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과연 제초제에 내성이 생긴 풀의 문제의 미국만의 문제이겠냐 싶었는데, 한국에서도 과학적으로 조사한 자료가 나왔다. 바로 충청북도 지역의 논을 대상으로 조사한 내용인데 이것이 충북만의 문제는 아닐 것이다. 대략 30% 정도의 면적에서 제초제 내성 풀이 발견되는 듯하다. 이것이 벼농사를 많이 짓지 않는 충북의 경우가 이러한데, 벼농사 면적이 더 넓은 지역은 어떠한지 모르겠다.
아무튼 결론은 한국도 제초제 내성 '슈퍼 잡초'에서 안전한 지역이 아니다!
---------
충북 지역의 논 25.7%가 제초제를 사용해도 잡초가 죽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농업인들의 제초제 사용현황을 조사한 결과 설포닐우레아계 제초제를 오랫동안 연이어 사용하고, 현재도 70% 이상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도 농업기술원은 제초제를 사용할 때 동일한 성분의 제초제를 같은 논에 해마다 사용할 경우 그 제초제에 대한 저항성이 생겨 잘 죽지 않는 잡초가 늘어 방제체계를 개선하지 않으면 제초제 저항성 잡초 발생면적은 급속히 증가할 것으로 예측했다.
저항성 잡초 가운데 발생면적이 가장 높은 초종은 물달개비 36.4%, 올챙이고랭이 30.7% 미국외풀 10.6% 순으로 특히 저항성 잡초 ‘피’의 발생률이 9.5%정도로 조사돼 ‘피’를 방제하지 못할 경우 수량감소율이 높아 수확포기 상태까지 초래될 수 있다.
도 농업기술원 김은정 농업연구사는 “농작물 재배는 잡초와의 전쟁으로 2~3년을 주기로 성분이 다른 제초제로 바꿔 사용해야 한다”며 “벼농사는 필수적으로 모내기 전 써레질을 할 때 토양살포용 제초제를 뿌리고 이앙 후 5일 내 초기 방제용 약제를 사용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이앙 15일 이후에는 중기 잡초방제용 약제를 추가로 뿌려주고, 후기에는 어떤 잡초가 많은지 관찰해 그에 맞는 약제를 선택, 적기에 뿌려 방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반응형
'농담 > 농-생태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치명적인 '중국 벌레'가 몰려오고 있다 (0) | 2012.06.04 |
---|---|
봄 기온 높더니… 농가의 적 꽃매미·애멸구 떼 몰려온다 (0) | 2012.05.17 |
식물도 가뭄 기억해 생존전략 변경 (0) | 2012.03.19 |
벌의 소중함 (0) | 2012.02.23 |
프랑스대혁명ㆍ明淸교체 배경에도 '기상이변' (0) | 2011.07.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