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43

잃어버린 둠벙을 찾아서 둠벙이란 단어를 처음 들었던 것은 6~7년 전쯤이었다. 논에 붙어 있거나 논 안의 한 귀퉁이에 있는 웅덩이에서 물고기나 개구리를 잡아서 먹었던 기억 속에서나 존재하던 것이 비로소 제 이름을 얻는 순간이었다. 나중에 알고 보니 지역마다 덤벙(경북), 둠뱅·툼벙(전남), 둠벙(경기, 충청.. 2013. 6. 27.
파스타의 기원은 어디인가? 전설에 따르면, 시칠리아를 정복한 아랍인 아사드 이븐 알푸라트Asad ibn al-Furat가 827년 섬의 남쪽 해안에 정박한 뒤 처음으로 내린 명령이 그의 병사들을 위한 음식을 조달하라는 것이었다. 아사드의 요리사는 서둘러 지역의 자원을 조사하여, 항구에서 정어리를 잡고 주변 구릉에서는 야.. 2013. 5. 2.
일제강점기 쌀 생산량과 인구 1914년부터 1933년도까지의 쌀생산과 관련한 당시 일본인의 논문이 있어 그 논문에서의 그 자료를 가져왔습니다. 년도 쌀생산량 (만석) 단보당 생산량(석) 일본반출량 (만석) 반출율 조선내 쌀소비량(만석) 1인당 연간 쌀소비량(석) 일본 조선 1914 1,413 0.952 114 8% 1,299 0.98 0.69 1915 1,285 0.858 221 17%.. 2013. 1. 25.
적은 물로 더 많은 벼를 아시아 지역은 계절풍 기후로 말미암아 그에 잘 적응하여 자랄 수 있는 벼라는 작물을 선택하여 주곡으로 먹었다. 이 벼는 고온다습한 기후조건을 좋아하는 식물로서 아시아 지역에 아주 알맞은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 몇 년 전부터 이 벼를 기르는 방법 가운데 물 사용에 대해서 다.. 2012. 3. 28.
쌀을 위한 경쟁 기사를 통해 베트남, 특히 메콩강 삼각주의 벼농사를 엿볼 수 있다. 또 Syngenta와 같은 다국적 농기업이 어떻게 베트남의 소농의 삶에 스며들어가는지 살펴볼 수 있다. 씨앗부터 농약, 비료까지 일체로 이루어진 패키지 상품과 교육! 그리고 2008년 식량위기 이후 아프리카는 전략 작물로 벼의 생산량을 .. 2011. 2. 10.
마트에서 파는 다양한 쌀들 잡곡이 인기는 인기인가 봅니다. 정말 다양한 잡곡을 팔고 있더군요. 메밀도 벗겨서 쌀로 팔고... 검은보리쌀도 있더군요. 수수와 조는 전부터 있던 거지만 검정쌀도 현미로 팔고, 통밀에 귀리까지 팝니다. 마지막으로 콩나물콩도 두 종류를 팔고 있네요. 모두 함양농협에서 생산한 것인데, 한 번 함양.. 2010. 8. 2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