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논36 충북 지역 논 25.7% "죽지 않는 잡초에 골머리" 과연 제초제에 내성이 생긴 풀의 문제의 미국만의 문제이겠냐 싶었는데, 한국에서도 과학적으로 조사한 자료가 나왔다. 바로 충청북도 지역의 논을 대상으로 조사한 내용인데 이것이 충북만의 문제는 아닐 것이다. 대략 30% 정도의 면적에서 제초제 내성 풀이 발견되는 듯하다. 이것이 벼.. 2012. 5. 16. 캄보디아의 벼농사: 제초기 Sorn Ken은 논에서 김매기할 때 함께하는 걸 좋아한다. 그녀의 자매 So Van은 논에서 그녀를 돕고, Sorn은 똑같이 도울 것이다. 그녀는 자매의 논 귀퉁이에서 “우린 이야기를 나누고, 피곤하면 쉬면서 잡담을 나눈다”고 말한다. “그게 남과 함께 논에서 김매기하는 즐거움이다.” Sorn은 캄보디아 남부의 T.. 2011. 5. 19. 줄모와 막모 줄모를 내다가 마지막에 막모를 내는 모습. 원래 조선놈들은 막모를 냈습니다. 그도 그럴 것이 대부분의 논이 천둥지기였고, 그래서 이런저런 농사일을 하다 비가 내리길 기다렸다가 모를 내야헸고, 남자들이 중심이 되어 논농사를 책임지다 보니 더욱 그랬습니다. 그러다... 일제강점기가 되어 근대.. 2010. 6. 9. "논-밥 한 그릇의 시원"이란 책과 관련한 질의서 안녕하세요, 저는 경기도 안산에서 농사지으며 '귀농통문'이란 계간지의 편집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는 김석기라고 합니다. 얼마 전 귀 출판사에서 나온 "논 - 밥 한 그릇의 시원"이란 책을 구입해서 보았습니다. 요즘 보기 드문 농사에 관한 책이라 재미있게 읽었습니다. 많은 걸 배우고 많은 걸 생각하.. 2010. 6. 7. 일본의 농기구 - 논 제초기 우리나라에서도 간혹 볼 수 있는 논 제초기. 줄모를 냈을 때만 쓸 수 있는데, 그 효율이나 쓰는 방법은 보지 못해서 잘 모르겠다. 2009. 11. 4. 전통농업에서 배우자(30) -권유옥 선생(김포) 전통농업에서 배우자(30)-권유옥 선생(김포) 임금에게 진상하던 자광미, 맛은 최고예요 너른 김포 들판 사이로 난 좁은 농로를 따라 하성면 석탄리에 사시는 권유옥(67) 선생님을 찾아뵈었습니다. 선생님께서는 이곳에서 나 지금까지 사는 ‘토백이’라고 자신을 소개하셨습니다. 지금도 .. 2008. 8. 19. 이전 1 ··· 3 4 5 6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