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예전에 갈무리해 놓은 이 논문을 다시 살펴보았다.
결론 부분을 한국어로 옮기면 다음과 같다.

"세계적으로 중소농(50헥타르 이하)이 이 논문에서 조사한 거의 모든 농상품과 영양의 51-77%를 생산한다. 그러나 중요한 지역별 차이가 존재한다. 대농(50헥타르 초과)은 북미와 남미, 호주, 뉴질랜드에서 생산을 지배한다. 이 지역들에서는 대농이 모든 곡식과 가축, 과실 생산의 75-100%를 차지하고, 그 패턴은 다른 상품 그룹과 유사하다. 이와 대조적으로, 사하라 이남의 아프리카와 동남아시아, 남아시아, 중국에서 소농(20헥타르 이하)은 대부분의 농상품 가운데 75% 이상을 생산한다. 유럽과 서아시아, 북아프리카, 중미에서는 중농(20-50헥타르)이 또한 대부분의 농상품 생산에 실질적으로 기여한다. 사하라 이남의 아프리카와 동남아시아, 남아시아에서 극소농(2헥타르 이하)은 대부분의 농상품 가운데 약 30%를 생산하여 지역적으로 중요성을 지닌다. 채소(81%), 뿌리와 덩이줄기(72%), 콩 종류(67%), 과실(66%), 물고기와 가축 제품(60%), 곡류(56%)는 다양한 경관에서 생산되었다(H>1·5). 이와 마찬가지로, 세계의 미량영양분(53–81%)과 단백질(57%)의 대부분 또한 더 다양한 농업 경관에서 생산되었다(H>1·5). 반면, 세계 열량 생산의 대부분(56%)을 차지하기도 하는 설탕(73%)과 유지작물(57%)의 대부분은 덜 다양한 경관에서 생산되었다(H≤1·5). 농장의 규모가 증가함에 따라 농업과 양분 생산의 다양성은 감소한다. 그러나 농업 다양성이 높은 지역에서는 농장의 규모와 상관없이 더 많은 양분을 생산한다."

농업 경관의 다양성과 중소농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내용인데, 중농이 6-15만 평의 규모라니... 한국의 농업 조건에서 그 정도면 대농이 아닌가 싶고... 아무튼 생각거리를 많이 던져주는 논문이다.







Farming and the geography of nutrient production for human use.pdf
3.49MB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