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산물33 GMO 표시제 논란 한국에서 유전자변형 작물의 재배와 유통 등을 지지하는 대표적인 인물로 이철호 씨를 꼽을 수 있다. 그가 이번에 매일경제에 이런 글을 기고했다. http://m.mk.co.kr/news/headline/2016/485451 요지는 이렇다. 1. 미국의 과학자들이 유전자변형 작물을 먹어도 아무 문제가 없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 2016. 7. 7. 먹고 살기 힘드네 오늘은 재미난 기사를 하나 읽었습니다. 함께 읽어 보실까요? 세계일보 <김현주의 일상톡톡>이란 꼭지에 "밥상물가 도대체 언제 안정될까요?"라는 기사입니다. http://www.segye.com/content/html/2016/05/15/20160515000548.html 읽어 보셨나요? 귀찮으신 분들을 위해 핵심만 정리해서 말씀드리면 이렇.. 2016. 5. 18. 수경재배는 친환경인가? 요즘 수경재배 또는 양액재배 방식이 급속도로 퍼지고 있다. 시설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노지 재배에 비하여 작물의 성장과 병해충을 통제하고 조절하는 것이 용이하며, 그에 따라 상대적으로 농약과 비료에 덜 노출되기 때문에 친환경이란 이미지까지 얻을 수 있어 그런 듯하다. 더구.. 2016. 4. 23. GMO 농산물은 위험한가? 기자도 기사에서 지적했듯이, 이른바 '근사미'로 대표되는 제초제에 이미 글리포세이트가 들어가 한국의 농촌 등에서 널리 쓰이고 있었다. GMO와 일반 작물의 차이는 작물에까지 그걸 뿌리느냐 아니냐 하는 점이다. 아무튼 기자는 이 기사에서 작물에까지 농약을 뿌림으로 인해서 GMO 농산.. 2016. 3. 16. 비료 사용량의 강국, 한국 앞서 농약 사용량의 강국에 이어 한국은 비료 사용량에서도 타의추종을 불허하는 경지임이 확인되었다. 여느 나라보다 농경지에 투입되는 영양성분의 양이 월등히 많다는 것이 OECD 보고서에서 확인된 것이다. 이렇게 영양분을 지나치게 많이 넣는 것은, 즉 비료를 많이 뿌리는 것은 왜일.. 2015. 7. 14. 캘리포니아의 과일과 채소 가격이 가뭄 때문에 계속 오르고 있다 Raul Taborga of Denny's Organic Farm sells vegetables and berries grown in Nipomo, Calif., at the Marina del Rey farmers market. fesh fruits and vegetable prices will go up an estimated 6% in the coming months, the federal government said Wednesday, as California’s ongoing drought continues to hit price tags in grocery stores across the country. "You’re probably going to s.. 2014. 6. 27. 이전 1 2 3 4 5 6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