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벼농사80

적은 물로 더 많은 벼를 아시아 지역은 계절풍 기후로 말미암아 그에 잘 적응하여 자랄 수 있는 벼라는 작물을 선택하여 주곡으로 먹었다. 이 벼는 고온다습한 기후조건을 좋아하는 식물로서 아시아 지역에 아주 알맞은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 몇 년 전부터 이 벼를 기르는 방법 가운데 물 사용에 대해서 다.. 2012. 3. 28.
광화문 광장에 벼농사를 짓자굽쇼? 광장에 농사짓는 건 일회성 행사밖에는 되지 않는다. 그 상징성은 있겠지만 그에 집중할 힘으로 다른 방식을 궁구하길 바라는 바이다. 무슨 농사를 구경거리로 만들려고 하나. 아무튼 농사는 직접 참여하여 땀흘리는 형태가 아니면 의미가 없다. 2012. 2. 23.
기상이변 대비한 '벼농사 안전 관리로 고품질 쌀' 생산 내용이 정확히 생태농업과 관련되지는 않지만, 농사의 원리는 같기에 참고할 만하다. ---------- 최근 기후변화에 따른 벼농사 안전 관리로 고품질 쌀 생산이 필요한 것으로 지적됐다. 전라북도 농업기술원은 지난 몇 년간 관행적으로 농사를 지어도 문제가 없었지만 갑작스런 기후변화가 발생하는 지금.. 2011. 7. 11.
캄보디아의 벼농사: 제초기 Sorn Ken은 논에서 김매기할 때 함께하는 걸 좋아한다. 그녀의 자매 So Van은 논에서 그녀를 돕고, Sorn은 똑같이 도울 것이다. 그녀는 자매의 논 귀퉁이에서 “우린 이야기를 나누고, 피곤하면 쉬면서 잡담을 나눈다”고 말한다. “그게 남과 함께 논에서 김매기하는 즐거움이다.” Sorn은 캄보디아 남부의 T.. 2011. 5. 19.
줄모와 막모 줄모를 내다가 마지막에 막모를 내는 모습. 원래 조선놈들은 막모를 냈습니다. 그도 그럴 것이 대부분의 논이 천둥지기였고, 그래서 이런저런 농사일을 하다 비가 내리길 기다렸다가 모를 내야헸고, 남자들이 중심이 되어 논농사를 책임지다 보니 더욱 그랬습니다. 그러다... 일제강점기가 되어 근대.. 2010. 6. 9.
논과 관련된 사진들... 전천후 농부학교 강의 때문에 자료를 준비하다가 논과 관련한 옛날 사진들이 있어 올립니다. 쭉 보시면 농사에도 도움이 되지 않을까 하는데 모르겠네요. 그럼 시작하겠습니다. 먼저 논을 준비하는 쟁기질입니다. 쟁기의 모양이 보은에서 했던 것과 많이 다르지요. 보은의 쟁기는 아마도 밭에서만 쓰.. 2010. 5. 1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