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86

[스크랩] 토종벼 모음 IFOAM 세계유기농대회 주제공원에 식재된 토종벼 13종 입니다. 대부분 까락이 있어 채종하는데 무지 따갑더군요.. 처음엔 육종으로 까락을 없엔 학자들을 탓 했는데.. 이 까락이 이렇게 귀찮을 줄이야~ 아직도 소매속이 따끔거리네요.. 버들벼. Oriza sativa cv. Beodeulbyeo 이삭이 능수버들 느낌이 .. 2013. 4. 6.
벼논양어와 토종 벼 벼논양어를 잘하기 위해서는 논두렁도 기존의 두렁보다 좀 더 크고 튼튼히 만들어 물고기가 튀어나가지 않도록 유지해야 하고, 물도 물고기들이 충분히 활동할 수 있도록 많이 담아야 합니다. 그런데 현재 이를 적용하려면 문제는 벼의 키가 너무 작다는 데에 있습니다. 기껏해야 60~70cm .. 2013. 4. 6.
세계의 곡물 생산과 토지 이용에 대해 먼저 아래는 1990~2012년 사이 세계의 곡물 생산량과 재고율을 보여주는 표이다. 이를 한눈에 알아보기 쉽도록 다른 그래프로 살펴보자. 위 그래프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세계의 곡물 생산량은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이나, 해에 따라 기후변화의 영향이 심해지면 생산량이 조금씩 감소하기.. 2013. 3. 4.
벼논양어로 기후변화에 대처하는 방글라데시 기후변화로 인하여 바다에 잠기는 면적이 넓을 것이라 예상되는 방글라데시의 해안 지대에서 벼논양어를 활용하여 위기에 대처하려는 모습. 위기를 기회로 만들 수 있으면 좋겠다. 여기에 나오듯이 벼논양어는 벼농사와 수생생물의 양식을 함께하는 것을 뜻하는데, 중국 남부에서는 전.. 2013. 3. 4.
인도의 벼농사 혁명 인도 비하르 주의 Darveshpura에서 찍은 Sumant Kumar 씨. 사진: Chiara Goia http://www.guardian.co.uk/global-development/audioslideshow/2013/feb/15/india-rice-revolution-audio-slideshow Sumant Kumar 씨는 작년에 벼를 수확하고는 너무 기뻤다. 인도 북동부에 있는 Darveshpura의 그의 마을에 비가 잘 내려서 평년작인 3000평에 4~5톤.. 2013. 2. 19.
벼 품종과 쌀 소출 우리나라가 근대적인 벼 품종개발 연구를 시작하게 된 것은 1906년에 대한제국 권업모범장(勸業模範場)이 설치되면서부터 라고 볼 수 있다. 이때 일본은 조선의 근대화를 도와준다는 미명아래 이와 같은 기관을 설치하게 하였지만 그 속셈은 한반도를 그들의 식량기지화함과 동시에 식민.. 2013. 2. 1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