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벼농사80

농약 대신 LED로 특정 해충 골라 잡는다 이화명나방 등의 해충을 꾀는 유인등은 일제강점기부터 사용하기 시작했다. 그때는 석유등을 주로 사용했다고 한다. 그런데 오늘 LED를 활용한 유인등이 나왔다. 에너지 효율이 좋다는 엘이디에 태양광발전판까지 달아서 활용하면 영구적으로 쓸 수 있고 아주 좋겠다. 이런 작은 기술이 .. 2012. 8. 18.
벼가 임신 중일 때는 각별히 주의해야 농약과 제4종 복합비료(영양제)를 혼합해 살포할 경우 약해가 발생할 수 있다. 농약에 함유된 계면활성제 등의 성분이 비료의 흡수를 증가시켜 지나치게 많이 흡수된 미량요소로 인해 생리장해가 일어나기 십상이다. 특히 벼에서 수잉기(이삭패기 직전)에 농약과 비료를 잘못 사용하게 .. 2012. 7. 18.
벼의 생육 시기별 물 관리 생육 시기 물 대는 요령 물깊이 (cm) 효과 모내기때 적당히 얕게 3~5 모내기 할 때 모가 물에 잠기지 않게 뿌리내릴때 (활착기) 모가 잠기지 않을 정도로 깊게 5~8 뿌리내림 촉진, 저온 보호, 제초(억초) 효과 참새끼칠때 (유효분얼기) 조금 깊게 벼의 자람새에 맞춰 깊게 5cm 이상 새끼치기 촉.. 2012. 7. 16.
벼농사 문화의 조감 Birds_eye_views_of_an_enduring_rice_culture.pdf 2012. 7. 11.
전통농법 벼농사 6월 9일 모내기를 마친 논. 모내기를 마친 지 18일 정도 지났다. 이제 뿌리는 완전히 내리고 따가운 햇살을 받으며 무섭게 생장하는 시점. 전통농법을 활용하여 1~2포기씩 28X28cm 정도의 간격으로 심었다. 벌써 가지를 꽤 쳤다. 1~2포기를 심었는데 그 2배로 벌어진 듯하다. 김매기를 위해 넣은.. 2012. 6. 27.
충북 지역 논 25.7% "죽지 않는 잡초에 골머리" 과연 제초제에 내성이 생긴 풀의 문제의 미국만의 문제이겠냐 싶었는데, 한국에서도 과학적으로 조사한 자료가 나왔다. 바로 충청북도 지역의 논을 대상으로 조사한 내용인데 이것이 충북만의 문제는 아닐 것이다. 대략 30% 정도의 면적에서 제초제 내성 풀이 발견되는 듯하다. 이것이 벼.. 2012. 5. 1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