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아프리카56 식량주권을 위한 토종 씨앗 2014. 1. 2. 몬산토가 기후변화로 돈을 버는 5가지 방법 며칠 전, 몬산토에서 한화로 1조 원을 들여 기후 관련 빅데이터 업체를 인수했다는 뉴스가 떴다. 역시나 몬산토. 앞으로 무엇이 돈이 될지 잘 알고 과감히 투자하고 있다. 내가 만약 주식놀이를 했다면 돌아보지 않고 몬산토의 주식을 사들였을 것이다. 그만큼 탄탄하고, 앞으로 20년은 흔.. 2013. 10. 11. 빌 클린턴이 말하는 세계의 농업 '빌' 게이츠만이 아니라 '빌' 클린턴도 재단을 만들어 농업과 관련된 사업을 펼치고 있다는 사실... 그러고 보니 둘 다 '빌'이구나. 미국인들은 참 경제를 중요시하는 것 같다. 합법적으로 경제적인 이득을 얻는 일이면 무엇이든 용서가 되는 것 같다고나 할까. 대통령 선거도 곧 경제 선거.. 2013. 9. 25. 유전자변형 식품을 막으려는 가나의 활동가들 과거 한국을 위시한 개발도상국들이 농업의 산업화와 경제성장을 위해 녹색혁명이란 길을 선택했다. 이를 통해 하이브리드 종자, 농약, 화학비료, 농기계가 도입되었고, 결국 엄청나게 생산성을 높이면서 산업화, 경제성장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었다. 이제는 아프리카 대륙을 비롯한 동.. 2013. 8. 8. 실험실에서 만든 고기가 아프리카의 식량을 보장하지 못한다 앞으로 어떤 미래를 열어줄지 모르지만, 한마디로 엉뚱한 곳에 돈을 쏟아붓고 있다는 생각을 지울 수 없다. 여기에 투자할 돈을 아프리카 농민들이 직접적으로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사업에 투자하면 어떨까? 특히 소농과 생태농업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단체와 개인들에게 말이다. 여기.. 2013. 8. 7. 설탕, 그 달콤하지 않은 이야기 요즘 음식은 달아도 너무 달다. 어째 이렇게 달기만 한 것인지 놀라울 정도로 달다. 불고기도 달고, 음료수도 달고, 온통 단맛 투성이다. 단맛이 나지 않는 걸 찾아보기 힘들 정도로 사람들은 단맛에 익숙해져 있고, 이제는 달지 않으면 맛이 없다고 생각할 지경이 되었다. 심지어 과일도 .. 2013. 7. 29. 이전 1 2 3 4 5 6 7 ··· 10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