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벼농사80

벼논양어로 기후변화에 대처하는 방글라데시 기후변화로 인하여 바다에 잠기는 면적이 넓을 것이라 예상되는 방글라데시의 해안 지대에서 벼논양어를 활용하여 위기에 대처하려는 모습. 위기를 기회로 만들 수 있으면 좋겠다. 여기에 나오듯이 벼논양어는 벼농사와 수생생물의 양식을 함께하는 것을 뜻하는데, 중국 남부에서는 전.. 2013. 3. 4.
인도의 전통농업: 토종 벼 이야기 Kerala주 Wayanad 지구의 토착민은 여러 세대 동안 화학비료와 해로운 농약을 사용하지 않는 농사법으로 토종 볍씨를 보존하는 전통적 방법을 실천해 왔다. 글과 사진; K.K. Mustafa 여러 세대 동안 케랄라주 Wayanad 지구의 토착민들은 약 35가지의 토종 볍씨를 보존하기 위한 “무다케탈(Moodakettal).. 2013. 2. 5.
인도의 벼-밀 돌려짓기 작부체계와 볏짚 처리문제 인도 북부 펀잡 지역에서는 5억 명이 해마다 쌀과 밀을 먹고 산다. 그곳에선 농지에 남은 볏짚에 불을 지르는 전통농업의 농법이 있다. 그를 통해 이산화탄소 등이 배출되는 문제를 생각할 수 있다. 세계의 농업이 온실가스 배출에 30% 정도 기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더 지속가능한 .. 2012. 12. 12.
미래를 대비한 벼 생산기술 - 직파재배 벼직파재배.pdf 1. 직파재배란? ○ 씨앗을 논밭에 바로 뿌리는 직파는 인류가 농업을 시작한 이후 지금까지 이어지는 농법* 매우 오래된 안정적인 농법임에도 이앙재배에 비해 쌀 수량이 낮고 품질이 떨어진다는 지적으로 소외○ 최근 수입 쌀과의 가격 경쟁력을 높여 자급률을 높이고, 수.. 2012. 12. 4.
부안군, '볏짚환원' 추진 한국인에게 쌀은 단순한 먹을거리의 차원을 넘어 신령스러운 존재로까지 여겨졌다. 신주단지나 조상단지에 신을 대신하여 담는 것도 바로 그해에 수확한 첫 햅쌀이었다. 이러한 의식을 통해 건강과 안녕을 기원함은 물론 다음해의 풍년까지도 빌었다. 쌀은 이삭을 거두어 알곡을 떨어서.. 2012. 12. 1.
가을갈이 예전에는 상농부의 덕목으로 가을갈이가 중요했다. 이렇게 가을에 논을 갈아놓으면, 이듬해 풀이 덜 나고 수확이 더 났다고 한다. 그런데 지금은 트랙터로 쉽게 논을 갈아엎을 수 있어 그런지 어쩐지, 가을갈이를 하는 사람이 거의 없다. 그런 면에서 상농부는 없는 셈이다. 그래.. 2012. 11. 1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