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벼농사80 자연과학에서 본 벼의 기원 유라시아 농경사 권1 제3장 자연과학에서 본 벼의 기원 이시카와 류지石川隆二 벼의 기원과 분류 일본에 퍼진 벼 일본인인 우리들이 일반적으로 먹고 있는 쌀은 벼, 학명으로는 오리자 사티바Oryza sativa를 재배하여 수확한 것이다. 세계에서 남극 대륙을 제외한 모든 대륙에서, 즉 고위도 .. 2018. 4. 15. 벼농사의 전개와 전파 유라시아 농경사 권1 제2장 벼농사의 전개와 전파 -잎의 세포화석 분석 결과를 중심으로 宇田津徹郞 들어가며 도시 사회를 뒷받침하는 농업기술의 조건으로는 농지의 지속적인 이용과 그에 따라 발생하는 잉여생산물의 존재가 필수라고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조건을 만족시키는 기술이 .. 2018. 4. 11. 일본의 논 유구 사진은 일본 야요이 시대의 논 유구이다. 이 사진 때문에 호기심이 생겨 찾아보았다. 이 유구의 위치는 아오모리현 타레야나기垂柳 유적에서 발굴되었다고 한다. 늘어진 버드나무, 즉 수양버들이란 지명에서도 알 수 있듯이 원래 물기가 넘치는 곳이라 그런 자연환경을 좋아하는 버드나.. 2018. 4. 10. 논벼농사와 고기잡이 유라시아 농경사 권1 기고 2. 논벼농사와 고기잡이 佐藤雅志 1950년대 중반, 내가 다녔던 소학교에서는 초여름 모내기와 가을 벼베기의 농번기에 농사일을 거들기 위해 전교가 한꺼번에 쉬는, 이른바 농번기 휴교가 있었다. 그 휴교일에는 소학교 주변의 논에서 다함께 모내기와 벼베기가 .. 2018. 4. 6. 벼 재배와 논벼 농경사회 유라시아 농경사 권1 기고 1. 벼 재배와 논벼 농경사회 -일본 열도의 경우 若林邦彦 벼의 재배가 그대로 논벼 농경사회의 성립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농경을 주체로 하는 사회의 성립이나 확산에는 다양한 조건을 고려해야 한다. 이와 같은 문제는 벼농사 사회가 많이 형성된 아시아 각지.. 2018. 3. 29. 계절풍 농경권의 사람들과 식물 유라시아 농경사 권1 서장 계절풍 농경권의 사람들과 식물 들어가며 왜 지금 농경인가 인간은 왜, 농경이라 하는 '귀찮은' 일을 시작한 것일까? 그 전의 생업인 '수렵채집'과 어째서 결별하게 된 것일까? 이 질문에 대한답은, 사실 필요 없다. 여러 가지 가설은 있지만 모두 '넘고처지어' 결.. 2018. 3. 27. 이전 1 2 3 4 5 6 ··· 14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