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앞서 농약 사용량의 강국에 이어 한국은 비료 사용량에서도 타의추종을 불허하는 경지임이 확인되었다.


여느 나라보다 농경지에 투입되는 영양성분의 양이 월등히 많다는 것이 OECD 보고서에서 확인된 것이다.


이렇게 영양분을 지나치게 많이 넣는 것은, 즉 비료를 많이 뿌리는 것은 왜일까?

나는 그것이 농산물을 크게 잘(?) 키우려는 데에서 오는 것이 아닌가 생각한다.

시장에 나가 보면 수박이 사람 머리통보다 크고, 배와 사과가 아기 머리통만 하고, 배추와 무는 이게 식물이 맞는지 아닌지 모를 정도로 거대하다. 모든 농산물들이 그렇게 어마어마하게 크고, 색은 짙푸르다 못해 검게 보이기조차 하다. 이렇게 크게 키울 수 있는 건 바로 모두 비료의 힘 덕이리라.


그러면 왜 그렇게 농산물을 크게 키우는가?

바로 시장의 요구 때문이다. 못 먹고 못 살던 시절의 기억이 남아 그런지 무조건 크면 좋다고 생각한다. 큰 농산물치고 맛이 제대로인 농산물은 보지 못했다. 커다란 수박의 단맛, 커다란 사과와 배의 단맛, 커다란 딸기의 단맛... 과일은 당도를 기준으로 품질을 평가하기에 천편일률적으로 단맛만 강조하여 재배된다. 그런가 하면 커다란 무, 커다란 배추, 커다란 양파, 커다란 아욱잎... 모두 크기만 컸지 텃밭에서 재배한 자그마한 농산물에 비해 맛이 하나도 없다. 


이제 배를 곯는 시절도 아니고, 양보다 질이 중요하다고 이야기하지만 우리에게는 아직 큰것을 좋아하는 습성이 강하게 남아 있는 듯하다.

작아도, 그래서 상대적으로 더 비싸 보여도 맛있고 질 좋은 농산물을 선택하는 소비자들이 있다면, 그 시장의 요구에 맞추어 생산자들도 바뀌고 생산방식도 변하리라 생각한다.


위 자료는 세계일보 기사에서 가져왔습니다.

728x90

'농담 > 농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대밭 개간  (0) 2015.08.27
<기적의 논> 읽기  (0) 2015.08.05
농약 사용량의 강국, 한국   (0) 2015.06.03
콩밭에 보리를 심어라  (0) 2015.05.29
소규모 유기농부를 위한 안내서  (0) 2015.04.24
728x90


Raul Taborga of Denny's Organic Farm sells vegetables and berries grown in Nipomo, Calif., at the Marina del Rey farmers market. 



fesh fruits and vegetable prices will go up an estimated 6%  in the coming months, the federal government said Wednesday, as California’s ongoing drought continues to hit price tags in grocery stores across the country.  

"You’re probably going to see the biggest produce price increases on avocados, berries, broccoli, grapes, lettuce, melons, peppers, tomatoes and packaged salads,” said Timothy Richards, a chair  at the Morrison School of Agribusiness at Arizona State University. 













In its monthly report on the food price outlook, the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said the price of fruit and vegetables will continue to rise.


As farmers continue to battle for water in the summer months, The USDA’s Economic Research Service reported that California’s drought has the potential to increase food price inflation above the historical average in coming years.  


Although the department is sticking with its overall forecast that U.S. food prices will increase by up to 3.5% this year over last, it cautioned that the cost of meat, dairy, fruit and vegetables will jump.


California farmers produce half of the nation’s fruits and vegetables, and most of its high-value crops such as broccoli, tomatoes and artichokes.


But the rising cost of water has forced farmers to idle about 500,000 acres of land and produce less, making certain foods more expensive.


“Lettuce prices increased the most and that’s a direct result of the California drought,” said Annemarie Kuhns, an economist with the USDA.  “Almost 70% of the nation’s lettuce is grown in California.”


The department now expects 2014 U.S. fresh fruit prices to jump by up to 6%, up from its May projection of about 4%. A devastating citrus disease in Florida also sent citrus prices up 22.5% this year.


Consumers will also see a bump in dairy prices due to increased demand.


Drought conditions in states like Texas and Oklahoma have also driven up beef prices 9% this year, and the department expects that hike to continue.   


“The drought in 2012 damaged a lot of feed crops,” Kuhns said. “As a result we have the lowest herd size in the U.S. since 1951.”


California’s three-year drought is also affecting staple crops such as rice, which could also cost 10% to 20% more this year, said Daniel Sumner, director of the Agriculture Issues Center at UC Davis.


Swelling prices have been an ongoing trend after the parched state survived its driest year on record.


Food prices rose half a percent in May, the largest hike since August 2011, according to the U.S. Labor Department, and California farmers expect the hikes to continue.


“Consumers will see rising food prices because farmers have had to significantly curtail production due to lack of water,” said April Mackie, an advisor for the American Farm Bureau.


Mackie also works for a large, 7,500-acre strawberry and vegetable farm in Salinas, Calif. She said the drought will boost the prices of her crops next season, and Americans should expect to pay more for fresh food as the years go on.


“We are seeing issue with the water levels within our wells, so we will have to plant less crops next season and that’s what increases U.S. prices,” said Mackie.


The Salinas farm planted more strawberries this season because they use less water, cutting production of lettuce, broccoli and other veggies by 25%.


"We have conservatively projected that the average American family will spend about $500 more on food this year because of the drought," said Paul Wenger, president of the California Farm Bureau. "But with what we are hearing from farmers, we expect that number to go up."

728x90
728x90

이 화려한 지도는 1922년 정육회사인 Armour and Company에서 출간했다. 


당시 전국의 주요 특산물을 보여준다. 


지도제작자는 이 일의 어려움을 인정했다. "주의 주요 생산물을 경계 안에 지리적으로 정확히 표기할 수가 없었다. ... 그렇지만 각 주의 주요 생산물을 나타냈고, 주요 생산물의 지리적 위치는 미국 안에 최대한 정확히 표기했다." 


지도의 오른쪽 위에 적힌 문구는 이러하다: 국가로서 미국의 힘은 그 농업의 힘에서 유래한다. 미국 토지의 거대한 확장과 어마하게 다양한 기후는 다른 경쟁자보다 미국이 다양한 종류의 작물과 가축을 키울 수 있게 한다."


"미국은 세계에서 가장 자급력이 뛰어난 국가이다."




728x90

'농담 > 농-문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멕시코의 데낄라 여신  (0) 2014.06.25
집에서 밥을 먹지 않는 이유   (0) 2014.06.14
멕시코에서 발굴된 초기 농업의 증거  (0) 2013.12.12
일본의 농기구 대장장이  (0) 2013.09.26
소농이 답이다  (0) 2013.09.19
728x90

제주 서부농업기술센터에서는 올해부터 토종 조와 메밀을 보급하는 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인터뷰에서 유통과 스토리텔링까지 이야기하는 걸 보니 무언가 계획이 단단히 서 있는 것 같은 인상을 준다.


슬로푸드의 맛의 방주에 푸른독새기콩이 올랐는데, 또 한 번 제주의 토종 조도 오를 수 있을런지 흥미롭다.


사실 제주 하면 원래 좁쌀밥의 섬이 아니던가. 조 농사가 땅을 잘 가리지 않고, 맛은 좀 떨어져도 수확이 많아서 산간 지역에서도 많이 지었다. 제주도 두말 할 필요 없고. 지금처럼 쌀밥을 구경한 게 비행기가 오고간 이후부터라고 하니 비교적 최근까지도 조에 의존하며 살았겠다.

---------



메밀·조 등 제주 토종종자 보급 나선다

서부농업기술센터, 최근 토종종자 가치 재평가 부응

2014.01.21  (화) 09:32:53
윤정웅 기자 (jejuai@jemin.com)
제주 토종종자 보급사업이 추진된다.

제주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 서부농업기술센터는 최근 토종종자에 대한 가치가 재평가되면서 보전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재배 희망 농가가 늘어나고 있으나 종자 확보가 어려운 점을 감안 ‘제주 토종종자 보급사업’을 본격화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농업기술센터는 올해 메밀·조 등 2작목 3품종 약 10㏊를 목표로 1월말까지 희망자 신청을 받고 토종종자를 보급할 계획이다.

또한 재래종자의 생육 및 품질 특성을 규명, 재배기술 교육을 통해 안정적인 생산이 이루어지도록 지도하는 한편 재배면적을 확보해 다음 세대로 전승할 수 있도록 한다는 복안이다.

과거 제주에서는 제사나 명절때면 메밀로 묵이나 빙떡을 만들고 좁쌀로 감주를 만들고, 조를 이용해 오기술이나 떡을 만들어 먹어왔다.

그러나 새로운 품종 개발로 재배의 용이성과 다수확면에서 밀려 토종 종자가 점점 사라지면서 그 맥이 끊어지고 있고 향토음식의 맛도 함께 사라져가고 있는 실정이다.

이 토종종자 보급사업은 최근들어 웰빙과 힐링이 대두되면서 옛것을 찾으려하는 수요가 늘어나 오랜 기간 지역의 토양환경에 적응한 종자 특성의 가치가 재평가되고 있음에 따라 추진되는 것이다.

서부농업기술센터 문영인 소장은 “토종종자의 재배는 단순한 종자생산이라는 생산 개념에서 벗어나 기후환경에 대처하고, 파종에서 가공, 유통까지 스토리텔링화를 통해 토종종자를 찾고 보전하는 데 힘쓰겠다”고 말했다.


728x90
728x90


For most people willing to pay a premium for organic food, the reason is some nebulous combination of health, environment and flavor. If pressed, however, few could point to evidence that organic food is better than conventionally grown products on any of those counts.

This month, a new piece of evidence emerged on this issue, and the news was bad for organic agriculture. A report out of Stanford University found no consistent differences in nutritional content between organic and conventionally grown crops. So how about the other reasons for buying organic? Let’s start by looking at the environmental differences between conventional and organic farming.

Comparing the environmental impacts of two products involves many considerations: chemical runoff into our water supply, soil health and greenhouse gas emissions, to name just a few. Since there isn’t enough space to consider all of those in a single article, we’ll take one environmental consideration at a time in an occasional series.

Land use is a reasonable place to begin. Part of a product’s environmental impact is the amount of space required to produce it. After all, if a plot of land weren’t required to produce corn or avocados or pigs, it could be used for environmentally helpful purposes such as habitats for wild animals or carbon-eating plants or land for solar panels and wind farms.

Food production requires an incredible amount of land. By some estimates, croplands and pastures now occupy 40 percent of Earth’s land surface. Producing more food with less land could be a major win for the environment.

In May, researchers at Canada’s McGill University and the University of Minnesota published an article in the journal Nature comparing the productivity of organic and conventional farms.

This particular study is known as a meta-analysis. In a meta-analysis, a researcher compiles all of the studies on a particular issue, usually discarding those that are methodologically unsound, then finds a statistical method with which to combine them. Ultimately, a meta-analysis turns a series of smaller studies into a large study, which, if done right, carries more persuasive heft and can bring real clarity to disputed scientific issues.

In their meta-analysis, McGill’s Verena Seufert and her colleagues examined 66 previous studies. Their results are bound to disappoint organic advocates. Overall, they found that organic methods produce 25 percent less food than conventional farming on the same land area.

That headline number, however, tells only part of the story, and the details can help guide your decisions as a consumer.

For some crops, organic methods are nearly as productive as conventional farming. Organic fruit farms, for example, finished in a statistical dead heat with conventional acreage. The yield of organically grown tomatoes (considered separately from other fruits) was statistically indistinguishable from conventional tomatoes as well, as were organic oilseeds such as sunflower and canola. Organic legumes, such as peas and beans, also performed well.

Conventional methods soundly outpaced organic among grains and vegetables. Among wheat, corn and other cereals, organic farms were 26 percent less productive, while organic vegetable growers turned out 33 percent less food per acre than those who used pesticides, herbicides and synthetic fertilizer.

If you’re wondering why organic productivity might be as good as non-organic for some crops but not for others, it has a lot to do with nitrogen. Organic farmers can’t load up their fields with synthetic fertilizer, so crops that use nitrogen more efficiently, such as legumes, perform better in an organic system than those that rely on heavy infusions of nitrogen.

Relative productivity of organic and conventional fields can also depend on more obscure factors, such as the pH of soil. Organic crops perform well when the soil’s pH stays inside a certain range, but they do poorly in high-alkaline or high-acidity environments. Unfortunately, consumers standing in front of a bell pepper display would have a hard time figuring out the acidity of the soil that produced them, so you might as well forget about those details.

Meta-analyses are not perfect, and organic yields were found to be better in a study that predated Seufert et al. Those results, however, came in for serious criticism, and the more recent meta-analysis seems to have solved some of the methodological problems.

None of this is to say you should stop buying organic corn, wheat or vegetables. Overall organic yields in Seufert’s meta-analysis were depressed somewhat by farmers who weren’t applying the right nutrients in the right quantities at the right time. Farmers who manage their crops more expertly come quite close to matching conventional yields.

Over time, it’s entirely plausible that increased demand for organic food will improve techniques further, with investment funding research on best practices and improving farmer know-how. And, as noted above, land use is just one of many considerations when comparing the environmental impacts of two products. Stay tuned to this space for further looks at the environmental impacts of organic vs. conventional.


http://www.washingtonpost.com/national/health-science/the-environmental-footprint-of-organic-vs-conventional-food/2012/09/14/40b16582-fb65-11e1-b2af-1f7d12fe907a_story.html

728x90
728x90

시사인에 실린 개인주의 야채가게를 실험한 분의 글...

도시에서는 1인가구가 점점 늘어나고 있는 이때 참으로 중요한 실험이 아니었나 싶다.

이렇게 다품종 소량 판매가 주를 이룬다면, 농사의 규모가 작은 사람들에게는 오히려 더 좋은 기회가 생길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든다. 특히 도시농업과 관련하여 새로운 수입원을 만들 수도 있을 것 같아 흥미롭다.

글쓴이의 말처럼 앞으로 이러한 가게들이 많이 늘어나기를 기대해 본다.

---------



독거 청춘들을 위한 낱개판매 청과물상 ‘개인주의 야채가게’가 지난 11월3일에 영업을 종료했습니다. 총 구매인원 210명, 총 판매금액 41만1150원으로 2만여 원 적자를 기록하며 100일간의 퍼포먼스는 막을 내렸습니다. 200명에 40만원이라는 기록이 너무 미약한가요? 느리고 느리겠지만 결국 모든 시장에서 채소와 과일을 낱개로 파는 날이 올 거라고 저는 믿습니다. 그게 언제냐면… 제가 ‘젊을 때’ 바뀌지 않을까요?(지금처럼 평균연령이 계속해서 늘어난다면 아마 저는 60세 정도까지는 젊은이일 것 같아요. 그때까지도 “젊은 것들이…” 소리를 들을 것 같다고요.)

장을 보고 싱싱한 식탁을 차리는 것, 냉장고에서 썩은 걸 그대로 버리는 괴로움이 아직 모든 이의 공감대는 아니니까요. 특히 중년 남성분들이 돗자리 앞에서 갸우뚱하는 일이 자주 있었는데요, 대가족의 아이로 자랐고 지금은 한 가정을 책임지고 있는 아버지들, 이 나라의 경제성장을 위하여 밤낮없이 일하던 산업화 시대의 역군으로 살아온 세대와 지금 저와의 세대차이일까요. 하지만 그분들도 아마 100세까지 사실 텐데 그때 노부부끼리, 혹은 혼자서 살다 보면 포도 한 송이, 사과 한 개만 사다 먹고 싶은 날이 반드시 올걸요! 

 

 
ⓒ유재인 제공
개인주의 야채가게에서 100일 동안 210명의 고객이 채소와 과일을 낱개로 구매했다.




개인주의 야채가게의 막을 내리며 저의 초심, 개업정신을 공유합니다. 삐딱하게 기성세대에게 날을 세운, 그러나 화염병과 팔뚝질이 아닌 고작 길에서 대파를 파는 것으로 시위를 했던 젊은이의 세상 탓, 남 탓입니다. 

‘개인주의 야채가게’를 개업하며

1인 가구의 수가 유례없이 늘어가고 있단다. 대형 아파트보다 도시형 생활주택이라 불리는 쪽방이 더 잘 팔린단다. 

가족·식구가 생략된 가정의 모습은 대부분 부엌, 거실, 침실, 서재 등등을 모두 요약해낸 어떤 네모스러운 공간이기 마련이다.

(중략)

우리의 대부분은 (그중 몇몇은 자발적으로) 가난하다. 우리의 행동을 결정할 때 검토할 모든 첫 번째 요인은 가격이다. 그것이 거의 모든 포기의 이유가 되긴 하지만 누구처럼 낭비하고 쓰레기를 잔뜩 만들며 민폐를 끼치는 삶을 살지 않는다는 자부심도 있다.

우리에게 “더 치열하라고, 더 노력하라고, 꿈과 희망을 위해 전진하라고!” 소리 높여 외치는 그 목소리를 멘토라 쓰고 꼰대라 읽는다. 세계를 구성하는 요소는 달라졌다. 아무것도 없는 강남  땅에 레고처럼, 블루마블처럼 건물을 올리던 시대와 더 이상 땅 위에 새로울 것이 없는 시대의 차이점을 모르는가? 혼자 벌어 다섯 식구 먹여 살리던 세대와 혼자 벌어 혼자 먹어도 모자라는 세대의 차이점 말이다. 그들이 우리를 위해 해줄 수 있는 것은 없다. 우리를 모르기 때문이다. 우리를 위해 무언가를 할 수 있는 것은 우리뿐이다.

대량생산 시대에는 소비자에게 자격이 필요하다. 소비자는 과소비를 해야 한다. 과소비를 하지 않으면 소비자가 아니다. 큰 것, 더 큰 것을 만드는 사회에서 혼자 사는 사람은 소비자가 아니다. 감자 두 개가 필요하면 감자 한 봉지를 사야 하고, 대파 한 마디가 필요하면 대파 한 단을 사야 한다. 그제야 영수증을 상장처럼 받아들 수 있다. 감자 한 봉지를 사면 일주일 동안 감자만 먹어야 하고, 대파 한 단을 사면 냉장고 신선칸에서 냉동실을 거쳐 음식물 쓰레기봉투로 간다. 한 끼 7000원 돈도 아깝지만, 한 끼를 만들고 버려지는 잉여 재료들이 더 아깝다. 한 끼 만들어 먹은 소박한 만족을 허락받기 위해서는 ‘저걸 언제 다 먹는담. 또 쓰레기를 만들겠어’라는 사치스러운 죄책감까지 가져야 한다.

우리는 혼자 먹지만, 도무지 혼자서는 다 먹을 수가 없다. 온전히 혼자서도 잘 먹기 위해 우리는 나눠먹기로 한다. 완벽한 개인주의를 위해 우리는 협력하기로 한다. 싱싱함을 위하여, 신선함을 위하여, 건강함을 위하여 우리는 뭉쳐야 한다. 바닥까지 싹싹 긁어먹을, 낭비 없이 신선한 한 끼를 위해 개인주의 야채가게가 필요하다. 우리의 생존전략은 1+1보다 1÷10이다.



http://www.sisainlive.com/news/articleView.html?idxno=18523

728x90

'농담 > 농업 전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을 갈다> 출간  (0) 2013.12.04
쌀 전업농 육성... 규모화가 답인가?  (0) 2013.12.04
죽음의 농약  (0) 2013.12.04
흥덕 나눔텃밭  (0) 2013.10.20
금천구 한내텃밭  (0) 2013.10.20
728x90

한중 FTA 1차 협상 종료와 발을 맞춰 농식품을 중국 시장으로 수출하자는 이야기들이 봇물 터지듯 쏟아져 나온다. 농촌경제연구원은 물론 기재부 등에서도 시끄럽게 떠든다.


그런데 솔직히 까놓고 농식품을 수출한다면 그 원재료를 모두 국산으로 쓸까? 
농산물을 중국 시장으로 수출할 가능성은 얼마나 될까? 
일부 몇몇 극히 제한적인 품목은 가능할지도 모르지, 하지만 다른 대다수의 품목은 오히려 중국산 농산물에 잠식당하지 않을까? 
지금도 보따리상이라든지 유통업자들이 들여오는 값싼 중국산 농산물이 상당한 부분 한국 농산물 시장을 장악하고 있지 않은가. 

너희들, 손바닥으로 하늘을 가려라 진짜. 
---------



우리 농식품, 중국시장 수출 확대하자"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식품 수출확대 전략’ 토론회 개최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은 9월 3일(화) 14시부터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중회의실(서울 서초구 소재)에서 농식품 수출확대 전략수립을 위한 기본방향 및 실천 가능성을 논의하기 위하여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와 공동으로 ‘농식품 수출확대 전략’ 토론회를 개최했다. 

개회식에서 KREI 최세균 원장은 “진취적인 자세로 우리가 가진 역량을 응집해 농식품 수출 확대를 이루자”며, 이번 토론회가 농식품 수출 확대를 위해 다양한 시각의 의견을 듣고 나누는 장이 되길 당부했다. 또한 오늘 나온 여러 의견들을 반영해 향후 농식품 수출활성화를 위한 논리와 이론적 기반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KREI 전형진 연구위원은 ‘중국시장 농식품 수출확대 가능성 및 확대 전략’이란 제목의 발표에서 “중국은 내수 소비시장 규모가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고, 식품소비에서 소비자의 안전 및 웰빙소비 트렌드가 증가하는 등 기회요인이 있다”며, “중국시장에서 농식품 수출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수출농업 기반 구축 등으로 수출 체질을 강화하고,  품목별·지역별로 차별화된 수출 마케팅을 강화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진 ‘대중국 농식품 수출 증대를 위한 aT의 역할’이라는 발표에서 백진석 aT 수출기획팀 팀장은 “중국에서는 그동안 지속적인 식품안전 사고로 수입산 농식품에 대한 선호도가 높으며 구매력도 높다”며, 대중국 수출확대 전략으로 ‘미디어를 통한 종합 마케팅 추진, 정보지원체계 강화, 수출물류 인프라 확대, 신규시장 확대’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박중원 빙그레 해외사업관리팀장은 “바나나맛우유 수출 성공요인”이라는 제목의 세 번째 발표에서 바나나맛우유가 중국시장 진입에 성공한 요인으로 중국 소득 수준 상승으로 인한 다양한 유제품 소비 증가, 자국내 식품의 낮은 신뢰도를 꼽았다. 더불어 바나나맛우유의 다양한 마케팅 전략을 소개해 관심을 끌었다. 어명근 KREI 선임연구위원이 좌장을 맡아 이뤄진 토론에서는 농민단체, 전문가, 학계, 정부 등에서 참석한 토론자들이 열띤 토론을 벌였다. 


 * 관련 사진 보기

728x90
728x90

친환경농산물 저농약인증제 폐지에 따른 대응방안.pdf


친환경농산물 저농약인증제 폐지에 따른 대응방안.pdf
1.38MB
728x90
728x90

미국 파머스마켓 운영 현황과 시사점.pdf



미국의 농산물 직거래 추진체계를 살펴보고 관련 정책과 더불어 운영사례를 살펴보았다.


1. 미국의 농산물 직거래 
2. 파머스마켓의 운영 
3. 정부 관련 정책 
4. 파머스마켓 운영사례 

5. 파머스마켓의 특징 및 시사점


미국 파머스마켓 운영 현황과 시사점.pdf
0.86MB
728x90
728x90

일본의 직거래 확대 정책과 직매장 운영의 특징.pdf



일본의 지산지소운동을 중심으로 농산품 직매장 관련 정책의 변화과정과 그 배경에 대해 살펴보고, 현재 일본에서 운영되고 있는 직매장의 현황과 그 특징을 살펴보았다.


1. 지산지소(地産地消) 확산정책과 직매장의 성장 
2. 직매장의 운영 및 이용실태 

3. 직매장의 운영사례


일본의 직거래 확대 정책과 직매장 운영의 특징.pdf
0.48MB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