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농81 자유무역의 빛과 그림자 아래 기사에 들어가면 NAFTA 라는 국가간 자유무역협정으로 멕시코와 미국의 농업이 어떻게 변화했는지 볼 수 있다. 한마디로 멕시코는 미국의 저렴한 식량생산기지로 전락하고, 미국은 그를 위해 원재료를 공급하는 대규모 단작식 농업의 함정에 빠지게 되었다. 그 과정에서 멕시코의 소.. 2017. 8. 10. 소농의 기본권인 종자권 씨앗이 없으면 농업도 없다.[1 파종과 수확을 위한 종자 또는 기타 식물의 생식기관(식물체, 삽수, 접수, 구근, 덩이줄기 같은)] 농경이 시작되고 1만 년에 걸쳐[2 프랑스 농업부: http://agriculture.gouv.fr/histoire/2_histoire/index_histoire_agriculture.htm], 농민은 자신의 수확물에서 구애를 받지 않고 이듬.. 2017. 6. 20. 소농이 떠오르고 있다 일본은 우리보다 몇 걸음 더 앞에 가고 있다는 새삼 느낀다. 지난해 캐나다에서 소규모 유기농업으로 먹고사는 농민의 이야기가 출간된 적이 있는데(이건 이미 발빠른 한국의 어느 출판사에서 판권을 사갔다고 하더라) https://www.amazon.com/gp/aw/d/0865717656/ref=mp_s_a_1_1… 일본에선 이런 책도 나.. 2017. 5. 24. 농업 경관의 다양성과 중소농의 중요성 예전에 갈무리해 놓은 이 논문을 다시 살펴보았다. http://www.thelancet.com/pdfs/journals/lanplh/PIIS2542-5196(17)30007-4.pdf Farming and the geography of nutrient production for human use.pdf 결론 부분을 한국어로 옮기면 다음과 같다."세계적으로 중소농(50헥타르 이하)이 이 논문에서 조사한 거의 모든 농상품과 영양의.. 2017. 5. 16. 소농은 왜 중요한가 오늘은 '소농'이 왜 중요한지 공부하도록 하겠습니다.농업을 생산성이란 측면으로만 평가하면 놓치는 것들이 많아진다는 점 잊지 말도록 합시다. http://www.environmentreports.com/small-farms-stewards-global-nutrition/ http://umn.maps.arcgis.com/apps/Cascade/index.html?appid=a48c26df4577490ba8b92d410df2e1fd 2017. 5. 10. 친환경농업을 실천하려는 파라과이 소농들 이야기 파라과이 이야기. 콩 농사가 흥하면서 대규모 단작 방식이 확산되고, 물론 그런 농사에서 사용하는 씨앗도 신품종이거나 유전자변형일 테고 농약과 비료를 과다하게 사용해 환경도 파괴됨. 더구나 소농들은 그로 인해 삶의 터전을 잃고 밀려나게 됨. 이런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 전통을 지.. 2017. 4. 28. 이전 1 2 3 4 5 ··· 14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