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논36 소로리 볍씨는 가장 오래된 재배 벼인가? 한때 한국의 농업 관련된 사람들을 흥분시켰던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볍씨의 발견. 물론 그것이 의미는 있으나 가장 오래된 재배 벼는 아니라는 사실을 기억하는 게 중요하다. 그 볍씨를 가지고 한반도가 최고의 벼농사 지역이었다는 둥, 그래서 우리 민족이 대단하다는 둥 하는 류의 이.. 2016. 6. 23. 지렁이가 사라진 흙 한국의 농지에서 지렁이의 개체수를 조사한 자료에 의하면, 유기농지 약 75%, 시설재배 42%, 휴경지 33%, 관행농지 20%로 나타납니다. 즉 농지에서 숨은 일꾼인 지렁이가 사라지고 있는 것입니다.지렁이가 살 수 없는 흙에 여타 미생물이라고 온전히 살아갈 수 있겠습니까? 농지에서 작물만 .. 2015. 2. 6. 무경운 이앙기 오늘은 아는 분이 무경운 벼농사에 관해 부탁하신 일이 있어 인터넷을 뒤졌다. 실제로 본인이 시도해 보려고 하는데 농기계를 구할 수 없냐는 부탁이다. 그래서 일본 불경기재배보급회 홈페이지에 들어가 여기저기 뒤지던 중 농기계 관련한 게시물을 발견했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았다(.. 2015. 1. 28. 아시아 지역의 농민들 먼저 방글라데시의 산간 지역에서 밭벼 농사를 짓는 농민들. 수확에 한창이다. 낫으로 벼를 베어 머리로 고정시킨 바구니에 휙 뒤로 던져 넣는 모습이 인상적이다. 그렇게 수확한 벼 등의 곡식은 절구질을 하여 껍질을 제거하고 먹는다. 나무 절구와 공이 등이 예전 한국에서도 쓰던 것과.. 2014. 11. 7. 논을 삶다 인터넷에서 동남아인지 인도인지 모르겠으나 논에서 써레질을 하는 모습의 사진을 보았다. 이러한 작업을 우리말로는 '삶다'라고 표현한다. 국어사전을 찾아보면 "논밭의 흙을 써레로 썰고 나래로 골라 노글노글하게 만들다"라고 나온다. 위의 과정은 정확히는 써레로 써린 다음 나래로 .. 2014. 7. 9. 논에 녹조가 생기는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 가까운 일본에서는 녹조가 생기는 논에 소나무 가지를 꺾어다 꽂아 놓는 방법을 이용해 문제를 해결하는 움직임이 널리 퍼지고 있단다. 일본의 농민들이 이야기하기를, 녹조가 생기면 가장 큰 문제는 제초제가 통하지 않아 피와 같은 풀 문제가 심각해진다는 점이다. 그를 해결하기 위해.. 2014. 7. 7. 이전 1 2 3 4 5 6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