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86

벼의 진화 자연 진화 1만 년, 인공 진화 50년 66호 벼의 진화.pdf 2012. 7. 11.
적은 물로 더 많은 벼를 아시아 지역은 계절풍 기후로 말미암아 그에 잘 적응하여 자랄 수 있는 벼라는 작물을 선택하여 주곡으로 먹었다. 이 벼는 고온다습한 기후조건을 좋아하는 식물로서 아시아 지역에 아주 알맞은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 몇 년 전부터 이 벼를 기르는 방법 가운데 물 사용에 대해서 다.. 2012. 3. 28.
토종 벼의 특징 농업과학도서관에서 자료를 뒤지다 조선총독부 농사시험장 25주년 기념집을 보았습니다. 재밌는 내용이 참 많은데 찬찬히 볼 시간은 없어 일단 토종 벼의 특징만 추려보았습니다. 나머지 내용은 언제 시간이 나면 보고 올리겠습니다. -------------------------------------------------------------------- 전국에서 벼 .. 2011. 3. 24.
쌀을 위한 경쟁 기사를 통해 베트남, 특히 메콩강 삼각주의 벼농사를 엿볼 수 있다. 또 Syngenta와 같은 다국적 농기업이 어떻게 베트남의 소농의 삶에 스며들어가는지 살펴볼 수 있다. 씨앗부터 농약, 비료까지 일체로 이루어진 패키지 상품과 교육! 그리고 2008년 식량위기 이후 아프리카는 전략 작물로 벼의 생산량을 .. 2011. 2. 10.
농진청의 다양한 벼 품종 - 신품종 위주 지난 9월 4일 농촌진흥청 벼 연구소를 방문하여 실험 논을 보았습니다. 8만 5천 평의 면적에 10만 종의 벼가 있다고 하더군요. 아래의 사진을 보시면 대략 그 규모가 짐작이 되실려나요? 원래는 11만 평에 가까운 넓이였다는데 도시가 개발되면서 길로 잘리고 뭐하고 하다가 이렇게 줄었다고 합니다. 과.. 2010. 9. 12.
북흑조 북흑조였나? 이름을 적지 않았더니 벌써 가물가물합니다. 이삭이 시커멓게 생긴 게 일단 눈길을 팍 끕니다. 또 키는 어찌나 큰지... 한 어림잡아도 150cm는 너끈할 것 같습니다. 옆에 자라고 있는 것이 중생은방조인데, 그것과 비교하면 완전 꺽다리입니다. 그리고 더 특이한 것은 마디까지 까맣다는 것입.. 2008. 9. 1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