food production in the farms around our village, Jalna, and beyond. I fondly remember that the dinner table at home often served as a showcase for the different varieties of improved vegetables and crops produced through these efforts.

Growing up in Jalna myself, I was exposed to the numerous risks faced by farmers and continued to be impressed with their resilience. But, I never understood why Africa was left behind by the Green Revolution, and I wanted to learn how we could achieve the same results in a more sustainable, environmentally friendly, manner. That was a strong motivation for me to spend my summer as an intern at the Bill & Melinda Gates Foundation on the Agriculture Development team, which strives to emulate the efforts of the Ford and Rockefeller Foundation’s earlier work in Asia and Latin America.

During my time at the foundation, I’ve learned that farmers in Africa aren’t different from farmers elsewhere. They are as active, innovative, and perseverant – if not more – than their global counterparts.  They do, however, face greater hurdles in the form of drought, poor quality inputs and underdeveloped markets– but perhaps most importantly in the form of un-friendly government policies on agriculture.  The sector is highly taxed and, on average, receives less than 10 percent of budget allocation, despite the fact that it employs roughly half or more of the work-force.

Alliance for a Green Revolution in Africa (AGRA) is one vehicle through which the foundation is trying to improve small-holder agricultural productivity in Africa in a sustainable manner. It is an impressive model supported in partnership with the Rockefeller Foundation, and led by Africans. I experienced AGRA’s efforts first hand at the Foundation Seed Tour in Champaign, Illinois. The tour was organized to introduce representatives of the African agriculture community to the policy environment, commercial seed sector, and agriculture university system of America so that they could then transfer any learning, where relevant, to their countries in Africa.  

Interacting with AGRA’s partners from Nigeria, Ethiopia, and Tanzania remind me of my grandfather’s stories about how similar Rockefeller Foundation sponsored tours had served as a source of inspiration and technical expertise when he set out to start his company. Such interactions can go a long way to unleashing a new sustainable Green Revolution in Africa that can lead to more resilience and food security – not only in Africa, but also globally.  The time to act, however, is now. As the world continues to struggle to feed a growing population, we must take some of the lessons learned from India and ensure that Africa is able to address its own hunger and poverty as well.

http://www.impatientoptimists.org/Posts/2012/08/What-Africa-Can-Learn-from-Indias-quotGreen-Revolutionquot

728x90
728x90


아프리카토지수탈.pdf


아프리카토지수탈.pdf
1.8MB
728x90

'곳간 > 문서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 농업 성장사  (0) 2012.07.11
건강한 먹을거리와 농업정책을 향하여  (0) 2012.07.11
농생태학과 고취: 아시아에서 혁신  (0) 2012.07.11
옥수수의 세계 2010년  (0) 2012.07.11
벼의 진화  (0) 2012.07.1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