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화51

씨앗을 심는 죠몬인 -어리쌀바구미와 죠몬인 곤충과 해충  해충이라 부르는 벌레들해충이라 하면 바로 떠오르는 것이 바퀴벌레일 것이다. 이는 주로 실내에서 발생해 유충과 성충 모두 집 안의 식품이나 생활쓰레기를 먹고 다량으로 발생한다. 이러한 음식 해충 가운데 쌀 등의 곡물에 생기는 해충을 저곡貯穀 해충이라 한다. 그 대표격이 어리쌀바구미이다. 이들 이외에 의류에 생기는 수시렁이 종류, 가구나 건축재에 생기는 흰개미나 나무좀, 책을 먹는 좀 종류, 나아가서는 인간이나 동물의 피를 빠는 모기, 파리, 벼룩, 이 등도 모두 해충이라 불린다. 사람에 따라서는 꽃의 꿀을 빠는 벌 종류나 바퀴벌레를 먹어 주는 거미조차도 불쾌하게 생각하는 해충의 일종일 것이다. 이처럼 '해충'이란 곤충을 포함한 절지동물 가운데, 인간의 생활권에 침입해 인간에게 직접 또는 간접.. 2024. 12. 23.
씨앗을 심는 죠몬인 -대두와 죠몬인 죠몬 대두의 발견과 입증  일본 재래 콩2003년 통계에 의하면, 곡물은 세계에서 18억 톤이란 방대한 양이 재배되고 있으며, 이중에서 대두는 약 2억 톤이다. 이는 해마다 증가하는 경향이다. 세계에서 생산되는 콩의 대부분은 대두이고, 그 다음으로 재배하는 것은 강낭콩, 완두콩, 병아리콩인데, 전부 합해도 대두의 1/3 정도의 양에 지나지 않는다. 현재는 아메리카나 남미, 중미 등에서 대량으로 재배하고 있는 대두인데, 원래는 아시아 몽골로이드들의 먹을거리였다. 대두는 맥주에 빠질 수 없는 가지콩 같이 그대로 먹어도 맛있지만, 전통적인 대두 식품에는 간장을 비롯해 청국장, 두부, 된장국의 된장 등이 있고, 된장국에 들어가는 유부도 두부로 만든다. 또한 소를 기르는 사료로도 대두가 사용되기에, 우리들은 많은.. 2024. 10. 9.
씨앗을 심는 죠몬인 - 예상 밖의 발견-프롤로그 어리쌀바구미의 의미 이 책에 빈번히 등장하는 '어리쌀바구미', 뭐라고 하든, 이 책의 중요한 주인공이다. 이 녀석을 주인공으로 발탁한 이유에 대해서 먼저 기술하고 싶다. 원래 지금은 '어리쌀바구미'라는 걸 모르는 분이 대부분일 것이다. 대학 수업이나 고교의 출장 수업에서 '어리쌀바구미를 알고 있는 사람?'이라 물어도 손을 드는 학생의 수는 얼마 없고, 또 그 수도 해마다 줄고 있다. 점점 하기 어렵다. '어리쌀바구미'란 뒤주 안에서 생기는 검고 몸길이 3-4밀리미터 정도의 코끼리 코 같은 긴 입을 가진 바구미의 일종으로, 학명을 Sitophilus zeamais MOTSCHULSKY라고 하는, 이른바 쌀을 먹는 벌레이다. 쌀알에 알을 낳아, 성충이 되어 쌀알에서 나온다. 쌀을 먹고, 그 번식력은 보통이 .. 2024. 10. 9.
일본의 떡 재해나 기근에 대비하기 위한 보존식으로 시작되다신에 대한 감사와 보존식의 양면을 겸비하다일본의 설날에  빠질 수 없는 음식으로 '떡'이 있습니다. 크고 작은 두 개의 둥글납작한 떡을 겹쳐 놓은 거울떡鏡餅은 신에게 바치는 신성한 것으로, 그 모습은 신령이 깃든 거울을 닮았다고도 합니다.또 떡국에 떡을 넣는 것은 떡에는 신이 깃들어 있어 그것을 먹음으로써 신의 에너지를 몸속에 넣을 수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즉, 떡은 신성시되는 음식입니다.하지만 떡은 설날과 같은 경사스런 날에 먹기 위한 것이 아니라, 원래는 보존식으로 탄생했습니다. 일본인은 쌀을 주식으로 합니다만, 쌀농사는 날씨에 좌우되기 쉬워 흉년이 들면 1년 이상이나 곤궁해집니다. 그래서 사람들은 쌀 부족이나 기근에 대비한 보존식을 만들게 되었습니다.쌀.. 2024. 10. 8.
일본의 장어 덮밥 덮밥의 원조를 낳았다장어를 좋아한 아이디어 덮밥의 기원이란?닭고기 계란 덮밥, 돈카츠 덮밥, 튀김 덮밥, 소고기 덮밥 등 일본에는 수많은 종류의 덮밥이 있습니다.최근에는 하와이 요리인 로코모코도 덮밥으로 열거하며 중국 요리인 마파 두부를 올린 마파 덮밥도 등장하는 등 덮밥의 레퍼토리는 더욱 폭넓어지고, 앞으로도 늘어날 것입니다. 이렇게 다양하게 발전하고 있는 덮밥은 과연 언제부터 일본에 존재하던 것일까요?문헌을 조사하면, 덮밥이라는 이름은 17세기 말경부터 보이는데, 아직 요리를 담는 그릇이란 명칭에 지나지 않습니다. 덮밥이 단순히 그릇을 나타내는 말에서 요리 이름으로 사용된 계기는 장어 덮밥의 등장이었습니다.장어는 에도 그 이름이 등장할 정도로 일본인에게 친숙한 먹을거리로, 무로마치 시대에 이미 먹고 .. 2024. 10. 8.
일본의 메밀국수 어쩔 수 없는 사정으로 먹었던 서민의 면  냉해에 강하고 영양가 높은 서민의 편현재의 '세련된' 이미지로는 상상할 수 없을지도 모릅니다만, 메밀은 원래 가난한 농민들의 일상식이었습니다. 옛날 농민들이 재배하던 쌀은 그 대부분이 공물로 빼앗기는 데다, 냉해 등이 일어나자마자 흉작이 되었기에 농민들에게는 거의 먹을 수 없는 고급품이었습니다. 그래서 기후의 변화에 강하고, 안정되게 수확할 수 있는 먹을거리의 재배를 생각해 퍼진 것이 메밀이었습니다. 메밀은 냉해에 강하고, 토지가 척박해도 재배할 수 있기에 매년 안정된 수확을 내다보았습니다. 게다가, 메밀은 영양가가 높고, 일상식에 적합했습니다. 메밀 재배의 역사를 살펴보면, 죠몬 시대 지층에서 메밀 씨앗이 출토되고 있어 재배 자체는 꽤 일찍부터 시작되었음을 알.. 2024. 10. 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