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86

거제도민의 노력 여느 지방이나 마찬가지로 거제도의 다락논들도 사람들의 엄청난 노동력을 바탕으로 만들어졌다. 다락논이나 계단밭을 만들기 위해서는, 논밭을 일구는 과정에서 나오는 돌이나 주변에서 가져온 돌로 흙이 무너지지 않도록 축대를 쌓고 또 쌓아 논밭의 형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과정이 .. 2013. 9. 17.
생명공학은 중국의 식량안보를 해결할 수 있는가 중국의 농업에 관하여 이야기할 때면 두 가지 통계자료에 대해 거듭하여 이야기 듣곤 한다. 중국은 세계 인구의 22%가 살고 있는 곳이며, 세계의 농지 가운데 10% 미만을 가진 곳이라는 이야기가 바로 그것이다. 식량자급률 95%를 유지하겠다고 선언한 이 나라에서 이러한 격차는 중국의 정.. 2013. 9. 2.
골든라이스 논쟁 Genetically engineered Golden Rice grown in a facility in Los Baños, Laguna Province, in the Philippines. ONE bright morning this month, 400 protesters smashed down the high fences surrounding a field in the Bicol region of the Philippines and uprooted the genetically modified rice plants growing inside. Had the plants survived long enough to flower, they would have betra.. 2013. 8. 27.
인도의 벼농사: 계절풍의 막바지 최근 몇 년 사이, 한국에서는 기후변화의 영향이 크게 나타나고 있다. 대표적인 것이 장마이다. 장마의 양상이 여느 해와 달라지고 있다. 올해만 해도 마른 장마가 찾아오더니, 장마가 끝날 무렵이 된 지금도 계속 흐리고 습한 날씨와 간헐적인 폭우가 쏟아지고 있다. 예전 수리시설과 관.. 2013. 7. 8.
네팔의 벼농사를 훑어볼까 네팔의 벼농사 모습을 보자. 먼저 지난해 잘 갈무리해 놓은 볍씨를 꺼내 못자리를 만든다. 못자리에서 모가 어느 정도 크면 물을 떼서 말린 뒤 모내기를 위해 모를 찐다. 적당한 크기로 모를 쪄서 단을 묶어 놓으면 됨. 그런데 이게 보통 일이 아니다. 뿌리가 쫙 흙을 붙들고 있어서 잘 안 .. 2013. 7. 7.
둠벙의 부활? 둠벙. 논과 그 주변에 있는 그리 크지 않은 물웅덩이를 가리키는 사투리. 이러한 둠벙이 예전에는 농업용 목적으로 만들어져 중요하게 활용되었다. 바로 수리시설이 좋지 않았던 시절에는 논농사에 필수적인 물, 즉 농업용수를 확보하는 것이 아주 긴요한 일이었다. 그래서 예전.. 2013. 6. 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