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전경련을 위시한 기업에서는 자신들이 물가 상승의 주범이 아니라고 항변한다. 그러면서 늘 책임의 화살을 돌리는 건 농수축산물... 그런데 그렇게 가격이 오르면 그걸 재배하는 농민도 부자가 되어야 하는데 돈 벌었다는 소리는 들리지 않으니 이거 웬일인가? 물론 일부 돈을 쓸어담는 농민도 있긴 있다. 하지만 대다수는 여전히 하는 일에 비해 적은 소득만 올리며 살고 있다. 무엇의 문제인가? 농업의 구조적 문제로 치부해 버릴까? 문제가 있다면 고쳐야 한다. 일부 기업농에게만 부가 편중되는 현상을 근본적으로 뜯어고쳐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농업은 살아남되 농촌과 농민은 죽어 사라지는 세상이 될 것이다. 그것은 비단 농업만의 문제가 아니다. 한국 사회 전반의 과제이기도 하다. 소득불균형, 상대적 빈곤 등과 같은 문제와 맥을 같이한다.  

그런데 본문으로 들어가서 농산물 가격은 왜 오르는가? 그건 고민해보지 않는단 말인가. 당연히 인건비 상승, 원자재 가격의 상승, 유가의 상승과 맞물려 있다. 그러한 제반요건은 쏙 빼놓고 단순히 농수축산물 가격이 올라 물가상승을 주도했다고 몰아붙이는 저의는 무엇일까. 뭐 농민은 땅만 파면 농사지을 수 있다고 생각하냐? 농민도 먹고 살며 아이들 가르치고 결혼시켜야 한다.




그동안 물가상승 주범으로 꼽혀 온 에너지비용, 휴대폰 사용요금, 가공식품 가격이 최근 5년간 오히려 소비자물가 안정에 기여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반면 업종 특성상 비독과점 제품으로 분류되는 농축수산물과 학원비, 외식비, 미용료 등은 소비자물가지수 상승을 주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전국경제인연합회가 통계청이 작성한 최근 5~10년간 소비자물가지수 반영 481개 품목 가격 흐름을 분석한 결과, 경유·LPG·등유·휘발유 등 에너지관련 품목의 연평균 가격 상승률(6.5%)은 국제유가 상승률(연평균 14.1%)의 절반 이하에 그쳤다. 정유업계가 산업경쟁력 유지 차원에서 해외 인상요인을 자체 흡수한 결과다.

같은 기간 이동전화료는 21.7% 하락한 것으로 조사됐다. 전경련 관계자는 "그 동안 문자메시지 요금 인하, 망내 할인 확대, 초당과금 시행 등 다양한 정책과 기술개발을 통해 이동통신요금이 인하된 결과"라며 "이동통신요금에 대한 일반국민의 체감물가 수준이 높은 것은 부가서비스, 롱텀에볼루션(LTE) 등 고품질서비스 사용 증가, 다양한 요금제 출시에 기인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밀가루, 라면 등 대기업들이 시장을 주도하는 가공식품 가격상승률(54.8%)도 분석기간 중 국제곡물가 인상률(185%)의 3분의 1에 그쳤다. 에너지 관련품목, 가공식품, 이동전화료 등 소비자물가 상승 주범으로 비판 받았던 3대 품목 모두 예상과 달리 소비자물가 안정에 기여한 것으로 나타난 것이다.

반면 지난 10년간 물가상승률 상위 20대 품목 중 10개 품목은 마늘·오징어 등 농축수산물이 차지했다. 가격상승률만 63.5%로 대기업 부문이 주도하는 독과점 업종 제품 가격 상승률을 초과했다. 가계소비 지출구성을 고려한 전체 소비자물가지수 인상 기여율 면에서도 농축수산물을 포함한 비독과점품목 기여율(90.5%)이 독과점품목(9.5%)보다 9.5배 높았다. 이 중에서도 비독과점 품목인 학원비·외식비·미용료 등 자영업 부문 개인서비스 기여율이 34.6%로 가장 높았다.

전경련은 "소비자물가 상승을 견인했을 것이라는 일반적 인식이 잘못된 것으로 밝혀지는 대목"이라며 "최근 10년 사이 일반 국민의 체감물가 수준이 높았던 것은 농축수산물을 포함한 비독과점품목 가격 상승과 개인서비스 부문 때문"이라고 평가했다.

물가 하락을 주도한 품목은 대부분 이동전화기, TV, 컴퓨터 등 내구성 전자제품으로 나타났다. 전경련 관계자는 "실제 소비자물가 상승을 주도한 품목이 무엇인지를 세심히 분석하고 파악할 필요가 있다"며 "정부와 정치권은 지난 10년간 소비자물가 인상을 주도한 전·월세 등 집세와 학원비, 외식비 등 개인서비스 요금 안정을 위해 최우선적으로 노력해야 한다"고 전했다.

임선태 기자 neojwalker@


728x90

'농담 > 농업 전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본은 쌀 소비가 계속 줄고 있다  (0) 2012.11.28
시도별 배추 재배면적  (0) 2012.11.24
전여농, 세계 식량주권상 수상  (0) 2012.11.14
쿠바의 도시농업  (0) 2012.10.21
해외농업개발  (0) 2012.10.20
728x90

난 그래서 유기농을 단지 인간의 건강만을 위해서 소비하는 행태는 문제가 있다고 지적한다. 인간의 건강'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 환경 또는 자연의 건강을 위해서 소비하는 것이 바로 유기농이 되어야 한다. 인간의 건강'만'을 위한 유기농이 그냥 시장에 휩쓸려 기존의 사치품과 무엇이 달라진단 말인가? 그저 더 비싼 값에 소비자들의 욕망만을 채우는 자본주의의 한 상품으로 전락할 뿐이다. 아래의 연구는 어찌 보면 참 좋은 연구일 수도, 어찌 보면 참 위험한 연구일 수도 있지만, 난 개인적으로 아래의 연구에 박수를 보낸다. 유기농에 대한 '환상'은 깨져야 한다. 그리고 인간과 자연의 좋은 관계를 재정립하는 데에, 인간 사회의 구조를 재정립하는 데에 더욱 집중해야 할 것이다. 




유기농.일반 식품이나 큰 차이는 없었다


살충제도 쓰지 않고 천연 성분으로 재배해 훨씬 건강에 유익한 것으로 알려진 유기농.
보통 제품보다 가격이 비싸지만 '기왕이면' 몸에 좋은 걸 먹으려는 소비자들 사이에서 인기를 끌고 있다.

하지만 유기농 제품이 제초제나 항생제를 이용한 다른 제품에 비해 건강에 더 유익하다는 증거가 거의 없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4일(한국시각) 미국 뉴욕타임스 등 외신에 따르면 "스탠퍼드 대학 연구팀이 1966년부터 2011년까지 45년에 걸쳐 작성된 237개 논문을 4년 동안 분석했더니 유기농 식품이 다른 식품에 비해 건강에 유익하다는 증거를 거의 발견할 수 없었다"고 밝혔다. 스탠퍼드 대학 연구팀은 이러한 결과를 미국 내과학 연보에 게재했다.

데나 브라바타 스탠퍼드대 박사는 외신과의 인터뷰에서 "맛이나 환경에 대한 걱정 등 때문에 유기농 제품을 먹을 수도 있겠지만, 적어도 개개인의 건강과 관련된 문제에 관해서는 일반적인 식품과 큰 차이가 없다는 걸 발견했다"며 "이러한 결과에 우리도 깜짝 놀랐다"고 밝혔다.

과일과 채소 등에 든 비타민이나 미네랄 함유량의 경우도 유기농이나 일반 식품이나 큰 차이는 없었다. 다만 유기농 제품이 약간의 인(phosphorous)이 더 많았다. 유기농 우유과 닭고기에 오메가 3지방산이 더 많다고 알려졌지만 이러한 결과를 도출한 연구는 많지 않았다.

다만 잔류 농약과 내성 박테리아 검출에서는 차이를 보였다. 유기농 돼지고기와 닭고기는 일반 제품보다 3가지 이상의 항생제에 내성을 가진 박테리아 수가 33%가량 낮았다. 연구팀은 일반적으로 돼지와 닭을 사육할 때 항생제를 과도하게 먹이기 때문이라고 풀이했다.

다른 전문가들은 이번 연구가 확증단계의 연구는 아니기 때문에 추가 연구를 통해 이를 다시 점검해볼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외신은 "이번 연구 결과에 따라 유기농이 과다 지출을 유발하는 마케팅 도구가 아닌지 검토해 봐야 할 필요가 있다"고 전했다.




아래는 이와 관련된 뉴욕타임즈의 기사



Does an organic strawberry contain more vitamin C than a conventional one? Maybe — or maybe not.

Stanford University scientists have weighed in on the “maybe not” side of the debate after an extensive examination of four decades of research comparing organic and conventional foods.

They concluded that fruits and vegetables labeled organic were, on average, no more nutritious than their conventional counterparts, which tend to be far less expensive. Nor were they any less likely to be contaminated by dangerous bacteria like E. coli.

The researchers also found no obvious health advantages to organic meats.

Conventional fruits and vegetables did have more pesticide residue, but the levels were almost always under the allowed safety limits, the scientists said. The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sets the limits at levels that it says do not harm humans.

“When we began this project, we thought that there would likely be some findings that would support the superiority of organics over conventional food,” said Dr. Dena Bravata, a senior affiliate with Stanford’s Center for Health Policy and the senior author of the paper, which appears in Tuesday’s issue of the Annals of Internal Medicine. “I think we were definitely surprised.”

The conclusions will almost certainly fuel the debate over whether organic foods are a smart choice for healthier living or a marketing tool that gulls people into overpaying. The production of organic food is governed by a raft of regulations that generally prohibit the use of synthetic pesticides, hormones and additives.

The organic produce market in the United States has grown quickly, up 12 percent last year, to $12.4 billion, compared with 2010, according to the Organic Trade Association. Organic meat has a smaller share of the American market, at $538 million last year, the trade group said.

The findings seem unlikely to sway many fans of organic food. Advocates for organic farming said the Stanford researchers failed to appreciate the differences they did find between the two types of food — differences that validated the reasons people usually cite for buying organic. Organic produce, as expected, was much less likely to retain traces of pesticides.

Organic chicken and pork were less likely to be contaminated by antibiotic-resistant bacteria.

“Those are the big motivators for the organic consumer,” said Christine Bushway, the executive director of the trade association.

The study also found that organic milk contained more omega-3 fatty acids, which are considered beneficial for the heart.

“We feel organic food is living up to its promise,” said Sonya Lunder, a senior analyst with the Environmental Working Group, which publishes lists highlighting the fruits and vegetables with the lowest and highest amounts of pesticide residues.

The Stanford researchers said that by providing an objective review of the current science of organic foods, their goal was to allow people to make informed choices.

In the study — known as a meta-analysis, in which previous findings are aggregated but no new laboratory work is conducted — researchers combined data from 237 studies, examining a wide variety of fruits, vegetables and meats. For four years, they performed statistical analyses looking for signs of health benefits from adding organic foods to the diet.

The researchers did not use any outside financing for their research. “I really wanted us to have no perception of bias,” Dr. Bravata said.

One finding of the study was that organic produce, over all, contained higher levels of phosphorus than conventional produce. But because almost everyone gets adequate phosphorus from a wide variety of foods, they said, the higher levels in the organic produce are unlikely to confer any health benefit.

The organic produce also contained more compounds known as phenols, believed to help prevent cancer, than conventional produce. While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size of the difference varied widely from study to study, and the data was based on the testing of small numbers of samples. “I interpret that result with caution,” Dr. Bravata said.

Other variables, like ripeness, had a greater influence on nutrient content. Thus, a lush peach grown with the use of pesticides could easily contain more vitamins than an unripe organic one.

The study’s conclusions about pesticides did seem likely to please organic food customers. Over all, the Stanford researchers concluded that 38 percent of conventional produce tested in the studies contained detectable residues, compared with 7 percent for the organic produce. (Even produce grown organically can be tainted by pesticides wafting over from a neighboring field or during processing and transport.) They also noted a couple of studies that showed that children who ate organic produce had fewer pesticide traces in their urine.

The scientists sidestepped the debate over whether the current limits are too high. “Some of my patients take solace in knowing that the pesticide levels are below safety thresholds,” Dr. Bravata said. “Others have questioned whether these standards are sufficiently rigorous.”

Similarly, organic meat contained considerably lower levels of antibiotic-resistant bacteria than conventionally raised animals did, but bacteria, antibiotic-resistant or otherwise, would be killed during cooking.

Dr. Bravata agreed that people bought organic food for a variety of reasons — concerns about the effects of pesticides on young children, the environmental impact of large-scale conventional farming and the potential public health threat if antibiotic-resistant bacterial genes jumped to human pathogens. “Those are perfectly valid,” she said.

The analysis also did not take factors like taste into account.

But if the choice were based mainly on the hope that organic foods would provide more nutrients, “I would say there is not robust evidence to choose one or the other,” Dr. Bravata said.

The argument that organic produce is more nutritious “has never been major driver” in why people choose to pay more, said Ms. Lunder, the Environmental Working Group analyst.

Rather, the motivation is to reduce exposure to pesticides, especially for pregnant women and their young children. Organic food advocates point to, for example, three studies published last year, by scientists at Columbia University,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and Mount Sinai Hospital in Manhattan. The studies identified pregnant women exposed to higher amounts of pesticides known as organophosphates and then followed their children for years. In elementary school, those children had, on average, I.Q.’s several points lower than those of their peers.

Critics of the Stanford study also argue that lumping all organic foods into one analysis misses the greater benefits of certain foods. For example, a 2010 study by scientists at Washington State University did find that organic strawberries contained more vitamin Cthan conventional ones.

Dr. Crystal Smith-Spangler, another member of the Stanford team, said that the strawberry study was erroneously left out but that she doubted it would have changed the conclusions when combined with 31 other studies that also measured vitamin C.

728x90
728x90

농산물 가격이 오르락내리락 하는 현상과 관련하여 그를 바라보는 농민의 좋은 글이 있어 퍼옵니다. 이그누(ykwoo3) 님의 "덤바우잡설" 게시판( http://blog.hani.co.kr/ewook/78465)에서 퍼왔습니다. 




안심하시라, 배추는 20센트였다


 흑룡 새해 벽두, 대통령이 말씀하셨다. “20달러짜리 배추가 지구상 어디에 있느냐!” 두 해전(2010년) 배추 파동을 염두에 둔 발언이고, 농축산물 물가를 잡는 것이 물가안정의 지름길이라는 믿음의 강조어법이겠다. 농사꾼으로서 새해 댓바람부터 나라님에게서 듣는 소리로 썩 유쾌하지 않을뿐더러 물가통제의 책임자를 지정하라는 소리에는 포괄적 책임전가, <배임>의 혐의까지 느껴진다.

수입 농산물 가격 상승    

 농축산물이 물가상승의 주범일까? 과연 그럴까? 그렇기도 하고 아니기도 하다. 이런 답 같지 않은 답을 내놓는 이유는 우리가 농산물 순수입국이기 때문이다. 쌀을 제외한 우리나라의 주요곡물 자급률이 3% 내외인 현실을 전제로 농산물이 물가에 끼치는 영향을 살펴야 한다는 말이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한 보고서(‘국제 농산물 가격 상승의 원인과 전망’)에 따르면, 생산 감소, 소비증가, 곡물 선물 투기 증가 등으로 인해 최근 국제 곡물 가격이 상승하고 있다고 한다. 2010년 하반기 대비 2011년 상반기 사료는 11.5%, 제분은 31.3%, 유지와 식용유는 6.6%, 제당은 30% 상승했다. 밀, 옥수수, 콩의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하는 우리나라로서는 원자재 가격 상승은 가공식품 가격 상승을 부르고 이는 고스란히 물가에 반영된다고 할 수 있겠다. 요컨대 농축산물 가격 급등은 대통령의 진단과는 달리 글로벌 현상인 것이다.

농산물 소비지출과 가중치

 국산 농산물은 사정이 어떨까? 우리 농산물이 소비자 물가에 끼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우선 ‘가중치’라는 용어를 이해하여야 한다. 가중치는 도시가구의 월 평균 소비지출 총액 중 해당 품목을 소비하는데 지출한 금액의 비중을 말한다. 현행 소비자물가지수의 가중치 내역을 보면, 2005년 기준으로 농축수산물은 88.4(농산물 54.5), 공업제품 307.4, 서비스품목이 604.2이다. 소비지출이 총 100이라면 농산물 소비에 8.84%를 쓴다는 말이므로 그 비중이 무척 낮음을 알 수 있다. 이는 공업제품 30.74%, 서비스 60.42%와 비교할 때 확연히 드러난다. 1995년의 식료품 소비지출은 26.6%였는데 비해 2010년에는 13.8%로 줄어들었다. 이는 전체 소비지출 대비 농산물 소비지출이 매우 적어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따라서 우리 농축산물은 물가상승의 주범이 아니라 오히려 종범 측에도 끼지 못하는 것이다.

생산 감소가 문제다

 농사짓는 나도 20달러짜리 배추는 먹고 싶지 않다. 그러나 생산량이 급감하면 가격 급등은 어쩔 수 없는 노릇이고, 언젠가 대통령이 말한 대로 배추 대신 양배추로 김치를 만들어 먹을 수밖에 없다.(그런데 배추가 그 지경이면 양배추는 쌀까? 일반적으로 양배추는 늘 배추보다 비싸다.) 아니면 김치를 포기하든가.

 김장배추 주요산지의 재배규모는 꾸준히 감소하여 2010년도에는 13,540헥타르였던 것이 2011년에는 17,326헥타르로 늘었다. 2010년 김장배추의 가격이 워낙 좋았기 때문에 농민들의 재배욕구를 한껏 높인 것이 이렇게 된 가장 큰 이유겠다. 

 우리가 주목해야 할 것은 2008년에서 2010년 사이에 보여준 김장배추 재배면적의 꾸준한 감소 경향이다. 2012년을 고비로 그 감소가 가속화될 가능성이 크다. 왜냐하면 2011년 배추가격이 엉망이었기 때문이다. 이는 2010년 고추가격이 상대적으로 좋았는데도 2011년 고추 재배면적이 늘기는커녕 줄어든 것으로도 추측할 수 있다. 주요산지 고추재배면적은 2008년에는 48,825헥타르였으나 매년 줄어 2011년에는 42,574헥타르였다. 이는 전체 농작물 재배면적이 2007년 1,781,579헥타르였던 것이 2010년에는 1,715,301헥타르인 것으로도 확인할 수 있다. 
 요컨대 재배면적 축소와 이상기후, 그리고 농업종사자의 고령화와 감소, 그리고 경작 포기 농산물의 증가 등으로 농작물의 상습적인 가격폭등을 해마다 보게 될지도 모른다. 

 농산물 가격의 안정은 소비자보다 농민이 더 원하는 일이다. 2011년, 20달러의 꿈을 안고 자라던 배추가 수확도 보지 못하고 트랙터에 갈려 나갔다. 농산물의 폭등, 폭락의 어지러운 시소게임에 늙은 농민들은 이제 진저리치기에도 지쳤다. 농업이 농민의 손을 떠난 지 이미 오래다. 도대체 이 노릇을 어찌 하면 좋을까?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