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당신이 기아, 사회위기, 기후변화에 대해 걱정한다면 답은 하나다: 소규모 농업

Document Actions


drying rice by john cavanagh

Organic rice being dried by sun. North Cotabato, Philippines.

Photo by John Cavanagh

There is battle raging across the world over who can better feed its people: small-scale farmers practicing sustainable agriculture, or giant agribusinesses using chemical fertilizers and pesticides. 

It was small-scale organic farmers growing rice for themselves and local markets in the Philippines who first convinced us that they could feed both their communities and their country. Part of what convinced us was simple economics: These farmers demonstrated substantial immediate savings from eliminating chemical inputs while, within a few harvests—if not immediately—their yields were close to or above their previous harvests. From these farmers, we also learned of the health and environmental benefits from this shift.

Moving up from what we learned in the Philippines to examine other countries, we have concluded that small-scale farmers practicing different kinds of what is now called agroecology can feed the world. Agroecology extends the organic label to a broader category of ecosystem-friendly, locally adapted agricultural systems, including agro-forestry and techniques like crop rotation, topsoil management, and watershed restoration. (For more details on our research and conclusions, check out our “Can Danilo Atilano Feed the World?" in the current Earth Island Journal, the magazine of the California-based Earth Island Institute.)  

Eager to learn more and network with others from across the globe, Robin accepted an invitation from theTransnational Institute and the International Institute of Social Studies to speak about our Philippine research at a global conference in the Netherlands on alternative approaches to food and hunger.

"We won’t solve hunger and stop climate change with industrial farming on large plantations."

She came away even more convinced that small-scale farmers are our only hope. She also came away excited to have met an impressive range of experts on the subject, including a bold champion for small-scale farmers: United Nations “Special Rapporteur on the Right to Food” Olivier de Shutter. Modest and articulate, de Schutter looks more like the Belgian law professor he is than the outspoken proponent of small-scale agroecology he has become.  

A UN report may sound like dry reading but de Schutter’s is filled with zingers. Case in point: “Recent [agroecology] projects conducted in 20 African countries demonstrated a doubling of crop yields over a period of 3-10 years.” Indeed, de Schutter’s December 2010 report pulls together studies from all over the world that analyze small-scale farmers practicing agroecology.

The result is powerful stuff. As de Schutter concludes, “We won’t solve hunger and stop climate change with industrial farming on large plantations. The solution lies in supporting small-scale farmers’ knowledge and experimentation, and in raising incomes of smallholders so as to contribute to rural development.” As he put it at the conference, “Each region must be able to feed itself.”

rice field by robin broad

Rice field, with papaya saplings. Bataan, Philippines.

 

Photo by Robin Broad

De Schutter’s work reinforces not just our findings, but what another conference’s speaker, U.S. food expert and firebrandFrances Moore Lappé, has been arguing for decades: We already grow more than enough food to feed the world’s people. The problem is not yields or production per se; it is that conventional plantation agriculture, combined with a development model that prioritizes cheap exports over food crops, have pushed millions off their fields. The nearly one billion people who are hungry are in that situation primarily because they no longer have land to grow their own food or because they are too poor to buy food.

The conference also featured Martha Robbins, an impressive young Canadian woman who, along with her parents and siblings, runs a family farm. Robbins spoke as a member of Via Campesina, which represents about 200 million small-scale farmers in 70 countries in a movement that promotes “food sovereignty,” by which they mean “defending small-scale farming, agroecology and local production.” Robbins focused many of her remarks on Via Campesina’s work with other young farmers: “We’re seeing a paradigm shift,” she emphasized, with “youth increasingly interested in farming.” 

The U.S. government is working with Monsanto to push farmers [in Nepal] to adopt chemical agriculture using imported Monsanto seeds.

De Schutter made it clear that his UN report builds on such on-the-ground experiences as Robbins’ and also on the rich body of work on agroecology by scholar-practitioners.  Notable among these are other conference speakers such as Berkeley’s Miguel Altieri, Food First’s Eric Holt-Gimenez, who works with the Campesino-a-Campesino movement, and conference organizer and Philippine peasant expert Jun Borras—all champions of small-scale farmers and agroecology.

Fatou Batta photo courtesy of Groundswell International
Women Farmers Feed the World

Why the question of agricultural sustainability is also 
a question of equality.

So, what is the take-away from all this? Well, as individuals and communities, we have a lot to do with influencing the future of farming. At a minimum, we need to “vote with our forks,” to use the phrase of the “slow food” movement. This means buying local, organic, and whole-grain products and limiting our consumption of meat, as Tony Weis stressed at the conference. But beyond that, we need to raise our voices and collective power to convince governments,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nd philanthropists such as the Gates Foundation to stop supporting and subsidizing chemical agribusiness and global trade, and instead shift incentives to local farmers and domestic production. 

But let us not be naïve: The fight against giant agribusiness and chemical firms is a major one. Indeed, a key immediate battle where we need to raise our collective voices, outrage, and action is over Monsanto’s incursion into Nepal. Even as we write, the U.S. government is working with Monsanto to push farmers there to adopt chemical agriculture using imported Monsanto seeds. 

Whether one is worried about hunger and global social crises, or climate change and other ecological crises, the answer is the same: small-scale organic farmers. Their future is central to whether the battle to end hunger can be won.


John Cavanagh and Robin BroadJohn Cavanagh and Robin Broad wrote this article for YES! Magazine, a national, nonprofit media organization that fuses powerful ideas with practical actions. 

Robin is a Professor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at American University in Washington, D.C. and has worked as an international economist in the U.S. Treasury Department and the U.S. Congress. John is director of the Institute for Policy Studies, and is co-chair (with David Korten) of the New Economy Working Group. They are co-authors of three books and numerous articles on the global economy, and have been traveling the country and the world for their project Local Dreams: Finding Rootedness in the Age of Vulnerability. 

Interested?

  • Slower Living for a Rooted Future
    Vermont is leading the way toward agricultural and economic change. What we can learn from the "Slow Living Summit" about building sustainable economies everywhere.
  • Cornerstones of a Rooted Economy
    Can the small fishers of Trinidad and Tobago become pillars of a new economy when the oil- and gas-based economy finally runs dry?
  • The Coming Global Food Fight
    As aggression mounts with the rise of food prices worldwide, small-scale farms rooted in local markets could avert international disaster—and lead the way to "food democracy."


728x90
728x90

Summary:

Agrobiodiversity, or agricultural biodiversity, includes all the components of biological diversity of relevance to food and agriculture, as well as the components of biological diversity that constitute the agro ecosystem: the variety and variability of animals, plants and micro organisms, at the genetic, species and ecosystem levels, which sustain the functions, structure and processes of the agro ecosystem. Indigenous and traditional agricultural communities throughout the world depend on, and are custodians of, agrobiodiversity maintained within agricultural landscapes through various forms of traditional resource management. These communities are coping with an increasing number of interlocking stresses that result from different aspects of global change, including the problems related to population increase, insecure and changing land ownership, environmental degradation, market failures and market globalization, and protectionist and inappropriate policy regimes and climate change (Morton, 2007). Climate change presents a major concern, often interacting with or exacerbating existing problems. It makes new demands for adaptation and coping strategies, and presents new challenges for the management of the environment and agro ecosystems. Discussions on global policies related to climate change have largely disregarded the potentially negative effects of many of the proposed policies on indigenous and traditional agricultural communities and their livelihoods and rights. Agrobiodiversity has also been largely overlooked in discussions on climate change, despite its importance for the livelihoods of rural communities throughout the world and for the development of adequate adaptation and mitigation strategies for agriculture.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IPCC) report (Adger et al., 2007) ignores the role of diversity in production systems and the central role that agrobiodiversity will have to play in both adaptation and mitigation at the country, landscape, community and farmer levels. Indigenous and traditional agricultural communities are adapting to change and are developing ways of strengthening the resilience of agricultural landscapes through various local strategies based on the protection of traditional knowledge and agrobiodiversity. The approaches being adopted include the use of centuries old traditional practices (e.g. the forest management of indigenous Hani people of Yunnan province in China, and 3000 year old Cajete terraces and the associated agricultural system in Mexico) and their adaptation to changing conditions, as well as the development and adoption of new approaches. Over the past two years the Platform for Agrobiodiversity Research has been collecting information on the ways in which indigenous peoples and rural communities have been using agrobiodiversity to help cope with climate change. The information comes from over 200 different stories, reports and articles from many different sources . Here we present an analysis of the information and identify the most important adaptation strategies adopted. We also set out some of the ways in which agrobiodiversity can be used to help improve the adaptability and resilience of the farming systems managed by rural communities and indigenous peoples around the world. A conceptual framework was designed to enable the review of a wide range of community devised strategies employed in agricultural ecosystems and landscapes in different environments (mountains, drylands, forests, wetlands and coastal regions). The results of the review elucidate the intrinsic link between adaptation and the protection of ecosystem, agrobiodiversity and traditional knowledge.

Keywords:

Agro-biodiversity, climate change, Agroforestry, Home gardens and other diversity-rich approaches, Crop, soil and water management, Organic agriculture, Traditional food systems, Pastoralism, Pollinator


UNDERSTANDING ADAPTATION

Together with increasing temperatures, climate change also leads to increasingly unpredictable and variable rainfall (both in amount and timing), changing seasonal patterns and an increasing frequency of extreme weather events, floods, droughts and .re. These can result in decreasing productivity, changing agro-ecological conditions, increasing or altered patterns of pest activity and accelerating rates of water depletion and soil erosion. The changes, and the responses of communities to them, are many and varied in both nature and extent, depending on situation, culture, environment (mountains, drylands, forests, wetlands, coastal), agro-ecosystem, environment and opportunities. In order to understand and analyse the information an appropriate conceptual framework was needed.
The impacts of climate change are felt at the level of the natural resource base upon which rural communities depend, at the farming system level, and at the level of individual species (Vershot et al., 2005). At each level, communities employ a different set of actions to enhance the resilience of local food systems. This grouping of activities into the ecosystem or landscape level, the farm level, and the species level provides a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a conceptual framework for helping to understand how communities use agrobiodiversity and ecosystem services to adapt to climate change.
Indigenous and traditional agricultural communities develop their local food systems at the ecosystem or landscape level (or the system level) by managing ecological and biological processes within the system. In this way, they construct niches, shape microclimates, encourage landscape regeneration and influence gene flow. These management activities are often regulated by social institutions, customary laws and cultural values, which encompass traditional agro-ecological knowledge. Based on the feedback from the environment, the management practices are adjusted in a way that supports the maintenance of the ecosystem, helps maintain agrobiodiversity and enhances resilience to climate change (Salick and Byg, 2007). This type of adaptive management is perhaps best understood by using a whole system approach, in which the adaptability and resilience of the system and its components are determined by actions at different levels and interactions within the system, as illustrated in Fig. 1. The system can be an ecosystem, for example a watershed, or an agricultural landscape spreading across ecosystems, for example an agricultural landscape consisting of terrestrial and aquatic components.
Some studies refer to the whole ‘socio-ecological’ system as a way of including the concept of adaptation in environments in which humans are involved. Socio­ecological systems behave as complex adaptive systems, in which the humans are integral components of the system seeking to decrease vulnerability and increase resilience of the system through different management strategies (Walker et al., 2004). The vulnerability of such systems relates to the exposure and sensitivity to perturbation and external stresses, and the capacity to adapt (Adger, 2006). In these systems, resilience can be described as the capacity of a system to absorb recurrent disturbance and reorganize while undergoing change without losing its function, structure, identity and feedback (Walker et al., 2004). The ability of the humans to influence the resilience of the system is referred to as their adaptive capacity (or adaptability). The material within the agro-ecosystem, including species complexes, soil biota and traditional varieties, can also possess greater or lesser adaptability and capacity to evolve and change in the face of changes in temperature, rainfall or other environmental changes.


Figure 1 -Resilience is enhanced through the activities at and between different levels within a system.


Here we use this system-based approach to identify (i) the main adaptation strategies at the levels of the ecosystem, the agricultural system, and inter- and intra-species diversity, and (ii) interactions between the levels that contribute to the resilience of a system. A special focus is put on the social and community dimensions of adaptation discussed in the sections following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e main patterns and approaches that emerge are illustrated with specific examples taken from the cases studied.

ADAPTATION STRATEGIES
ECOSYSTEM ­ OR LANDSCAPE-BASED APPROACHES

At the ecosystem or landscape level, adaptation activities can reduce the impacts of climate change and buffer their effects, reducing the negative impacts on humans and the environment. A variety of projects have been undertaken to protect and restore ecosystems, rehabilitate degraded landscapes and sustainably manage natural resources. These strategies appear to reduce vulnerability and strengthen resilience of local food systems to floods, droughts, rising sea level and extreme weather events. Examples from forest and mountain ecosystems, coastal areas, drylands and wetlands are given in the following paragraphs.
In Nicaragua, Honduras and El Salvador, where climate change has exacerbated soil erosion and watershed degradation, a forest landscape restoration project has been undertaken. This aimed to increase the resilience of tropical hillside communities by halting deforestation, restoring watersheds, diversifying production systems and encouraging sustainable landscape management (IISD, 2003a). In the Philippines, the Camalandaan Agroforest Farmers Association, a community-based land and resource management organization, have undertaken tree planting and forest protection to reduce sudden onrushes of water (during the rainy season) and depletion of water reserves (during the dry season) (Equator Initiative, 2008b).

In the coastal regions of Asia and Africa, community-based mangrove restoration has been undertaken in Indonesia, Thailand, Cambodia, Kenya, Senegal and Zanzibar. Mangroves function as a protection against storms and can help to mitigate salt water intrusion, coastal erosion and floods.
Restoration of watersheds is helping to reduce vulnerability to climate change-associated stresses in a number of regions. In the drought-prone regions of Maharashtra in India, rehabilitation of a watershed ecosystem conducted on a micro-catchment basis helped to improve soil conditions, increase water availability, regenerate landscape and diversify agricultural production through a number of activities, including water harvesting and the encouragement of natural regeneration (IISD, 2003b).
In many cases, sustainable management practices have been revived and implemented to reduce vulnerability and enhance resilience. In Sudan, a community-based rangeland rehabilitation project aimed at increasing resilience to drought by improving soil productivity through sustainable land management, diversification of production systems, agroforestry and sand dune fixation (IISD, 2003b). In Tibet, pastoralists have engaged in the restoration of peatlands (Wetlands International, 2009). Thousands of hectares have been restored by regulating grazing pressure and erosion. It is believed that this will regulate the .ow of the Yellow and Yangtze rivers, thereby reducing flooding and drought risks for the communities downstream.

IMPROVING THE RESILIENCE OF AGRICULTURAL SYSTEMS

At the level of the agricultural system, adaptation strategies include integration of trees and livestock into production systems; cultivation of a higher diversity of crops (diversification); and improved crop, water and soil management. These are not usually carried out singly but are combined in different ways depending on the ecology, needs of communities, availability of different materials and the challenges faced. Most adaptation initiatives include the use of approaches based on agroforestry and crop diversification, which are often combined with improved crop, soil (including soil biota and nutrients) and water management. Adaptation activities include both the revival of traditional production practices and the adoption and development of new techniques (e.g. a switch to low input agriculture and the use of alternative ways of livestock management). Some examples follow.

Agroforestry

Agroforestry is an increasingly important adaptation strategy for enhancing resilience to adverse impacts of rainfall variability, shifting weather patterns, reduced water availability and soil erosion. In Burkina Faso, to fight desertification and rehabilitate degraded land, trees are planted in the fields and around villages with a traditional water harvesting and soil improvement technique known as zaï. This technique, in combination with crop diversification and other techniques, through innovation and experimentation, has resulted in the development of an integrated agro-sylvo-pastoral system with higher resilience to droughts (Taonda et al., 2001).

Home gardens and other diversity-rich approaches

A number of adaptation case studies emphasize the importance of diverse home gardens in ensuring the family food supply in areas significantly affected by climate change. Examples from Bangladesh describe two types of adaptation strategies for enhancing the resilience of home gardens. In drought-prone regions, the resilience of traditional homestead gardens is strengthened through intercropping of fruit trees with vegetables, small-scale irrigation and organic fertilizers (FAO, 2010a). In the flood-affected regions, floating gardens have been created for cultivation of a mix of traditional crops, including saline-tolerant vegetables such as bitter gourd, red amaranth and kohlrabi. The floating gardens, in combination with alternative farming methods such as duck rearing and fishing, are important source of food during floods (Haq et al., 2009).

Crop, soil and water management

In arid and semi-arid regions, and increasingly in the sub-tropics and the tropics, soil productivity and water availability have decreased due to a combination of climatic and non-climatic factors such as ecosystem degradation and over-exploitation. Improved management of soil and water within cropping systems has helped communities to cope with these problems. In a number of adaptation projects, traditional soil and water management practices involving diversified cropping have been revived. Traditional knowledge is often combined with innovation resulting in better crop, soil, and water management practices. The most common methods for the improvement of soil productivity and water availability are a combination of: minimum soil disturbance, direct seeding or planting, live or residue mulching, cover crops with deeper rooting crops including annual and perennial legumes, micro-catchment water harvesting (e.g. infiltration pits and planting basins) and re-vegetation. These are key elements of practices that have become known as Conservation Agriculture in which ecosystem services are enhanced within the production systems at the farm and landscape level.
In Burkina Faso, to rehabilitate the soil, farmers apply mulch to degraded land, which attracts termites. The termites open burrows through the sealed surface of the soil and slowly improve soil structure and water infiltration and drainage (Ouédrago et al., 2008). In Sri Lanka, saline lands are brought back into production with green manure. Green manures are grown in situ (sunn hemp, green gram, black gram and grasses) or green leaf manure is obtained from trees and bushes around the fields (Vakeesan et al., 2008). In Jamaica, guinea grass mulching is a local strategy adopted in the low-rainfall areas to control soil erosion, increase the water retention capacity of the soil and improve soil structure (FAO, 2010b).
Traditional rainwater harvesting and irrigation systems have been revived and play an important role in augmenting the water supply in water stress-prone environments. In Tunisia, there is an increasing interest in jessour, a traditional system of dams and terraces for collecting run-off water, which enables cultivation of olives, fruit trees, grains and legumes (Reij et al., 2002). In the Andes, the Quechua have revived the waru waru, an ancient cultivation, irrigation and drainage system for increasing the productivity of land with high salinity levels and poor drainage in areas with frequent droughts and frost (Ho, 2002). The waru waru regulate microclimate, soil moisture and pest activity.

Organic agriculture

Farmers’ experiences show that organic agricultural practices, both traditional and innovative, can strengthen the resilience of local food systems. Reports on the importance of organic agriculture come from India, Ethiopia, Bangladesh, Nepal, Honduras, Sri Lanka, Thailand, Nicaragua, Cuba and the Philippines. In Rajasthan, India, an increasing number of small-farmers are adopting vermicomposting – a non-traditional method of improving the nutrient content and water-holding capacity of the soil. This method is combined with cultivation of stress-tolerant crops, crop diversification, green manuring and mulching (Shah and Ameta, 2008). In Nepal, farmers use traditional and non-traditional organic agricultural practices to improve water use efficiency, prevent erosion and improve the productivity of cropping systems (Ulsrud et al., 2008).

Traditional food systems

In traditional food systems a number of methods are used to maintain soil productivity
(e.g. intercropping, crop rotation, fallowing). These practices continue to ensure food and livelihood security under increasing climate change and variability. The United Nations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database of local coping strategies includes the following examples of traditional agricultural practices (UNFCCC, 2010).

  • In Tanzania, the Matengo living in the highlands have cultivated steep slope fields for more than a century using a grass-fallow-tied ridge system to grow maize, beans, wheat and sweetpotatoes, all on a rotational basis with a fallow period.
  • In Indonesia, the Kasepuhan of West Java optimally utilise their natural resources through an integrated fish-rice system. Fish-rice farming systems are also used in a number of other Asian countries such as Bangladesh.
  • In Goa, India, the Khazans’ agriculture-aquaculture system, based on the principle of a tidal clock and salinity regulation, ensure sustainable management of resources. on the Indian Andaman and Nicobar Islands farmers cope with the extreme heat and dryness of summer through a number of techniques, including mulching and intercropping of coconut and betel nut seedlings with banana plants.
  • In Bhutan, in periods of food scarcity due to extended dry seasons and infestation by pests and diseases, subsistence farmers rely on wild foods. The farmers cultivate crops, rear livestock, and manage common pool resources such as communal grazing land and communal forests for leaf litter and forest-based food products (wild tubers, fruits, vegetables, medicines etc). In times of crop failure due to delayed or weak monsoon and pests, livestock and wild foods meet the household nutritional requirements.

Pastoralism

Pastoralists in the Sahel, by breeding their herds over many generations in often harsh and variable environmental conditions, developed many different breeds with valuable traits. Traditional pasture and herd management systems include the conservation of natural ecosystems through extensive ranching and rotational grazing, and keeping a mixture of cattle, goats and sheep (Morton, 2007). Due to the effects of climate change, mainly the more frequent occurrence of drought; species and breeds with adaptive traits are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In the Ethiopian Borana rangelands, pastoralists have retained their nomadic ways but are replacing their cattle herds with camels, which feed on trees as well as grasses and can survive longer periods without water (New Agriculturalist, 2009a).

Pollinators

During the past few years apple production in Himachal Pradesh, India has been continually declining. A study has shown that this decline in productivity is due to pollination failure (Pratap, 2008). The reasons are lack of trees that can provide fertile compatible pollen and lack of pollinators (bees, butter.ies and moths). To overcome the lack of insect pollinators farmers are renting honeybees, decreasing the numbers of pesticide sprays and carrying out hand pollination (Pratap, 2008).

THE USE OF INTER- AND INTRA-SPECIES DIVERSITY

Maintenance of high levels of inter- and intra-species diversity is a strategy to decrease vulnerability and enhance resilience to climate change and associated stresses. Adaptation activities include the maintenance and reintroduction of traditional varieties, the adoption of new species and varieties to meet newly developed production niches, and the development of ways of ensuring that materials remain available (e.g. community seed banks) and adapted (e.g. participatory plant breeding). Linked to the developed of adapted and adaptable materials have been adjustments in cropping patterns and crop cycle.
As a result of climate change, indigenous and local crops and varieties, particularly drought-, salt- and flood-tolerant, fast-maturing and early- or late-sowing crops and varieties, are increasingly cultivated. Their availability is improved though the establishment of community seed banks. Reports from drought-prone regions of Zimbabwe, India, Nicaragua, Kenya, Vietnam, the Philippines, Mali, the Timor Islands and other countries show an increasing importance of drought-tolerant crop varieties of millet, sorghum and rice. The reports also mention other drought-tolerant species and varieties of cereals, fruit and vegetables as well as wild species. In Botswana and Namibia, drought-tolerant wild fruit tree species (e.g. Sclerocarya birrea, local name: morula; Azanza garckeana, local name morojwa) are planted around the villages with the aim of domesticating them (Bonifacio and Zanini, 1999). In the areas experiencing an increased level of flooding and salinization of freshwater and agricultural land; salt- and flood-tolerant crops and varieties have been introduced. In India, community seed banks with a focus on rice have been established to strengthen the community seed supply of flood-resistant varieties in Bihar and Bengal and saline-resistant varieties in Orissa (Navdanya, 2009).
Several reports indicate a switch to short-duration varieties and adjustments in planting and harvesting dates as a response to a decreasing length of growing season and changes in seasonal patterns of precipitation and temperature. In India, in areas where crops had failed due to heavy rainfall during the pod formation stage, farmers have switched to short-duration varieties and adjusted sowing depth and date (unpublished data). In Cambodia, there is a shift in the planting date of rice; rice seedlings are planted in November instead of in September (Mitin, 2009). In Ghana, farmers are planting early maturing crops and sowing the seeds earlier than in previous years (Mapfumo et al., 2008).
In Uttar Pradesh, in the foothills of the Himalayas, communities are experiencing an increasing frequency of flash floods; dry spells during floods; changes in flood timing (longer, delayed or early); increased duration and area of waterlogging; and changes in time, volume, and pattern of rainfall.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required the development of a new crop calendar as illustrated below (Wajih, 2008). Crops that are fast-maturing, flood-tolerant and with soil-rehabilitating characteristics are planted according to the calendar.

Adapted from Wajih, 2008
The selection of new varieties by farmers and participatory plant breeding (PPB) are supporting adaptation to changing production environments. Often, adaptation and selection of traditional varieties is associated with on-farm conservation activities. In Bangladesh, the development of short-duration rice varieties formed part of the adaptation strategies of people living in the Gaibandha district of the Char islands, where there has been an increase in the land area affected by major floods from 35% in 1974 to 68% in 1998. on Timor Island, to strengthen the resilience of agriculture to erratic rainfall, farmers have developed their own varieties of maize, sorghum, foxtail millet, dryland rice and cassava (Kieft, 2001).
In Nepal, changes in the monsoon pattern have caused a disruption to rain-fed agricultural systems and exacerbated genetic erosion of local landraces with drought-resistant and lodging-tolerant characteristics. Farmers have responded by establishing a seed bank and engaging in a PPB programme. A total of 69 rice varieties have been revived and stored at the seed bank (Ulsrud et al., 2008).
In Honduras, farmers organized community-based agricultural research teams, to diversify their plant genetic resources and develop hardier plant varieties that grow well on their soils. Responding to the higher occurrence of hurricanes, farmers were able to produce improved maize varieties through a participatory breeding process that are shorter and capable of withstanding the physical trauma brought by the hurricanes, with a higher yield and yet are still adapted to high-altitude conditions. The selection process was accompanied by a conservation effort, as the seeds of the selected species are stored in a community seed bank, assuring availability of healthy and resistant plants (USC Canada, 2008).
In several countries the System of Rice Intensification (SRI), a different rice agronomy that also works well with traditional varieties, is spreading and already raising productivity and income of more than 1 million small indigenous and traditional farmers around the world on over 1 million hectares. SRI benefits derive from changes in the ways that their existing resources are used through a set of modified agronomic practices for managing rice plants and the soil, water and nutrients that support their growth.

Some of the main adaptation strategies at different levels
Ecosystem or landscape

Activities at the ecosystem and landscape level aim to mitigate and buffer the effects of climate change through ecosystem protection and restoration, landscape rehabilitation and the sustainable use of natural resources. Examples are:

  • Reforestation of tropical hillsides, riparian forests and mangroves.
  • Rangeland rehabilitation and improved pasture management.
  • Restoration of wetlands, peatlands, watersheds and coral reefs.
  • Re-vegetation in drylands.

Agricultural systems
At the agricultural system level, the resilience of local food systems is enhanced through the diversification and sustainable management of water and soil. Commonly employed strategies are:

  • Diversification of agricultural landscapes (agroforestry).
  • Diversification of production systems (cultivation of a higher diversity of crops and varieties and crop-livestock-trees integration.
  • Low-input agriculture, soil conservation and improved water management and use efficiency (mulching, cover crops, rainwater harvesting, re-vegetation, fallow, intercropping, crop rotation).
  • Adjustments in crop and herd management (changes in crop cycle).

Intra- and inter-species diversity

Intra- and inter-species diversity is protected, used and redistributed to strengthen the resilience of agricultural systems and maintain production in stress-prone environments. The main adaptation measures are:

  • Use of stress-tolerant and fast-maturing crop species and varieties; and stress-tolerant species and breeds of cattle.
  • Protection, reint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traditional crops through community seed banks and on-farm conservation.
  • Stress tolerance improvement through farmers’ selection and participatory plant breeding.

A WHOLE SYSTEM APPROACH

The main types of responses to climate change identified in the previous section illuminate the cross-scale processes, providing an insight into the adaptation dynamics (Fig. 2). The interplay between adaptation strategies at different levels contributes to the resilience of the whole system through (i) the links between natural and cultivated landscapes; (ii) the supportive role of agriculture in the protection and restoration of ecosystems; and (iii) the maintenance of species and genetic diversity.


Figure 2 – Adaptation dynamics.


THE LINKS BETWEEN NATURAL AND CULTIVATED LANDSCAPES

In many traditional agricultural landscapes, the wild and cultivated areas are integrated under a management system to complement each other. For instance, the common practice of rotational farming (shifting cultivation) exemplifies a situation in which it is often difficult to distinguish between cultivated and wild or natural landscapes. Within cultivated fields, where crops are planted, wild species are also recruited and tended. Various forms of forests and individual trees, though not planted, are cared for, managed and used for food, fuel, medicine, timber and various other necessities (Rerkasem et al., 2009).
The wild areas provide services essential for the resilience of the cultivated regions including erosion control, microclimate regulation, pest regulation and pollination. Wild species provide alternative sources of food and income during the periods of bad harvest or herd loss due to unfavourable weather conditions. Many communities harvest wild vegetables, fruits, tubers and other edibles from the forest during the year, especially during the season of greatest food scarcity.
Wild species with traits such as tolerance of extreme temperatures and salinity are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resources for communities. In Bangladesh flood-affected communities cultivate saline-tolerant varieties of reeds and saline-tolerant and drought-resistant fruit and timber trees, to reduce vulnerability to floods and sea-level rise and ensure longer-term income generation. This involved the establishment of community tree nurseries and distribution of indigenous varieties of coconut, mango and other fruit species as well as mangrove-associated species (Selvaraju et. al., 2006).

THE ROLE OF AGRICULTURE IN ECOSYSTEM PROTECTION AND RESTORATION

Sustainable types of agriculture can reduce the adverse impacts of climate change on fragile ecosystems and encourage rehabilitation of degraded landscapes, as illustrated by the following examples. In Rajasthan, India, where drought and environmental degradation severely impaired the livelihood security of local communities; a community-led, watershed-restoration programme reinstated johads, a traditional rainwater-harvesting system. Johads are simple concave mud barriers, built across small, uphill river tributaries to collect water and encourage groundwater recharge and improve forest growth, while providing water for irrigation, domestic use, livestock and wildlife (McNeely and Scherr, 2001). Restoration of over 5000 johads in 1000 villages has resulted in the restoration of the Avari River and the return of native bird populations (Narain et al., 2005). In Honduras and Nicaragua, an increasing number of farmers are abandoning the slash-and-burn technique and adopting the Quezungal slash-and-mulch agroforestry system, which draws on traditional practices of tree management and reduces crop damage caused by natural disasters (Bergkamp et al., 2003). In Honduras, the result has been the natural regeneration of around 60 000 ha of secondary forest, restoration of soil quality, and consequently better crop yields (New Agriculturalist, 2009b).

THE MAINTENANCE OF SPECIES AND GENETIC DIVERSITY

Cultivation of a high level of diversity in an agricultural system strengthens the system’s resilience. In turn, agricultural systems with diverse species and varieties of crops and livestock provide for the maintenance (in situ conservation) of diversity and the evolution of continually adapted populations. In many cases, introgression of genes from wild relatives or cross pollination results in new genotypes or helps to maintain the broad genetic base within crops In situ conservation of the agricultural diversity of genes and species often occurs within a mosaic of agricultural landscapes consisting of home gardens, fields, groves and orchards, and boundaries and niches that create diverse selection and adaptation factors through exposure to the environmental change. An example of the importance of genetic diversity has been the maintenance of traditional pearl millet and sorghum varieties in Niger and Mali over the past 20-30 years. While varietal identity has often altered over this period, total diversity and average yields have remained broadly unchanged, despite periods of significant drought and the occurrence of other environmental and social stresses. It appears these materials show sufficient adaptability to enable farmers to cope, at least partially, with periods of significant rainfall shortage and that farming practices and local institutions have favoured the maintenance of diversity (Kouressy et al., 2003; Bezançon et al., 2009). Interestingly, in both countries, there was some loss of long-duration types with an apparent increasing preference for rapidly maturing varieties.

COMMUNITY DIMENSION OF ADAPTATION

Adaptive management of agrobiodiversity involves activities at both the individual and community levels. At the individual farmer level, agricultural systems are diversified and various management practices adjusted. However, the adaptive management of water, soil and agrobiodiversity takes place at the ecosystem or landscape level and requires communal efforts, often regulated through social institutions. Local institutions that endorse the sustainable management of agrobiodiversity and landscapes have been re-established in several adaptation projects. In Niger, the Tuareg nomads have protected and improved their pastureland through pasture-management associations; thereby strengthening the resilience to both climatic and non-climatic pressures (New Agriculturist, 2009a). In a mountainous region of Ecuador, a community-based initiative has promoted sustainable use of resources to prevent ecosystem degradation resulting from inappropriate agricultural practices and overgrazing (Equator Initiative, 2004). The Turkana pastoralists in northern Kenya, and Sukuma agro pastoralists in Shinyanga, Tanzania, have restored degraded woodlands through the revival of local institutions for natural resource management (Barrow and Mlenge, 2003). The Turkana restored over 30 000 ha and the Sukuma 250 000 ha of woodland; which has resulted in a mitigation of risks associated with droughts (ibid).
The need to replenish diversity in agricultural systems has encouraged the community management of genetic resources. This has resulted in the establishment of community seed banks to facilitate the revival and distribution of traditional and stress-tolerant crops and varieties. In Uttar Pradesh, India, the establishment of seed banks to facilitate the diversification of local food systems is one of the flood coping mechanisms (Wajih, 2008).
Just as local crops and varieties needed to be reintroduced or new crops introduced, in some cases, traditional practices have also had to be adjusted. Indigenous forecasting techniques have become less reliable due to the increasing variability and irregularity of rainfall. Many Javanese farmers base their planting schedule on the Javanese lunar cyclical calendar, as well as observations of the environment, yet both are becoming unreliable. Instead of relying on observations that used to indicate the start of the rainy season such as falling leaves, singing birds or noisy insects, the farmer began using climate forecasts and other agro-meteorological information (Winarto et al., 2008). In other places farmers have begun documenting climate change impacts at local level (Ulsrud et al., 2008).

WOMEN’S ROLE IN ADAPTATION

Many projects concerned with the protection of agrobiodiversity are initiated and managed by local women’s groups. In India, women have initiated and engaged in a number of adaptation projects, which involve the revival of traditional seeds and the establishment of community seed banks. In Sri Lanka, a women-led project has been promoting the cultivation of indigenous roots and tuber crops, organic agriculture and integrated pest management, and seed bank establishment (Equator Initiative, 2008c). Women’s groups are also involved in ecosystem protection and restoration projects. An example comes from Senegal, where a collective of women’s groups in nine villages manages mangrove nurseries and reforestation. The group has made significant contributions towards restoring the mangroves and protection of biodiversity, which has encouraged the return of wildlife (Equator Initiative, 2008d).

INTEGRATING ADAPTATION AND LIVELIHOODS WITH THE PROTECTION OF INDIGENOUS PEOPLES’ RIGHTS

Adaptation projects are closely linked to the initiatives aiming to protect traditional knowledge and indigenous people’s rights. Many adaptation projects are initiated, supported and carried out by indigenous communities trying to protect their rights to ancestral lands and culture. In the Philippines, an organization of the Kalinga indigenous peoples, working on, among other issues, the protection of biodiversity and indigenous rights, is engaged in a number of activities of critical importance to the resilience of local food systems such as watershed rehabilitation, reforestation, and rice terrace rehabilitation. The organization aims to achieve sustainable livelihoods through the indigenous forest, watershed, irrigation and ecoagriculture management systems; and protect the rights of Kalinga indigenous peoples and their ownership over ancestral lands (Equator Initiative, 2004a).
In Colombia, Panama, Peru, Bolivia, Ecuador, Thailand, India and other countries, indigenous organisations are actively involved in the protection of traditional knowledge and reintroduction of indigenous crop varieties of vegetables, tubers, grains, beans and fruit. The Potato Park in Cusco, Peru was created in 2005 to protect the genetic diversity of local potato varieties and associated indigenous knowledge. The project demonstrates the link between the protection of agrobiodiversity and the protection of indigenous people’s rights, livelihoods and culture. Indigenous Quechua communities involved in the project have brought back from a gene bank into their fields over 400 potato varieties to ensure the adaptation to changing climatic conditions (Argumedo, 2008). The park has organised indigenous technical experts to monitor changes and identify responses and innovations that are consistent with the cultural imperatives and livelihood needs of Andean communities (ibid).

CONCLUSIONS

Three general conclusions can be drawn from this analysis of the different ways in which indigenous and traditional agricultural communities are coping with climate change. Firstly, adapting to climate change has usually involved a range of different actions at all three levels; ecosystem or landscape, farm or agricultural system, and involving both inter- and intra-specific diversity. Secondly, innovation based on both traditional knowledge and new information has been important, and social (e.g. community) cultural and political dimensions have played a key role. Thirdly, use of traditional crop and livestock species and varieties, with new materials where necessary, has been a common feature. From these follow a number of specific conclusions that can provide a basis for action to support adaptation by indigenous and traditional agricultural communities.

  • The resilience of local food systems and their adaptation to change can be enhanced through a strategy of diversification within landscape and agricultural system or farm. This may be achieved using a range of different approaches including agroforestry, maintenance of a diversity of crop species and varieties, and increased use of agro-ecosystem-associated biodiversity and is equally appropriate in dryland, mountain, humid tropic and coastal environments.
  • Ecosystem protection and restoration, landscape rehabilitation and reforestation can reduce the adverse effects of climate change on local food systems. They reduce the vulnerability to extreme weather events, drought, excessive rainfall and seawater intrusion, and help ensure ecosystem services such as pollination, pest regulation and erosion control.
  • Resilience and adaptability seem to be enhanced by the use of sustainable agricultural practices (e.g. low-input agriculture). High-input agricultural practices and the ecosystem degradation often associated with their use accelerate the loss of agrobiodiversity, soil erosion and water depletion, and thereby aggravate the vulnerability of traditional agricultural communities to climate change.
  • Adaptation involves the continuing maintenance in production systems of intra- and inter-species diversity using traditional crop and livestock species and varieties and access to new diversity. Maintenance of sufficient diversity allows farmers to improve stress tolerance through selection and breeding techniques, and enables the natural process of adaptation to operate under the changing agro-ecological conditions. Access to new crop and livestock materials can also be an important part of coping strategies.
  • Adaptation solutions are local. Protection and restoration of ecosystems, diversification of agricultural landscapes and the protection and use of agrobiodiversity de.ne an adaptation framework that can be applied in different environments. However, the choice and design of specific strategies are based on local experiences of climate change, needs, resources, knowledge and agricultural traditions.
  • Adaptation activities are undertaken at the community level. Many of the challenges cannot be met at the level of the individual or farm and require community involvement. Community institutions play an important part in adaptation. Women as custodians of agrobiodiversity often play a key role in adaptation activities.
  • The need to adapt to climate change has often led to the revival of traditional practices and agricultural systems. Traditional agricultural practices and land-management techniques, especially in stress-prone environments, can help ensure productivity under adverse conditions through the management of microclimate and soil and water resources.
  • The continuous process of innovation required to cope with climate change involves the use of traditional knowledge combined with access to new knowledge. Local management systems of ecosystems, landscapes, agricultural systems and genetic material are often harmonised with and adjusted to changing agro-climatic conditions. At the same time new knowledge is also needed to cope with changing circumstances and the introduction of new materials.
  • Local agrobiodiversity-based solutions create opportunities for integration of adaptation and protection of indigenous peoples’ rights. Many adaptation initiatives mentioned in this paper are initiated, supported or managed by indigenous communities. Their adaptive capacity often depends on their ability to access their ancestral lands and protect their cultural heritage.

There remain a number of areas where we urgently need further work. one particular area is the social, cultural and political dimensions of adaptation. In a number of cases it is clear that an innovation based on traditional knowledge can lead to development of local adaptation measures that protect ecosystems and agrobiodiversity, and empower indigenous and traditional agricultural communities. This link between empowerment of communities and adaptation needs to be better understood. There is also a need to develop indicators of adaptation, adaptability and resilience that are useful at different levels and some communities and groups have already embarked on this. These indicators will help to identify what contribution agrobiodiversity can make and where it is likely to be most useful.
From the conclusions listed above it is possible to identify the kinds of activities that are likely to support the use of agrobiodiversity by traditional rural communities and indigenous peoples as part of their coping strategies. The support for, and maintenance of, local social and cultural institutions can obviously play an important part. Empowering communities so as to enable them to carry out interventions at ecosystem or landscape level can also be important. The need to ensure continuing access to a range of diverse crop varieties, agroforestry species and livestock types and their maintenance, is essential. This may best be combined with the further development of such materials through locally based selection or breeding activities. Way of supporting the maintenance of traditional knowledge combined with access to new information will be important as part of adaptation, as will the development and adoption of locally appropriate improved agronomic practices.
The results and conclusions show that agrobiodiversity has a key role to play in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nd to improving adaptability and resilience in agro ecosystems. It is essential that international and national policy debates on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begin to take account of the rich experience and the actions already undertaken by traditional communities and indigenous peoples and to ensure their full involvement in debates on policies and actions required.

REFERENCES

Adger WN, Agrawala S, Mirza MMQ, Conde C, O’Brien K, Pulhin J, Pulwarty R, Smit B, Takahashi K. 2007. Assessment of adaptation practices, options, constraints and capacity. Climate Change 2007: Impacts, Adaptation and Vulnerability.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I to the Four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M.L. Parry, O.F. Canziani, J.P. Palutikof, P.J. van der Linden and C.E. Hanson, Ed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UK, 717-743.
Adger WN. 2006. Vulnerability. Global Environmental Change 16(3):268–281.
Argumedo A. 2008. Association ANDES: Conserving indigenous biocultural heritage in Peru. IIED Gatekeeper Series/International Institute for Environment and Development, Sustainable Agriculture Programme No. 137a. IIED. Natural Resources Group and Sustainable Agriculture and Rural Livelihoods Programme, London, UK.
Barrow E, Mlenge W. 2003. Trees as key to pastoralist risk management in semi-arid landscapes in Shinyanga, Tanzania and Turkana, Kenya. Presented at the CIFOR-FLR Conference, Bonn, Germany, May 2003.
Bergkamp G, Orlando B, Burton I. 2003. Change: adaptation of water resources management to climate change. IUCN, Gland, Switzerland.
Bezançon G, Pham JL, Deu M, Vigouroux Y, Sagnard F, Mariac C, Kapran I, Mamadou A, Gérard B, Ndjeunga J, Chantereau J. 2009. Changes in the diversity and geographic distribution of cultivated millet (Pennisetum glaucum (L.) R. Br.) and sorghum (Sorghum bicolor (L.) Moench) varieties in Niger between 1976 and 2003. Genetic Resources and Crop Evolution 56:223–236.
Bonifacio E, Zanini E. 1999. Sustainable domestication of indigenous fruit trees: the interaction between soil and biotic resources in some drylands of southern Africa. UNESCO Best Practices on Indigenous Knowledge.
Equator Initiative. 2004. Asociación de Trabajadores Autónomos San Rafael – Tres Cruces – Yurac Rumi (ASARATY) – Ecuador. http://equatorinitiative.org/index.php?option=com_content&view=article&id=491& Itemid=531&idx=49. Accessed 11 March 2010.
Equator Initiative. 2004a. Kalinga Mission for Indigenous Children and Youth Development, Inc. – Philippines. http://www.equatorinitiative.org/index.php?option=com_content&view=article&id=482:kamicydi&catid=1 05:equator-prize-winners-2004&Itemid=541&lang=es. Accessed 11 March 2010.
Equator Initiative. 2008b. Camalandaan Agroforest Farmers Association – Philippines. http://equatorinitiative. org/index.php?option=com_content&view=article&id=530&Itemid=531&idx=86. Accessed 10 March 2010.
Equator Initiative 2008c. Community Development Centre – Sri Lanka. http://equatorinitiative.org/index. php?option=com_content&view=article&id=527&Itemid=531&idx=87. Accessed 11 March 2010.
Equator Initiative 2008d. Fédération Régionale des Groupements de Promotion Féminine Ziguinchor. http:// equatorinitiative.org/index.php?option=com_content&view=article&id=520&Itemid=531&idx=81. Accessed 25 February 2010.
FAO. 2010a. Homestead gardens in Bangladesh. Technology for agriculture. Proven technologies for small holders. http://www.fao.org/teca/content/homestead-gardens-bangladesh. Accessed 24 April 2010.
FAO. 2010b. Incorporation of tree management into land management in Jamaica – guinea grass mulching. Technology for agriculture. Proven technologies for small holders. http://www.fao.org/teca/content/ incorporation-tree-management-land-management-jamaica-%C2%BF-guinea-grass-mulching. Accessed 24 March 2010.
Haq R, Kumar T, Ghosh P. 2009. Soil-less agriculture gains ground. LEISA Magazine 25(1):35.
Ho R. 2002. Waru waru, a cultivation and irrigation system used in flood-prone areas of the Altiplano. In: Boven K, Morohashi J, editors. Best practices using indigenous knowledge. Nuffic, the Hague, the Netherlands and UNESCO/MOST, Paris, France.
IISD. 2003a. Increasing the resilience of tropical hillside communities through forest landscape restoration. Climate change, vulnerable communities and adaptation. IISD Information Paper 2.
IISD. 2003b. Sustainable drylands management: a strategy for securing water resources and adapting to climate change. Climate change, vulnerable communities and adaptation. IISD Information Paper 3.
Kieft J. 2001. Indigenous variety development in food crops strategies on Timor: their relevance for in situ biodiversity conservation and food security. Indigenous Knowledge and Development Monitor 9-2.
Kouressy M, Bazile D, Vaksmann M, Soumare M, Doucoure T, Sidibe A. 2003. La dynamique des agroécosystèmes : un facteur explicatif de l’érosion variétale du sorgho Le cas de la zone Mali-Sud. In: Dugué P, Jouve Ph, éds. Organisation spatiale et gestion des ressources et des territoires ruraux. Actes du colloque international, 25-27, Montpellier, France. Umr Sagert, Cnearc.
Mapfumo P, Chikowo R, Mtambanengwe F, Adjei-Nsiah S, Baijukya F, Maria R, Mvula A, Giller K. 2008. Farmers’ perceptions lead to experimentation and learning, LEISA Magazine 24(4):30-31
McNeely JA, Scherr SJ. 2001. Common Ground, Common Future. How ecoagriculture can help feed the world and save wild biodiversity. IUCN – the World Conservation Union, Future Harvest.
Mitin A, 2009. Documentation of selected adaptation strategies to climate change in rice cultivation. East Asia Rice Working Group. http://www.eastasiarice.org/Books/Adaptation%20Strategies.pdf. Accessed 22 March 2010.
Morton JF. 2007. The impact of climate change on smallholder and subsistence agriculture.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 USA 104:19680-19685.
Narain P, Khan MA, Singh G. 2005. Potential for water conservation and harvesting against drought in Rajasthan, India. Working paper 104, Drought series: paper 7. International Water Management Institute, Sri Lanka.
Navdanya. 2009. www.navdanya.org. Accessed 26 March 2010.
New Agriculturalist. 2009a. Pastoralists: moving with the times? http://www.new-ag.info/focus/focusItem. php?a=966. Accessed 18 March 2010.
New Agriculturalist. 2009b. Ancient lesson in agroforestry – slash but don’t burn. http://www.new-ag.info/ focus/focusItem.php?a=1030. Accessed 18 March 2010.
Ouédrago E, Mando A, Brussard L. 2008. Termites and mulch work together to rehabilitate soils. LEISA Magazine 24(2):28.
Pratap U. 2008. Successful pollination of apples. Bees for Development Journal. http://www. beesfordevelopment.org/info/info/pollination/successful-pollination-of.shtml. Accessed 30 March 2010.
Reij C, Nasr N, Chahbani, B. 2002. Innovators in land husbandry in arid areas of Tunisia. In: Boven K, Morohashi, J, editors. Best practices using indigenous knowledge. Nuf.c, the Hague, the Netherlands, UNESCO/MOST, Paris, France.
Rerkasem K, Yimyam N, Rerkasem B. 2009. Land use transformation in the mountainous mainland Southeast Asia region and the role of indigenous knowledge and skills in forest management.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257:2035–2043.
Salick J, Byg A. 2007. Indigenous peoples and climate change. University of Oxford, Oxford and the Missouri Botanical Garden, Missouri.
Selvaraju R, Subbiah AR, Baas S, Juergens I. 2006. Livelihood adaptation to climate variability and change in drought-prone areas in Bangladesh – case study. FAO, Rome, Italy.
Shah R, Ameta N. 2008 Adapting to change with a blend of traditional and improved practices. LEISA Magazine 24(4)9-11.
Taonda J-B, Hien F, Zango C. 2001. Namwaya Sawadogo: The ecologist of Touroum, Burkina Faso. In: Reij C, Waters-Bayer A, editors. Farmer innovation in Africa: a source of inspiration for agricultural development. Earthscan, London, UK.
Ulsrud K, Sygna L, O’Brien K. 2008. More than rain: identifying sustainable pathways for climate adaptation and poverty reduction. The Development Fund/Utviklingsfondet. http://www.utviklingsfondet.no/English/For_ partners/Lessons_learnt/More_than_Rain. Accessed 7 March 2010.
UNFCCC. 2010. The UNFCCC local coping strategies database. http://maindb.unfccc.int/public/adaptation/. Accessed 5 March 2010.
USC Canada. 2008. Growing resilience: seeds, knowledge and diversity in Honduras. Canadian Food Security Policy Group. http://www.ccic.ca/_.les/en/working_groups/003_food_2009-03_case_study_honduras.pdf. Accessed 7 March 2010.
Vakeesan A, Nishanthan T, Mikunthan G. 2008. Green manures: nature’s gift to improve soil fertility, LEISA Magazine 24(2)16-17.
Vershot LV, Mackensen J, Kandji S, Noordwijk M, Tomich T, ong C, Albrecht A, Bantilan C, Anupama KV, Palm C. 2005. Opportunities for linking adaptation and mitigation in agroforestry systems. http://www. worldagroforestry.org/downloads/publications/PDFS/BC04241.pdf. Accessed 1 March 2010.
Walker B, Holling CS, Carpenter SR, Kinzig A. 2004. Resilience, adaptability and transformability in social-ecological systems. Ecology and Society 9(2):art. 5.
Wajih SA. 2008. Adaptive agriculture in flood affected areas. LEISA Magazine 24(4):24-25
Winarto YT, Stigter K, Anantasari E, Hidayah SN. 2008. Climate field schools in Indonesia: improving “response farming“ to climate change. LEISA Magazine 24(4)24-25.
Wetlands International. 2009. www.wetlands.org. Accessed 8 March 2010.

ACKNOWLEDGEMENTS: This paper synthesizes the results of work undertaken by the Platform for Agrobiodiversity Research as part of its project on “The use of agrobiodiversity by indigenous peoples and rural communities in adapting to climate change”. An earlier version of the paper was discussed during a workshop held in Chiang Mai, Thailand in June 2009. The financial, scientific and technical support of the Christensen Fund, Bioversity International and the Chiang Mai University are gratefully acknowledged. The paper was prepared by Dunja Mijatovic with assistance from Paul Bordoni, Pablo Eyzaguirre, Elizabeth Fox, Sara Hutchinson, Frederick van Oudenhoven and Toby Hodgkin.
Photographs: cover, page 27 ©FAO/Peter DiCampo; page 5 ©Tim Murray; page 8, 26 ©FAO/Pietro Cenini; page 3, 10, 17, 21 ©Paola De Santis; page 13 ©FAO/E.Yeves; page 14, 19 ©FAO/Giulio Napolitano; page 24 ©PAR/Paul Bordoni.

728x90
728x90


http://www.thesolutionsjournal.com/node/971
















UN Photo/Eric Kanalstein

아프가니스탄 Bamiyan에서 밀을 모으는 농부.
기후변화, 에너지 고갈, 물 부족이 결합된 효과는 근본적으로 우리의 농업 체계를 재고하게 만든다. 각국은 그들의 농업 체계를 생산성이 높고 매우 지속가능한 생산 방식으로 재조직할 수 있고 또 그렇게 해야 한다. 2008년 지구적 식량 가격 위기 이후, 많은 개발도상국은 새로운 식량안보 정책을 채용하고 농업 체계에 많은 투자를 했다. 또한 세계적 기아는 다시 국제적 의제가 되었다. 그러나 그 문제의 핵심은 얼마만큼 이루느냐만이 아니라, 어떻게 이루느냐 하는 점이다. —그리고 식량 체계의 어느 정도는 현재 재건되고 있다. 

연구, 설계, 지속가능한 농업의 경영에 생태학을 적용한 생태농업은 이러한 과제를 충족시키는 농업 개발 모델을 제공한다. 최근의 연구는 생태농업이 세계의 식량 불안에 시달리는 약 5억 가구에 밝은 미래를 약속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그 실천을 확대함으로써 우리는 지속가능하게 가장 취약한 가구의 생계를 개선시켜 굶주리는 행성을 먹여 살리는 데 기여할 수 있다.
  • 이 행성에는 약 9억 2500만의 굶주리는 사람이 있다. 그들 대부분은 소규모 농민이거나 농업노동자이다.
  • 많은 정부에서 농업에 대규모로 투자할 준비가 되었으나, 그 문제의 핵심은 얼마나 많이가 아니라 어떻게이다.
  • 생태농업Agroecology —농업에서 생태적 과정을 흉내 내려고 노력하는— 은 이러한 재투자를 위한 틀을 제공할 수 있다. 이미 생태농업적 실천은 생산성을 높이고 수자원과 토양, 햇빛의 효율을 개선시키며 세계에서 널리 쓰이고 있다.
  • 그러나 생태농업적 실천이 지구적 규모로 확대되기 전에 우린 시장과 그 앞에 놓여 있는 정치적 장애물을 평가해야 한다. 여기서 우리는 이러한 장애물을 극복하는 데 도움이 되는 여섯 가지 원칙을 제시한다.
  • 우리의 “농민의 우두머리” —국가원수— 는 농업, 식량, 기아의 현실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만들 수 있다.
















세계의 미디어에서는 일부 위기가 나타났다 사라지지만, 현실에 살고 있는 사람들에게는 극심히 남아 있다. 세계적 식량 불안은 이러한 위기의 전형이다. 2011년 1월에 유엔의 식량농업기구(FAO)는 2010년 12월 세계의 식량 가격이 2008년 이른바 식량 가격 위기로 아프리카와 아시아, 라틴아메리카에서 "식량 폭동"이 일어났던 때를 초과했다고 경고했다.또한 유엔은 그 가격의 상승이 쉽사리 멈추지 않을 것이고 우리는 "위험한 영역"에 진입했다고 경고했다.2 봄이 되어 가격이 안정을 되찾았지만, 2011년 5월 세계 식량 가격은 2008년 6월보다 더욱 높은 상태였다. 우린 앞으로 공급과 수요 사이의 불일치, 농업생산에 대한 기후변화의 영향, 에너지와 식량 시장의 상승효과로 인하여 더 가파른 가격 상승세를 경험할 수도 있다. 식량 위기는 여전히 여기 머물러 있다.

정부들은 농업에 대규모로 재투자하겠다고 약속했다. 게을렀던 30년 이후 이는 참으로 반가운 소식이다. 그러나 각국이 그 재투자의 범위에 대한 인상적인 수치를 발표함으로써, 우린 오늘날 농업 재투자에 대해 가장 긴급한 문제인 얼마만큼뿐만이 아니라 어떻게 하느냐는 핵심 과제를 잊어 버리곤 한다.

농업 개발 모델들 사이의 선택은 즉각적이고 장기적인 결과이다. 2008년 이후 일부 주요한 재투자의 노력은 기후변화와 같은 현대의 중대한 과제는 전혀 고려하지 않고 녹색혁명을 조금 수정하는 식으로 표출되고 있다. 대조적으로 가장 최첨단인 생태적 농법에 대한 관심은 부족하다 —식량 생산과 농민의 수입을 개선하는 반면, 토양과 물, 기후를 보호하는 농법.

그러나 이 행성의 9억 2500만이 굶주리고 있다고 추산되기에,3  우린 새로운 사고를 해야 한다. 식량 안보 정책의 주요한 전환에 대해서는 여러 나라에서 논의되어 왔다. 그러나 최선의 선택지는 충분히 촉진되지 않고 있다. 

첫번째 녹색혁명 —1960년대 멕시코에서 개발된 뒤 남아시아로 전해진— 은 그것이 시행된 곡창지대에서 수확량을 개선하는 데 성공했다.4 그러나 때로는 토양 고갈, 지하수 오염을 포함하여 농민 사이의 불평등을 만든 높은 사회적, 환경적 비용을 불러왔다.5 그리고 그 생산성은 지속가능하게 장기간 이어지지 않았다. 

오늘날 우리의 전략은 기후변화와 식량 안보 사이의 관계를 인식해야만 한다. 성공이 입증된 체계를 확대하고 주류로 편입시키기 위해 설계된 정책과 함께 새로운 지속가능한 농업 패러다임의 잠재력을 활용해야 한다. 또한 미래 세대를 위한 토지와 다른 농업 자원을 보호해야 한다; 열화된 토지와 자원을 적극적으로 복구해야 한다. 투자된 돈의 양과 수확한 작물의 양을 넘어서 다양한 지표를 사용하여 과정을 모니터해야 한다. 또 시장에 지속가능한 농업 체계를 연결시키는 데 필요하도록 가능한 한 거시경제 환경을 창출해야 한다. 

기아는 광범위한 원인의 결과일 수 있기 때문에, 식량 불안에 대처하기 위한 종합적인 전략은 지역의 시장을 억압하고, 외채와 상품시장에 대한 투기의 지속불가능한 부담을 주는 보조금이 개발도상국을 불리하게 만드는 국제 무역체제와 같은 문제에 고심해야 할 것이다. 우리는 잘 알려진 이러한 주제들에 초점을 맞추지 않는다. 우리의 관심은 대부분의 정책입안자들이 조정하고 현재와 미래의 과제이기도 한 농업 개발의 패러다임에 있다. 우리는 그렇지 않다고 믿으며 대안적인 방법을 찾고자 한다. 



기후변화와 에너지 고갈: 새로운 식량 안보의 맥락에 주요 요소

기후변화는 이미 농업과 국제 식량 안보에 극적인 결과를 일으키고 있다. 강수 경향은 잘 익은 작물을 수확할 수 없게 하여 농민을 변화시키고 떠나도록 하고 있다. 더 일반적이 된 가뭄과 홍수는 농업 체계에 전례없는 압박을 가한다. 수자원은 더욱 변동이 심해지고 빠르게 고갈되고 있다. 중앙아메리카와 동아프리카의 소농들은 이미 이러한 혼란과 맞서 싸우고 있다. 그리고 2080년까지 6억 명이 추가로 기후변화의 직접적인 결과 때문에 기아의 위험에 처할 수 있다.6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에서 건조와 반건조 지역은 6000만에서 9000만까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는 한편, 남부 아프리카의 비에 의존하는 농업은 2000~2020년 사이 수확량이 50%까지 줄어들 수 있다고 추정된다.7 많은 개발도상국에서 농업 생산의 손실은 부분적으로 다른 영역에서 얻는 이득으로 메울 수 있다. 그러나 전체적인 결과는 2080년까지 생산력이 적어도 3%는 감소할 것이고, 만약 예측된 탄소 비옥화 효과(광합성 과정에서 이산화탄소의 체내화)가 구체화되는 데 실패할 경우 16%까지 상승할 것이다.8 FAO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국제적 협력이 없으면 식량 생산 패턴에 대한 기후 혼란의 직접적 영향이 또한 더욱 "국제 식량 상품시장에 극심한 휘발성 사건"을 야기할 것이라 경고한다 —2008년 세계적 식량 가격 위기를 설명하는 경제학자의 방식.

또한 우리의 현재 농업 체계는 전적으로 화석연료에 의존한다. 국제 에너지기구의 수석 경제학자 Fatih Birol은 2009년 8월에 원유는 이전 예측보다 훨씬 빨리 고갈되어, 세계의 원유 생산은 10년 안에 정점에 이를 것이라고 경고했다. 800곳의 거대 유전에 대한 연구는 세계의 유전이 1년에 6.7%씩 생산량이 줄어들고 있다는 사실을 밝혔다.9 에너지 고갈의 영향은 지난 2년 동안 일어난 경제 위기로 가려져 있었다. 그러나 배럴당 원유 가격은 2009년과 2010년 중국과 다른 신흥국들의 경제 성장 덕에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2011년 5월의 원유 가격은 2008년 식량 가격 위기 때의 수준을 뛰어넘었다.10 아랍 세계의 지정학적 상황과 그 결과에 대한 투기가 현재 원유 가격의 상승을 이끌고 있지만, 선진국의 경제 회복과 그밖의 나라들의 성장은 가격을 올릴 것이다. 



Christian Dupraz
프랑스 남부의 혼농임업 체계(포플러나무와 밀의 사이짓기). 이 체계는 두 작물을 따로 농사지을 때보다 단위면적당 더 많은 곡물과 목재를 생산한다.

현대농업은 원유 가격에 매우 민감하다. 우리의 식량은 여러 단계에서 원유나 가스에 의존한다: 질소비료는 천연가스로 만들고, 농약은 원유로 만들고, 농기계는 석유로 움직이고, 관개와 현대의 가공식품은 고에너지 의존형이며, 식량은 도로나 항공으로 수만 킬로미터나 운송된다. 원유와 천연가스의 유용성과 비용에 대한 석유 생산정점의 정확한 영향은 알 수 없지만, 의심의 여지 없이 식량 안보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에너지 고갈은 따라서 농업의 재투자에 대한 정책의 주요 요소이다. 그러나 현재 노력이 부족한 분야 가운데 하나이다. 

그렇기에 우리의 현행 식량 생산 방법은 매우 지속불가능한 것이다. 물 부족과 토지 열화 —많은 지역에서 기후변화로 인해 예상되는 두 가지 결과— 는 세계를 먹여 살리는 과제에 추가될 것이다. 이미 중국 전토의 37%는 토지 열화로 고생하고 있다. 그리고 중국은 세계 인구의 21%가 살고 있지만, 세계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담수의 6.5%만 있을 뿐이다.11

이는 변화할 수 있다. 어떤 농업 체계는 온실가스 배출을 완화시키고 기후 극단에 대한 회복력을 높일 수 있다. 유엔 환경계획(UNEP)의 보고서에 따르면, 농업 부문은 2030년까지 대체로 탄소를 배출하지 않으면서 2050년까지 90억으로 늘어날 것으로 추산되는 인구를 먹일 충분한 식량을 생산할 수 있을 것이라 한다 —만약 농업에서 온실가스 배출을 줄인다고 입증된 체계를 오늘날 널리 채용한다면.







미래의 핵심: 새로운 농업의 패러다임

몇 십 년 전 농학자들은 현대의 대규모 단작에서 해충이 극심하게 발생하는 일에 직면하는 한편, 생태학자들은 곤충과 식물 사이의 복잡한 상호작용을 모델로 만들기 시작했다. 그와 함께 과학자들은 전통적인 농업 체계의 유효성을 관찰하고 있었다. 농학과 생태학이란 두 과학적 학문이 만나 생태농업의 장을 형성했다. 생태농업은 지속가능한 농업의 연구, 설계, 경영에 생태학적 과학을 적용한 것이다.12,13 그것은 자연의 생태적 과정을 모방하고자 하며, 식물만이 아니라 농업 체계 전체를 개선시키는 일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생태농업의 선구자들은 다섯 가지 생태적 원칙에 기반한 생태농업의 체계를 제안했다: (1) 부산물과 폐기물을 순환시키고 영양분의 흐름과 유용성의 균형잡기 (2) 유기물 함량을 높여 식물의 성장에 좋은 흙을 만들기 (3) 미기후 관리, 집수, 흙 덮개라는 방법으로 태양 복사, 물, 영양분의 손실을 최소화하기 (4) 농지에서 생물학적, 유전적 다양성을 향상시키기 (5) 유용한 생물학적 상호작용을 향상시키고 농약 사용을 최소화하기.14 지금 생태농업주의자들은 생태농업의 범위로 농업 체계만이 아니라 식량 체계도 통합시키고자 하고 있다.15

이러한 분야에서 일하고 출간하는 과학자들이 늘어나고 있으며,16,17 최근 세계은행, FAO, UNEP와 같은 국제기구만이 아니라 모든 지역에서 모인 400명의 전문가를 포함한 4년에 걸친 연구인 '개발을 위한 농업 지식, 과학, 기술의 국제평가(IAASTD)' 농업 개발에서 근본적인 패러다임의 전환을 요청하고 강력하게 생태농업적 과학과 실천을 늘려야 한다고 주장했다.18 또한 생태농업은 FAO와 UNEP에서 출간한 최신 보고서들의 핵심이기도 하다.19,20 한편 가장 큰 전통적 소농운동의 주역인 비아 깜페시나를 통하여 연대한 농민들이 최근 생태농업적 원칙에 급속하게 합류하고 있다.21

오늘날 생태농업은 모든 대륙에서 구체적으로 적용된다. 그 결과가 자신을 변호한다. 이러한 접근법에 대하여 영국 에식스대학의 Jules Pretty가 이끄는 가장 광범위한 연구가 2006년 57개의 개발도상국에서 총면적 1억 1100만 평에 걸쳐 자원을 보존하는 기술을 286곳에서 적용하며 행해졌다.22 그 결과 평균 작물 수확량이 79% 증가했고, 프로젝트의 1/4에서는 2.0(곧 100% 증가)보다 더 많은 수확을 올렸다고 보고했다. 2002년 1년 전의 극심한 가뭄으로 유발된 식량 위기 이후 화학비료 보조금 프로그램을 확대한 말라위는 또한 현재 질소를 고정하는 나무를 활용한 혼농임업 체계를 시행하고 있다.23(혼농임업은 토지, 영양분, 물을 더욱 효율적으로 쓰기 위하여 작물과 함께 나무를 심는다.) 2009년 중반까지 12만 이상의 말라위 농민들이 프로그램에서 제공된 교육과 묘목을 받았고, 아일랜드의 지원으로 말라위의 지구 가운데 40%까지 프로그램을 확장하여 그곳의 빈곤한 130만 명이 혜택을 받을 수 있었다. 연구는 그 프로그램이 상업적인 질소비료를 살 여력이 없는 농민들조차 3000평에 1톤에서 3톤으로 수확량을 높였다는 것을 보여주었다.23 무기비료를 1/4 시용하는 적용과 함께 옥수수 수확량은 3000평에 4톤을 뛰어넘을 것이다. 말라위의 사례는 유기적 시비법에 투자하는 것을 우선시하는 한편, 다른 비료의 사용을 배제하지 말아야 함을 보여준다. 최선의 해결책은 "지속가능성에 대한 보조금"이란 접근법일 수 있다:  화학비료 보조금 제도에서 빠져나오는 전략은 화학비료 보조금이 장기적으로 영양 공급에서 지속가능성을 제공하고, 꾸준한 수확량을 위한 토양의 건강함을 구축하며 비료 사용의 효율성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농장이 직접적으로 혼농임업에 투자하도록 만들 것이다.23 탄자니아 서부의 주인 신양가와 타보라에서는 혼농임업의 방법을 사용하여 10억 5000만 평이 회복되었다.24 잠비아의 도로 기반시설이 빈약하고 화학비료의 운송비가 높은(아프리카 대부분의 지역이 그러한) 농촌 지역에서는 혼농임업 농법이 화학비료를 능가한다. 혼농임업 농법의 비용률에 대한 이득은 2.77~3.13 사이의 범위인데, 이와 대조하여 보조금을 받는 화학비료 적용은 2.65, 보조금을 받지 않는 화학비료를 적용하는 농지는 1.77, 그리고 화학비료를 주지 않는 농지는 2.01이다.25 나이로비에 있는 세계 혼농임업센터의 수장 Dennis Garrity는 세계에서 혼농임업의 방법을 시행하여 500억 톤의 이산화탄소를 대기에서 제거할 수 있다고 추정한다 —세계의 탄소 감축 목표치의 약 1/3.26 이러한 농업 개발은 많은 전문가와 과학자가 "늘푸른나무 혁명'이라 부르고 있는 것의 사례이다. 그들 가운데 현재 유기농업을 지지하는 인도의 첫 번째 녹색혁명 설계자인 M.S. Swaminathan이 있다. 서아프리카에서 밭과 함께 쌓은 돌 장벽은 우기 동안 물을 모아 놓고, 토양 수분을 개선시키고, 지하수를 다시 채우고, 토양 침식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 중요한 결과를 얻는다: 물 보유력을 5~10배 높이고, 바이오매스를 10~20배 생산하고, 비가 온 뒤 돌 장벽을 옆에서 자라는 풀로 가축을 먹일 풀을 얻는다. 이러한 "집수법"은 사막화에 대처하는 데 매우 효과적이다. 그것은 기계로 관개하는 것의 효율성에 맞먹고, 식량 안보가 확보되지 않은 건조한 환경에서 사는 사람들의 공동체의 유지에 매우 중요하다. 참으로, Alan Savory가 갈색혁명이라 부르는 것 없이 진정한 녹색혁명을 구축하기란 불가능하다: 토양의 유기물을 향상시켜 지속가능한 생산성이란 이득을 얻는 것.27





2006 IDEI, Courtesy of Photoshare
인도 Orissa의 작은 농장에서 일하는 여성들

케냐에서 연구자와 농민들은 작물에 손상을 주는 잡초와 해충을 억제하기 위한 “밀당push-pull” 전략을 개발했다. 이 전략은 해충이 싫어하는 도둑놈의 갈고리Desmodium와 같은 식물을 옥수수에 사이짓기하여 옥수수에서 해충을 "밀어내는" 한편,  해충을 유혹하여 끈끈한 물질을 뿜어 붙드는 식물인 네이피어그라스를 가장자리에 심어 "끌어당기는" 것으로 구성된다. 그 체계는 비싸고 해로운 살충제 없이도 해충을 억제한다. 그리고 또 다른 효과도 있는데, 도둑놈의 갈고리는 가축의 사료로 쓸 수도 있다. 밀당push-pull 전략은 옥수수 수확량과 우유 생산을 2배로 만들면서 토양을 개선시키고 있다. 이 체계는 이미 마을회의, 국영 라디오 방송, 농부학교 등을 통하여 동아프리카에서 1만 가구 이상에게 퍼졌다.

생태농업적 방법은 농장의 비옥도를 향상시킨다. 말라위의 농민들은 그것을 "밭의 거름공장"이라고 부른다. 이러한 농법은 농민의 외부 투입재와 국가의 보조금에 대한 의존도를 줄인다. 결국 이는 취약한 소농이 소매업자나 고리대금업자에게 덜 의존하도록 만든다. 

비슷한 사례가 세계 곳곳에 존재한다. 일본에서 농민들은 논에서 오리와 물고기가 농약만큼 효과적으로 해충을 억제하는 것은 물론, 가족을 위한 추가적인 단백질원을 제공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오리는 잡초와 해충을 먹고, 이에 따라 여성이 손으로 하는 노동집약적인 김매기의 필요를 줄이고, 오리 똥이 식물의 영양분을 공급한다. 이 체계는 중국, 인도, 필리핀에 적용되었다. 방글라데시에서 국제미작연구소(International Rice Research Institute)는 수확량이 20% 더 높아지고 순수익이 80%까지 오른다고 보고한다.28 1998년 허리케인 밋치Mitch가 지나간 뒤, 남부 니카라과부터 동부 과테말라의 지속가능한 농장에 있는 생태농업을 실천하는 농지는 관행농을 하는 곳보다 평균 40% 정도 겉흙을 더 유지하고, 산사태는 69% 정도 적으며, 토양 수분은 더 높고, 경제적 손실은 덜 했다.29 이러한 기후변동에 대한 놀라운 저항력은 앞으로 중요한 점이 될 것이다.

이건 빙산의 일각이다. 생태농업의 최첨단 혁신은 산타크루즈, 나이로비, 베이징에 연구센터를 설립하게 만들고 있다. 과학자들은 오랫동안 탄소 흡수계라는 새로운 기회를 제공하는,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를 붙들어 토양에 탄산염층을 만드는 이로코Iroko 나무를 발견했다.30 그들은 지속가능한 곡물 생산을 위한 미래의 지속적인 곡식 체계를 설계하고 있다.31 그리고 그들은 현대농업에서 놀라운 생산성의 원천인 균류와 나무 사이에 존재하는 균류 체계를 모방하여 단기간에 적용시킬 수 있는 균류 제품을 개발하고 있다.32

그러나 오랜 기간이 걸려 드러나는 연구와 개발의 특효약을 기다리는 건 어리석다. 식량안보를 높이기 위하여 가장 절실히 필요한 노력은 기존의 체계를 확대하는 것이다. 저개발국에서 유지되고 있는 생태농업을 이해하는 것이 필요한 첫 걸음이다. 



필요한 변화에 대한 장애물

우리는 생태농업적 방법의 확산에 주요한 걸림돌이 되는 일곱 가지를 확인했다. 

첫째, 생태농업의 주요한 실천자이자 그 폭넓은 사용으로 주로 이득을 보는 소농은 정책 결정에서 소외되어 있다. 소농은 땅과 물을 더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경제학자들은 오랫동안 농장 크기와 토지 생산성 사이의 반비례 관계를 증명해왔다.33-40 그러나 현실 세계에서는 여러 요인으로 대농을 선호한다: 대규모 영농은 융자(국영 개발은행을 포함하여)를 얻기 쉬워서 농기업 부문에게 더욱 경쟁력이 있다. 대농은 세계화된 식품 유통망을 통합시키고 품질과 위생 기준만이 아니라 사회적, 환경적 인증제도를 포함하여 소매업의 기준을 지키는 데 더 큰 힘을 지니고 있다. 대농은 또한 유전자조작 작물, 정보기술, 무경운 농기계와 같은 그들의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최근의 기술적 혁신으로 혜택을 입고 있다.40,41 게다가 분산되어 있는 소농은 과소평가할 수 없는 대행사 문제와 거래비용을 겪는다.35

동시에 더 큰 농장이 더 생산적이라는 믿음이 영향력 있는 작가들에 의해 계속 퍼지고 있다.42 이는 오류이다. 대형의, 기계화된, 대규모 단작의 영농은 소농보다 위에 설명한 몇 가지 이유 때문에 더 경쟁력이 있지만, 경쟁력과 생산성은 다른 것이다. 큰 농장은 경제적 효율성이란 한 가지 측면에서만 소농을 능가한다: 단위노동당 생산성. 사실 세계의 가장 비옥한 지역에 있는 현대의 기계화된 농장에서 한 명의 농업노동자는 1년에 곡물 1000톤의 총 생산량과 함께 30만 평 정도의 땅을 관리할 수 있다. 괭이만 가지고 있는 소농은 많은 아프리카 지역에서 1년에 3000평당 1톤 이하의 생산성과 함께 단 3000평만 관리할 수 있다.43,44 그러나 세계적인 고도의 기계화 농업의 확산은 행성이 간단히 감당할 수 없는 것이다. 생태농업적 접근은 더욱 높은 자원 효율성만이 아니라 —그것은, 생태농업이 더 적은 것으로 더 많이 생산한다는— 또한 적절한 지원과 함께 다른 기준의 생산성으로 3000평당 더 높은 생산성을 가지고 있다. 어떤 생태농업적 접근은 더 많은 노동력이 필요한 것이 사실인데, 만약 충분한 수입이 제공된다면 농촌 지역에서 도시로 떠나는 걸 늦추고 농외 노동력을 끌어들여 농촌 개발을 촉진시킬 수 있기 때문에 실제로는 긍정적일 수 있다. 이는 두 자릿수의 도시 실업률에 직면한 많은 나라들에게 큰 이점이다. 





2009 Jesse R Lewis, Courtesy of Photoshare
네팔의 히말라야 산비탈에 있는 농장에서 밀, 보리, 겨자와 같은 작물을 심는 마을 사람들. 이들은 계단밭과 노동집약적 농업과 같은 전통적인 농법을 쓰고 있다. 

둘째, 생태농업은 주류의 무역과 농업 정책에 의해 거의 지원받지 못하고 있다. 생태농업은 다양한 생산 체계, 짧은 유통거리, 모든 요소들 사이의 힘의 균형을 지원하는 반면, 세계무역기구(WTO)의 농업 협약에 의한 1880년대와 1990년대의 구조조정 프로그램은 농업 무역의 급속한 자유화(비록 아직 부분적일지라도)를 이끌었다. 결국 이러한 자유화는 다국적 농산업 기업들이 점점 영향력을 미치는 대규모 단작에 기반한 수출지향형 부문과 식품 유통의 세계화를 구축하도록 촉진시켰다.45 마찬가지로 생태농업의 개발도 소농에게 기회를 주고, 모범 사례를 보급하고, 농업에 투자하는 강력한 정부를 필요로 하지만, “워싱턴 컨센서스consensus”는 국제통화기금(IMF)와 세계은행을 통하여 대부분의 개발도상국에게 부과되었다. 이러한 경제 규제완화와 민영화의 추진은 25년 동안 농업 체계에서 공공 서비스와 투자 중단의 축소화를 낳았다.46-50 지난 30년 동안 신자유주의적 사고의 지배는 농업 정책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일부는 2007~2008년 식량 가격 위기 이후에 이러한 지배적 모델에 의문을 제기하고 있지만, 여전히 현재의 논쟁에 영향을 주고 있으며 개발도상국의 많은 엘리트들은 여전히 선진국이 추구했던 길인 현대화-자유화를 모방해야 한다고 믿는다. 

첫번째와 두번째 장애물의 결합은 왜 소농이 대규모 기업과 경쟁할 수 없는지 설명해준다. 세계은행이 2008년 세계개발보고서에서 그들의 중요성을 더욱 강조하긴 했지만,51  소규모 농업은 여전히 대부분의 주요 정책 논의에서 생존할 수 없는 것으로 여겨진다. 

셋째, 생태농업의 개발은 소농의 큰 부분인 토지 사용권의 안전보장이 되지 않는 것에 의해 방해를 받는다.  토지 사용권의 안전보장을 개선하는 것은 생태농업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그것은 나무를 심고, 더 책임감 있게 토양을 사용하고, 오랜 시간에 걸쳐 보상을 받는 여러 방법을 고취시킨다(예를 들어 영양과 건강을 개선시키는 데 기여하는 과실수 심기). 그러나 일부 최근의 개발은 토지 사용권의 안전보장을 점점 위협하고 있다: 대규모 토지 매입 및 임대(토지 수탈로 널리 알려진)는 취약한 토지 사용자들이 토지를 사용하는 것에 대해 엄청난 압박을 가하고 있다. 그러나 그들의 규제에 대한 정책 논의는 그것이 무엇을 취하든 어떠한 사적 투자가 식량 안보에 기여할 것이라는 믿음에 의하여 주로 영향을 받고 있다.52

넷째, 녹색혁명이 "유전자 혁명"으로 보완되어 세계의 기아를 해결할 수 있다는 일반적 믿음은 농업 개발의 광범위한 탐구로부터 관심을 돌리게 하여 기아를 완화시키기 위한 노력의 핵심에 과학적, 기술적 진전을 꼽도록 만든다. 생태농업적 연구는 그 발전을 방해하는 일관성 없는 연구 투자뿐만 아니라 농업 연구 체계에 “감금” 상황(장애물의 축적)과 싸우고 있다.53

다섯째, 생태농업은 과거로 회귀하는 것이고 농업의 기계화와 공존할 수 없다고 잘못 묘사되고 있다. 생태농업은 경운과 수확을 오로지 인력으로만 하는 농업 모델로 돌아가는 것이 아니다. 생태농업적 접근은 농업의 점진적이고 적절한 기계화와 완벽하게 공존할 수 있다. 그러나 농기구가 괭이만 있고 석유가 부족한 지역에 사는 농민들을 위한 개발의 첫 단계는 트렉터보다 축력의 사용이 나을 수 있다. 기계화로 나아가라고 강요된 길 —급속한 농업의 기계화나 기술의 사용에 초점을 맞추는 것은 소농이 감당하지 못한다— 은 농촌의 인구 감소를 악화시킬 수 있다. 20명의 땅이 없는 노동자의 하루 일을 대체하는 한 대의 트렉터는 만약 2차, 3차 산업에서 19개의 일자리가 창출되어야면 진전을 이룬다.43 그러나 대부분의 개발도상국은 현재 농업 부문에서 떠난 사람들에게 도시의 고용기회를 제공할 수 없다. 그 대신 토양과 물을 보호하는 소농에게 적합하고 농업 기술에도 알맞은 간단한 기계 장비의 생산은 개발도상국의 제조업 부문에 실질적으로 더 많은 일자리를 만들 것이다.54



Gaëtan Vanloqueren
주곡 작물과 환금작물(argan 나무에서 얻는 기름은 비싼 화장품의 재료)을 혼농임업 체계로 재배하는 모로코.  argan 나무는 가공하거나 기름을 짜는 조합을 설립한 모로코, 특히 여성에게 특별한 수입원이 된다.  

여섯째, 농식품 가격 체계에서 외형의 전체적 포함에 대한 부재는 중요한 사회비용과 환경비용에도 불구하고 공업형 농업의 개발을 활성화시켰고, 생태농업이 지닌 장점의 포괄적인 가치를 방해하고 있다.55 거대한 플랜테이션의 성공은 부분적으로는 식량 가격이 그 영농활동으로 발생하는 사회에 대한 실제 비용을 반영하지 않는다는 데에 기인한다. 특히 그 생산 방식의 영향으로 토양과 기후,56 공중보건에 대해 발생하는 실제 비용을 말이다.

마지막으로, 현재의 상황에서 기득권을 지닌 조직은 생태농업의 장점을 무시하거나 거부하고 있다. 



지속가능한 농업을 확대하다: 변화를 위한 정책

이러한 장애물에도 불구하고, 존재하고 있는 생태농업적 방법의 확대는 만약 우리가 성공적인 시범사업에서 국가적 정책 차원으로 이동하기 위한 정책적 틀을 개발할 수 있다면 이룰 수 있다.57 여섯 가지 주요 원칙이 이를 도울 수 있다. 

첫째, 우린 더 나은 타켓팅이 필요하다. 소농의 필요에 대한 우리의 노력에 초점을 맞추는 것은 당연해 보일 수 있는데, 아직 몇몇 기존의 프로그램만이 이 집단을 효과적으로 타켓팅하고 있다. 오늘날 기아자의 50%는 소규모 농가에서 6000평 미만의 땅에서 살고 있으며 20%는 땅이 없다.58 이는 용납할 수 없는 일이다. 건조한 땅이나 구릉과 같은 더욱 험한 환경에서 살고 있는 사람들을 무시하면서 곡창지대에서 생산성 향상에 집중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트리클다운 경제학은 아프리카와 남아시아에서 행한 시험에서 실패했다 —가장 높은 기아 발생율을 지닌 두 지역. 1960년대, 펀잡 지역에 대한 투자(녹색혁명이 그러했듯)sms Karnataka의 침식된 구릉에 사는 농민의 상황을 별로 개선시키지 못했다.

고 당연히 언급해 왔다.  compounded by 

둘째, 공공재의 재분배는 식량 안보 정책에서 우선시되어야 한다. 생태농업적 방법은 지도사업과 같은 공공재를 필요로 한다; 저장시설; 지역 및 지방의 시장에 접근하기 위한 농촌 기반시설(도로, 전기, 정보와 소통기술); 융자와 기상재해 보험; 농업 연구와 개발; 교육; 농민의 조직과 협동조합에 대한 지원. 그 투자는 농민이 보조금을 받을 때만 구입할 여유가 되는 화학비료나 농약과 같은 사적재의 공급보다 훨씬 더 지속가능할 수 있다. 세계은행의 경제학자들은 "농업에서 투자 부족은 […] 때때로 정치적 고려에 의해 자극을 받는 사적재의 공급 쪽으로 기울어지는 편향과 함께 대규모 왜곡 투자로 구성된다"59고 언급해 왔다.60 1985~2001년 사적재에 대한 정부 보조금을 주는 라틴아메리카의 15개국에 대한 연구는 공공재에 대한 지출은 고정된 국가의 농업예산 가운데 공공재를 공급하기 위한 지출을 10% 재분배하면 1인당 농업의 수입이 5%까지 증가하는 한편, 농업에 대한 공공 지출이 10% 증가해도 지출하는 구성요소에는 변함이 없으며 1인당 농업의 수입이 2%까지 증가한다는 것을 알아냈다.61 다시 말하여, “전체적 지출을 바꾸지 않고도 비사회적 보조금 대신에 사회적 서비스와 공공재에 대해 그들이 지출하는 몫을 더 키움으로써 정부는 농업 분야의 경제적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62 따라서 사적재의 공급이나 보조금 지급은 어느 정도 필요할 수 있지만, 기회비용은 신중히 고려되어야 한다. 생태농업적 방법을 농민 —종종 여성 농민— 에게 가르칠 수 있는 지도사업은 특히 중요하다. 오늘날의 지식 기반 경제에서 기술을 높이고 정보를 전파하는 것은 길을 내거나 개량된 종자를 배포하는 것만큼 중요하다. 생태농업적 방법은 지식 집약적이고 농업 공동체에서 생태적 지식과 의사결정 기술 모두의 개발을 필요로 한다. 

시장 실패는 이러한 서비스의 공급에 영향을 준다. 이는 이러한 영역에 투자하기 위한 사적 부문에 대한 너무 적은 장려책만 있고, 지역 공동체가 이런 재화를 그들 스스로 만들기에는 거래비용이 너무 높아서이다. 국가가 개입해야만 한다. 공공 예산에서 사적 자산의 조항을 놓고 경쟁할 수도 있지만, 보조금을 받은 가격의 종자와 화학비료는 이러한 공공재를 대체할 수 없다. 정부 예산에서 공공재의 몫이 증가하는 것은 농촌의 1인당 수입에 훨씬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셋째, 우리가 최선의 식량 안보 정책을 바란다면 토착지식, 지역지식, 전통지식을 포함한 더 풍부한 혁신의 이해를 필요로 한다. 간단히 말해, 모든 혁신은 실험실의 흰 가운을 입은 전문가에게서 오는 것이 아니다. 아시아의 광대한 지역에서 농민들은 현재 농민에서 농민으로 가르침을 전할 수 있는 모임에 기반한 농민 현장학교에 참여한다. 인도에서 농민들은 식물 재료의 가용성과 보존과 농업생물다양성의 개선을 보장하기 위하여 기관을 준비하여 자신의 공동체에 종자은행을 만들어 씨앗을 모으고 있다. 그리고 가나에서 과학자들은 육종된 신품종 볍다 추가적인 투입재 없이 벼를 기르기 가장 좋은 기술을 대중화하기 위하여 지역 사투리로 라디오 방송을 시작했다. 이러한 기술은 농민단체와 협의하여 찾아냈고, 그들은 평균 수확량에서 56%나 증가하는 결과를 올렸다.63 농민 현장학교와 공동체의 종자은행은 새로운 기술이 아니다: 그들은 사회적 또는 기관의 혁신이다. 이러한 혁신은 미래의 식량 안보에 중요하다. 그것은 놀라운 상승효과와 최소의 비용으로 지식을 공유하는 과정에 농민의 경험을 전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넷째, 프로그램과 정책들에는 소농이 참여해야만 한다. 농업에 재투자하기 위한 가장 큰 노력의 일부가 대표적인 농민단체의 참여와 함께 진정한 협의를 제대로 이룬다면 식량 안보를 위하여 몇 가지 이점이 있다. 하나, 농민의 경험과 통찰에서 오는 혜택을 누릴 수 있다. 둘, 참여는 정책과 프로그램이 취약한 집단의 수요에 진정으로 반응하도록 보장할 수 있다. 셋, 참여는 빈곤을 악화시키는 힘을 없애 빈곤 완화로 나아가는 중요한 단계를 거치며 빈곤층에게 힘을 실어준다: 주변부의 공동체는 종종 지원을 덜 받고, 정부와 잘 연결된 다른 집단보다 자신의 권리를 제대로 주장하지 못한다. 마지막으로, 농민과 과학자, 기타 이해당사자들 사이의 협력은 혁신을 촉진시키고 새로운 지식을 창출한다.64

기존의 프로젝트는 참여가 작동하는 것을 보여준다. 농민 현장학교는 농약 사용을 상당히 줄인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인도네시아, 베트남, 방글라데시에서 이루어진 대규모 교육은 벼농사에서 살충제의 사용을 35~95% 감소시켰다.65 그와 함께 현장학교는 중국, 인도, 파키스탄에서 목화의 수확량을 4~14% 개선시키는 데 기여했다.65 시리아, 네팔, 니카라과와 많은 나라에서 참여 식물육종 계획은 현대적 품종과 함께 종종 전통적 종자와 연관하여 연구자들이 농민과 함께 직접적으로 일하도록 만들었다.66 이러한 방법은 종자 관리에서 핵심 역할을 담당하는 가난한 농촌 여성의 힘을 강화시킨다.67 라틴아메리카에서 농민에서 농민으로(Campesino a Campesino) 운동은 소농이 자신의 방법을 개선시킬 수 있는 능력이 있으며, 서로의 생태농업적 지식을 만들고 공유하기 위한 기회를 제공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68 쿠바에서는 소련에서 수입하던 값싼 석유의 공급이 끊긴 뒤 석유 생산점정을 맞이하였고, 생태농업적 방법을 소농 국가협의회(National Association of Small Farmers)에서 채용하기로 했다: 2001~2009년 사이, 촉진제(기술 고문과 진행자)의 수는 114명에서 1,1935명으로 늘어났고 생태농업적 방법에 대한 12,1000개의 연수장이 조직되었다.69 풀뿌리 조직과 현재 생태농업을 홍보하고 있는 NGO들의 활동에서 핵심 원리인 참여68,70는 정책 설계부터 지도사업의 운영까지 모든 식량 안보 정책에서 기본이 되었다. 전문가, 기술 고문과 농민은 혁신적인 해결책을 찾는 데 협력할 것을 권장한다.71

다섯째, 국가는 지속가능한 농업으로 빠르게 전환하기 위하여 공공 조달을 활용할 수 있다. 몇몇 유럽 국가에서 학교는 이미 지속가능성이란 기준으로 지역 생산자에게서 식품을 공급받기 시작했다. 2009년 6월 브라질은 국립 학교의 급식 프로그램에 제공되는 식품의 30%를 가족농에게서 구하도록 결정했다.72



2009 Kyaw Kyaw Winn, Courtesy of Photoshare
유기농법으로 논에서 일하고 있는 미얀마의 여성들.

여섯째, 농업 프로젝트를 관찰하는 데 사용되는 수행 기준은 수확량과 같은 고전적인 농경법의 기준, 단위노동당 생산성과 같은 경제적 기준 너머로 나아가야 한다. 유한한 자원의 세계와 광범위한 농촌 실업의 시대에 단위 토지나 물의 생산성은 성공의 중요한 지표이다. 전체적으로 생태농업의 새로운 농업 패러다임에서 효율성을 측정하는 것은 수입, 자원 효율성, 기아, 영양부족, 수혜자의 권한 강화, 생태계의 건강성, 공중보건, 영양상의 적절성에 대한 농업 프로젝트나 새로운 기술의 영향을 평가하는 포괄적인 지표들을 필요로 한다. 과정의 평가는 취약한 집단에서 개선이 관찰될 수 있도록 인구에 의해 적당히 분해되어야 한다. 

생태농업적 접근을 촉진한다고 새로운 식물 품종을 육종하는 일이 중요하지 않다고 하는 건 아니다. 사실 그것은 중요하다. 이미 생육기가 더 짧아진 새로운 품종은 농사철이 벌써 줄어들고 토종은 건기가 찾아오기 전 다 익을 시간이 없는 지역에서 농민이 계속 농사지을 수 있게 하고 있다. 육종은 또한 물 부족이 제한된 요소인 국가의 식물 품종에서 가뭄 저항성의 수준을 개선시킬 수 있다. 농업 연구에 대한 재투자는 현재 종자정책과 종자에 대한 지적재산권 제도의 문제점 때문에 필요한 주의에도 불구하고 육종에 대한 지속적인 노력을 포함해야 한다.73 가장 필요로 하는 농민의 참여와 함께 이루어지는 육종이 끊이지 않아야 하는 것처럼, 비료도 금지되어선 안 된다. 생태농업은 그것들의 사용에 대한 더 큰 틀을 제공하여, 질소고정 나무와 같은 자연적 방법을 활용하여 추구할 수 있는 비옥화를 강조한다. 



시장에 지속가능한 농업을 연결하기: 식품 유통의 정치경제

위에 제시한 원칙은 본래 충분하지 않다. 농학자들의 노력은 만약 바람직한 제도, 거시경제의 규정, 책임지는 구조가 설립되고 시행되지 않는다면 무의미해질 것이다. 곧 오늘날 소규모 농업에 의존하는 5억 가구가 자신의 밥상에 음식을 놓기 위해서만이 아니라 잉여 생산물을 시장에 내기 위해서도 농민은 경제와 제도적 환경을 활성화해야 한다. 지난 세기의 식량 안보 정책에 명시된 "세계를 먹여 살리기" 위해서가 아니라, 오히려 "세계가 스스로 먹고 살도록 돕기" 위하여 공동 행동이 필요하다. 

훌륭한 식량안보 전문가들을 포함하여 대부분은 소농이 빠르게 성장하는 도시 시장을 위한 충분한 식량을 생산할 수 없다고 생각한다. 이는 단순히 거짓이다. 현실은 작은 식량 생산자가 자신의 잉여 생산물을 시장에 내려고 할 때 수많은 장애물에 직면한다는 것이다. 우린 시장의 상황을 개선하는 것이 작물 생산성을 개선하는 것보다 더 시급한 일이라 주장하는 소농을 베넹에서 만났다.74 시장 환경을 개선한다는 것이 워싱턴 컨센서스의 약간 개조된 버전인 "새로운 관례적 지혜"의 지지자들이 주장하듯이 더 많은 무역자유화와 투자에 유리한 환경 조성한다는 것을 뜻하지는 않는다.75 오히려 그것은 농촌과 도시의 시장 사이, 어떤 경우에는 선진국의 고부가가치 시장을 소농이 선택할 수 있는 상황을 창출하기 위하여 무역과 유통 채널의 다양화를 지원하는 것을 뜻한다.76 또한 더 나은 자산을 지닌 농민이 소농의 이익을 빼앗아 가는 것을 막는 의미도 있다. 

오늘날 한정된 수의 구매자, 가격 정보의 부족, 저장시설의 부재 등은 농민이 가격이 가장 낮은 때인 수확철에 팔도록 만들고 있다. 농촌 지역에서 수확 이후의 손실을 막기 위한 저장시설을 신속하게 확충하는 것이 필요하다. 창고 수령 체계와 같은 메카니즘이 아시아와 아프리카에서 퍼지고 있다. 그러한 체계는 농민이 수확철에 작물을 창고에 팔 수 있게 하고, 건기 동안 더 높은 가격으로 식량을 팔아 추가적인 이익을 얻도록 한다.77

국가는 식량 체계, 특히 불공정이 가장 만연한 세계적 공급 유통망에서 공정함을 개선시키는 것을 목표로 해야 한다. 너무 많은 사례에서, 세계적 식량 유통망은 주로 세계적 구매자와 소매업자들이 요구하는 양과 기준을 충족시킬 수 있는 투입재(토지, 물, 융자), 기술, 정치적 영향력을 지닌 거대한 생산자에게만 보상을 준다. 작은 식량 생산자가 세계적 식량 유통망에 끼어들고자 하면, 국가는 필요하다면 기술 지원과 값싼 융자 등으로 적극적으로 지원해야 한다. 현대적 농민협동조합의 활동은 생산자, 특히 여성의 시장 지위를 개선시키기 위한 한 방법이다. 결국 사회적 관점에서 문제는 극빈층이 지역, 지방, 세계의 시장에 종사하도록 선택하게 하여 수입을 늘리는 것이다. 노벨상 수상자 Amartya Sen의 언급처럼, 기아는 식량을 구할 수 있느냐의 문제가 아니다; 기아는 주로 그들이 필요로 하는 식량을 구하기 위한 구매력이 없는 사람들의 문제이다.78

주요 농업 기능을 통해 중앙집권적으로 통제하는 식량 유통망에 존재하는 힘의 관계는 세계적 기아 -오늘날 식량을 생산하는 굶주리는 사람의 2/3 이상- 의 핵심이기 때문에 해체해야 한다.79 브라질의 대두 시장에서 20만의 농민은 다섯 개의 주요 농산물 거래자에게 팔려고 한다. 세 개의 거대한 다국적 농산물 구매자 —ADM, Cargill, Barry Callebaut— 가 코트디부아르의 코코아 산업을 지배한다. 네 개의 회사가 모든 커피 로스팅의 45%를 담당하고, 네 개의 국제적 커피 거래자가 2500만 생산자가 의존하는 산업의 40%를 좌지우지한다. 이러한 힘의 분배 결과가 농업에 대한 재투자의 상당한 부분을 취약한 식량 생산자가 아니라 세계적 회사가 차지하도록 만들었다.



피해를 막기: 토지의 역할

세계의 농민들은 대규모 개발 프로젝트(댐을 포함하여), 채굴업, 벌목업, 생물연료를 위한 토지 전환, 특별 경제구역의 설정이라는 압력에 직면해 있다. 그 결과는 빈곤한 농민이 터무니 없는 가격으로 토지 시장에서 배척되고, 자신의 땅에서 쫓겨나 생계를 걱정하도록 만들고 있다.80-82

국가는 관례적인 토지 소유권 체계를 강화해야 하는 한편 이와 함께 여성에 대한 차별적인 요소를 뿌리뽑으며, 토지 사용자의 권한을 상당히 개선시키기 위하여 임대법을 보강해야 한다. 또한 소농의 생계만이 아니라 광범위한 농촌 개발에 토지 재분배가 미치는 긍정적 영향에 대한 풍부한 실증적 증거가 있다.37 강력한 재분배의 요소와 함께 농지 개혁은 남한과 중국의 경제성장에 중요한 힘이었다. 토지 재분배가 공산주의라는 믿음이 많은 이가 이러한 조치를 거부하도록 만들었다. 그러나 만약 토지 재분배의 수혜자들을 지원하는 것이 포괄적인 농촌 개발 정책의 부분이라면, 우리가 이 논문에서 제안한 식량 안보와 영양을 높이고, 환경적 손실을 막으며, 농촌 지역으로 일할 사람을 유인하고, 따라서 생태적, 재정적, 환경적 위기의 영향을 감소시킨다는 여섯 가지 원칙을 보완한다. 대규모 토지 거래와 임대라는 현재의 파도는 불행하게도 그 반대 반향으로 우리를 실어 나른다: 대부분의 사례에서 그것은 식량 안보에 위협이라고 제기되는 다름이 아닌 농지 개혁의 반대로 이어진다.52



농민의 우두머리

우리의 “농민의 우두머리(farmers-in-chief)” —국가원수— 는 농업, 식량, 기아의 현실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을 만들 수 있다.83 이 논문에서 강조한 전략은 21세기를 위한 생산적이고, 지속가능하고, 건강한 식량 체계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국가와 기부자를 위한 구체적인 권고사항은 이러한 유망한 생태농업적 농업 체계를 확대하고 그것이 성공할 수 있도록 경제적, 제도적 환경을 형성한다는 것을 확인해 왔다. 만약 상당한 진전이 앞으로 3년 안에 달성되지 않으면, 세계의 빈곤층을 먹여 살리고, 기후변화를 완화시키며, 악화되고 있는 물 고갈을 막는 중요한 기회를 잃을 것이다. 그러할 경우, 후속세대는 우리에게 가혹한 평가를 내릴 것이다.



References

  1. Food price index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Rome, Italy, January 2011).
  2. Treanor, J. World food prices enter “danger territory” to reach record high. The Guardian (January 5, 2011).
  3. Global hunger declining, but still unacceptably high 1–2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Economic and Social Development Department, Policy Brief, September 2010).
  4. Evenson, RE & Gollin, D. Assessing the impact of the Green Revolution, 1960 to 2000. Science 300, 758–762 (2003).
  5. Freebairn, DK. Did the Green Revolution concentrate incomes? A quantitative study of research reports. World Development 23, 265–279 (1995).
  6. 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me (UNDP). Human Development Report 2007/2008. Fighting Climate Change: Human Solidarity in a Divided World 90 (New York, 2007).
  7.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IPCC) in Climate Change 2007: Impacts, Adaptation and Vulnerability, Working Group II contribution to the Four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UK, 2007).
  8. Cline, WR. Global Warming and Agriculture. Impact Estimates by Country 96 (Center for Global Development/Peterson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cs, Washington, DC, 2007).
  9. New energy realities—WEO calls for global energy revolution despite economic crisis. IEA Press Release(November 12, 2008).
  10. Weekly all countries spot price FOB weighted by estimated export volume (dollars per barrel). (U.S. Energy Information Administration (EIA), May 2011).
  11. McBeath, JH & MacBeath, J. Environmental change and food security in China. Advances in Global Change Research 35, 53–54 (2010).
  12. Altieri, MA. Agroecology: The Science of Sustainable Agriculture, 2nd edn (Westview Press, Boulder, CO, 1995).
  13. Gliessman, SR. Agroecology: Ecological Processes in Sustainable Agriculture (Ann Arbor Press, Chelsea, MI, 1998).
  14. Altieri, MA. Agroecology: the science of natural resource management for poor farmers in marginal environments.Agriculture, Ecosystems and Environment 1971, 1–24 (2002).
  15. Francis, C et al. Agroecology: the ecology of food systems. Journal of Sustainable Agriculture 22, 99–118 (2003).
  16. Wezel, A et al. A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historical analysis of the scientific discipline of agroecology.International Journal of Agricultural Sustainability 7, 3–18 (2009).
  17. Wezel, A et al. Agroecology as a science, a movement and a practice: a review. Agronomy for Sustainable Development 29, 503–515 (2009).
  18. International Assessment of Agricultural Knowledge, Science and Technology for Development (IAASTD). Summary for Decision Makers of the Global Report, approved by 58 governments in Johannesburg (April 2008).
  19. FAO and Biodiversity International. SARD and agro-ecology. Sustainable Agriculture and Rural Development, Policy Brief 11 (2007).
  20. Altieri, MA & Nicholis, CI. Agroecology and the Search for a Truly Sustainable Agriculture (United Nations Environmental Programme, Mexico, 2005).
  21. Sustainable peasant agriculture: the future of the planet. Analysis, position and work plan of the Sustainable Peasant Agriculture Commission of La Via Campesina. Document approved by the commission at its meeting in Málaga, Spain (July 2009).
  22. Pretty, J. Agricultural sustainability: concepts, principles and evidence. Philosophical Transactions of the Royal Society B 363,447–465 (2008).
  23. Garrity, DP et al. Evergreen agriculture: a robust approach to sustainable food security in Africa. Food Security 2, 203 (2010).
  24. Pye-Smith, C. A rural revival in Tanzania: how agroforestry is helping farmers to restore the woodlands in Shinyanga Region. Trees for Change 7, 15 (World Agroforestry Centre, Nairobi, 2010).
  25. Ajayi CO et al. Labour inputs and financial profitability of conventional and agroforestry-based soil fertility management practices in Zambia. Agrekon 48 (2009).
  26. 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me (UNEP), Trees on Farms Key to Climate and Food-Secure Future, Press Release, 24 July 2009.
  27. Savory Institute [online]. www.savoryinstitute.com/brown-revolution.
  28. Khan, MA et al. in Innovations in Rural Extension: Case Studies from Bangladesh (Van Mele, P et al., eds), Integrated rice-duck: a new farming system for Bangladesh (CABI Publishing, Oxfordshire, UK/Cambridge, USA, CABI Publishing, 2005).
  29. Holt-Giménez, E. Measuring farmers’ agroecological resistance after Hurricane Mitch in Nicaragua: a case study in participatory, sustainable land management impact monitoring. Agriculture, Ecosystems and the Environment 93, 87–105 (2002).
  30. Braissant, O, et al. Biologically induced mineralization in the tree Milicia excelsa (Moraceae): Its causes and consequences to the environment. Geobiology 2, 59–66 (2004).
  31. Glover, J et al. Increased food and ecosystem security via perennial grains. Science 328, 1638–1639 (2010).
  32. Rivera, R & Fernandez, F in Biological Approaches to Sustainable Soil Systems (Uphoff, N et al., eds), Inoculation and management of Mycorrhizal fungi within tropical agroecosystems (CRC Press, 2006).
  33. Eastwood, R, Lipton, M, & Newell, in Handbook of Agricultural Economics, Vol. 4 (Evenson, R & Pingali, P, eds), Farm size. (North Holland, Amsterdam, 2009).
  34. Feder, G. The relationship between farm size and farm productivity. Journal of Development Economics 18, 297 (1985).
  35. Banerjee, AV et al. Empowerment and Efficiency: The Economics of Agrarian Reform 1–5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Department of Economics Working Paper Series, Working Paper No. 98–22, 1998).
  36. Barrett, CB. On Price Risk and the Inverse Farm Size-Productivity Relationship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Economics Staff Paper Series No. 369, 1993).
  37. Borras, SM et al. Agrarian Reform and Rural Development: Historical Overview and Current Issues 1 (ISS/UNDP Land, Poverty and Public Action Policy Paper No. 1, 2007).
  38. Rosset, P. The Multiple Functions and Benefits of Small Farm Agriculture (Food First Policy Brief No. 4, 1999).
  39. Deininger, K, et al. Rising Global Interest in Farmland: Can It Yield Sustainable and Equitable Benefits? 26 (World Bank, Washington, DC, 2011).
  40. Byerlee, D & Deininger, K. The rise of large farms: drivers and development outcomes. WIDER Angle Newsletter 3–4 (November/December 2010).
  41. Dethier, J-J & Effenberger, A. Agriculture and development: a brief review of the literature. Policy Research Working paper n°5553, 23–24 (The World Bank Development Economics research Support Unit, January 2011).
  42. Collier, P. The politics of hunger: how illusion and greed fan the food crisis. Foreign Affairs 67, 67–79 (2008).
  43. Mazoyer, M. Protecting small farmers and the rural poor in the context of globalization. Paper presented at the World Food Summit 2001, 2 (FAO).
  44. Mazoyer, M & Roudart, L. A History of World Agriculture: From the Neolithic Age to the Current Crisis (Earthscan, London, 2006).
  45. De Schutter, O. International trade in agriculture and the right to food. Dialogue on Globalization Occasional papers N° 46, Friedrich Ebert Stiftung, Geneva, 52 (November 2009).
  46. Serra, N & Stiglitz, JE. The Washington Consensus Reconsidered, Towards a New Global Governance (Oxford University Press, Oxford, 2008).
  47. Chang, H-J. Kicking Away the Ladder: Development Strategy in Historical Perspective (Anthem, 2002).
  48. Reinert, E. How Rich Countries Got Rich ... and Why Poor Countries Stay Poor (PublicAffairs Books, 2007).
  49. Stein, H. World Bank agricultural policies, poverty and income inequality in sub-Saharan Africa. Cambridge Journal of Regions, Economy and Society (23 August 2010).
  50. Summers, LH & Pritchett, LH. The structural adjustment debate. American Economic Review 83, 383–89 (1993).
  51. Akram-Lodhi, AH. (Re)imagining agrarian relations? the world development report 2008: agriculture for development. Development and Change 39, 1145–1161 (2008).
  52. De Schutter, O. How not to think of land-grabbing: three critiques of large-scale investments in farmland. Journal of Peasant Studies 38, 249–279 (2011).
  53. Vanloqueren, G & Baret, PV. How agricultural research systems shape a technological regime that develops genetic engineering but locks out agroecological innovations. Research Policy 38, 971–983 (2009).
  54. Sims, B et al. Agroforestry and conservation agriculture: complementary practice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23–28. 2nd World Congress of Agroforestry, Nairobi, Kenya, August 2009.
  55. Pretty, J, et al. Policy challenges and priorities for internalizing the externalities of modern agriculture. Journal of Environmental Planning and Management 44, 263–283 (2001).
  56. Kasterine, A & Vanzetti, D. The effectiveness, efficiency and equity of market-based instruments to mitigate GHG emissions from the agri-food sector. United Nations Trade and Environment Review 87 (2009/2010).
  57. De Schutter, O. Agroecology and the right to food. A/HRC/16/49, Report presented to the Human Rights Council, Sixteenth session (December 2010).
  58. United Nations Millennium Project. Halving Hunger: It Can Be Done: Summary Version 6 (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me (UNDP), 2005).
  59. Byerlee, D et al. Agriculture for development: Toward a new paradigm. Annual Review of Resource Economics 1, 15–31 (2009).
  60. World Bank. World Development Report 2008: Agriculture for Development 41 (World Bank, Washington DC, 2007).
  61. López, R & Galinato, GI. Should governments stop subsidies to private goods? Evidence from rural Latin America.Journal of Public Economics 91, 1085 (2007).
  62. Hunt, A et al. Political institutions, inequality, and agricultural growth: The public expenditure connection. World Bank Policy Research Working Paper 3902, 24 (April 2006).
  63. Van Mele, P. Personal communication (March 2008).
  64. Warner, KD & Kirschenmann, F. Agroecology in Action: Extending Alternative Agriculture through Social Networks(Cambridge, MA, MIT Press, 2007).
  65. Van den Berg, H & Jiggins, J. Investing in farmers. The impacts of farmer field schools in relation to integrated pest management. World Development 35, 663–686 (2007).
  66. Morris, ML & Bellon, MR. Participatory plant breeding research: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for the international crop improvement system. Euphytica 136, 21–35 (2004).
  67. FAO-Swaminathan Research Foundation. Rural and Tribal Women in Agrobiodiversity Conservation: An Indian Case Study (RAP Publication, 2002).
  68. Holt-Gimenez, E. Linking farmers’ movements for advocacy and practice. Journal of Peasant Studies 37, 203–236 (2010).
  69. Rosset, P et al. The campesino-to-campesino agroecology movement of ANAP in Cuba: Social process methodology in the construction of sustainable peasant agriculture and food sovereignty. Journal of Peasant Studies 38, 161–191 (2011).
  70. Degrande, A et al. Mechanisms for Scaling-up Tree Domestication: How Grassroots Organisations Become Agents of Change 6 (ICRAF, 2006).
  71. De Schutter, O. Agroecology and the Right to Food. Report presented to the Human Rights Council, 16th session [UN doc. A/HRC/16/49] (17 December 2010).
  72. De Schutter, O. Mission to Brazil. Report presented to the Human Rights Council, 13th session [A/HRC/13/33/Add.6] (March 2010).
  73. De Schutter, O. Seed Policies and the Right to Food: Enhancing Agrobiodiversity and Encouraging Innovation. Report presented to the UN General Assembly [UN doc. A/64/170] (October 2009).
  74. De Schutter, O. Mission to Benin. Report presented to the Human Rights Council, 13th session [UN doc. A/HRC/13/33/Add.3] (March 2010).
  75. Chang, HJ. Rethinking public policy in agriculture: lessons from history, distant and recent. Journal of Peasant Studies 36, 477-515 (2009).
  76. De Schutter, O. Agribusiness and the Right to Food. Report presented to the Human Rights Council, 13th session [A/HRC/13/33] (March 2010).
  77. International Fund for Agricultural Development (IFAD). Rural Poverty Report. 134 (Rome, 2010).
  78. Sen, AK. Poverty and Famines: An Essay on Entitlement and Deprivation (Clarendon Press, Oxford, 1981).
  79. De Schutter, O. Addressing Concentration in Food Supply Chains. The Role of Competition Law in Tackling the Abuse of Buyer Power, Briefing note by the Special Rapporteur on the right to food (December 2010).
  80. De Schutter, O. Access to Land and the Right to Food. Report presented to the 65th General Assembly of the United Nations [UN doc. A/65/281] (October 2010).
  81. Pressures on access to land and land tenure and their impact on the right to food: A review of submissions received (December 2009-March 2010) and of Letters of Allegations and Urgent Appeals sent between 2003 and 2009 by the United Nations Special Rapporteur on the right to food (2010).www.srfood.org/images/stories/pdf/officialreports/20101021_access-to-lan....
  82. De Schutter, O. Large-Scale Land Acquisitions and Leases: A Set of Minimum Principles and Measures to Address the Human Rights Challenge. Report presented to the Human Rights Council [UN doc. A/HRC/13/33/Add.2] (March 2010).
  83. Pollan, M. Farmer in chief. The New York Times Magazine (October 9, 2008).


728x90
728x90

기후변화와 기상이변은 인류사의 물줄기를 바꾼 주요 원인이었다. 당장 경제적으로 충격을 받는 것은 물론이고 삶을 지탱하는 환경이 근본적으로 변하기 때문이다. 현생 인류의 등장,고대문명의 멸망,왕조의 정권 교체,체제 변혁 등 굵직굵직한 역사적 사건의 배후에는 자연환경 변화가 도사리고 있었다. 


고인류학자들은 네안데르탈인이 현생 인류(호모사피엔스)와의 경쟁에서 패배해 도태된 이유 중 하나로 빙하기의 충격을 꼽는다. 크리스 스트링거 영국 런던자연사박물관 연구위원은 "빙하기가 닥치면서 자원을 놓고 경쟁하게 됐는데 지능이 더 높은 현생 인류에게 네안데르탈인이 밀려난 것"이라고 주장했다. 반대로 빙하기 환경에 '지나치게' 적응했던 네안데르탈인이 빙하기가 끝나자 변화된 환경에 적응하지 못해 사라졌다는 주장도 있다. 

남미 안데스 산맥 해안지대에서 문명을 꽃피웠던 고대 모체문명이 멸망한 것은 엘니뇨에 의한 자연재해 때문이란 설이 유력하다. 모체문명이 절정을 이뤘던 550~600년께 이들이 살던 해안지대에 30년 동안 '메가 엘니뇨'로 알려진 폭풍우와 홍수가 발생하면서 문명이 파괴됐다는 설명이다. 

중앙아시아 유목민족의 팽창과 쇠퇴도 기후변화의 결과란 분석이 있다. 조지프 플레처 하버드대 교수는 "기후변화로 중앙아시아 초원지대가 확장과 감축을 맥박처럼 반복하면서 그때마다 유목민의 운명이 갈렸다"고 설명했다. 흉노족,몽골족의 번성과 위축은 유목사회를 둘러싼 기후변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설명이다. 

또 17세기 글로벌 기후가 급격히 떨어진 '소빙기(小氷期)'를 맞이해 인류가 살아갈 환경 조건이 악화되면서 각 나라에 대변화가 일어났다는 '17세기 위기론'은 글로벌 역사학계의 주요 화두 중 하나다. 이 시기에 유럽에선 30년전쟁과 청교도혁명,러시아 대기근 및 로마노프 왕조의 등장 같은 정치적 혼란이 빚어지고 중국에선 명나라와 청나라가 교체됐다. 이와 함께 1707년 이탈리아 베수비오화산과 그리스 산토리니섬,일본 후지산,인도양 레위니옹섬 등 네 개 화산 폭발에서 발생한 재로 인해 그 다음해 닥친 혹한은 루이14세 시대 절대왕정의 기반을 흔들어댔다. 이 같은 상황에서 1789~1793년의 대엘니뇨로 유럽 전역이 흉작에 시달리면서 프랑스혁명이 발발했다는 시각도 있다. 이 밖에 1845년 아일랜드를 덮친 한파로 발생한 '감자 대기근'은 200만명 이상의 아일랜드인이 미국으로 이민을 떠나는 계기가 됐다.
728x90
728x90

LEIPZIG, Germany, May 26, 2011 (IPS) - 유럽은 농업정책을 바꾸고 농민을 농업 연구에 주요한 참여자로 만들지 않는 한 기아에 직면할 것이라고 새로운 보고서가 밝혔다. 그리고 그러한 변화 없이 생물다양성의 손실을 줄이자고 최근 유럽에서 발표한 목표는 이루기 어려울 것이다. 


프랑스는 심각한 가뭄으로 고통받고 있지만 유럽의 종자법은 그것을 극복하도록 도울 수 있는 더욱 다양한 종자를 농민이 사용하지 못하게 막는다고 런던에 있는 비영리 연구소인 환경과 개발을 위한 국제연구소(IIED)의 Michel Pimbert가 말한다.  

"우리의 종자법은 획일성을 강요한다. 프랑스는 오직 승인된 종자만 심을 수 있고, 그런 신품종은 많은 양의 물이 필요하다"고 보고서의 저자 Pimbert는 말한다. 

"개선된 작물 품종과 생물다양성이 풍부한 농업을 개발하기 위하여 자신이 심을 종자를 선택하고 그것을 사용할 농민의 자유는 유럽의 기후변화에 대한 대응의 핵심이 될 것이다"라고 Pimbert는 말한다. 

"유럽의 농업정책은 기후변화에 적응하려는 우리를 방해하고 있다. 그것은 또한 농민이 점점 한정된 범위의 종자와 동물 종을 사용하도록 강요하기에 생물다양성에도 좋지 않다"고 그는 말한다.  

농민은 획일성을 강요하고 특허권과 지적재산권을 보호하는 종자법의 체계에 손이 묶여 있다. 실제로 이는 오직 가장 선진의 품종만 시장에 팔 수 있다는 것을 뜻한다. 그러나 지적재산권 법의 테두리에서 이것은 농민이 주로 거대 기업이 소유하고 있는 특허받은 유전자와 상표가 붙은 과학기술을 사용할 권리를 얻으려면 돈을 내야만 한다는 것을 뜻한다.  

과학자들은 똑같은 덫에 빠져 있어 종자다양성의 모든 범위를 활용할 수 없다고 Pimbert는 말한다. 

최종적인 결과는 작물의 폭넓은 품종에 걸친 유전적 다양성의 엄청난 감소라고 이번 달 초에 발표된 Farm Seed Opportunities 보고서에서 밝혔다. 그 보고서는 공공부문 연구소, 유럽 6개국의 농민단체와 유기농연합을 포함하여 유럽연합에서 기금을 받은 Farm Seed Opportunities 프로젝트의 조사결과에 기반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다양성이 기후변화로 어려워질 식량생산 체계에서 탄력성을 확보할 수 있게 한다고 동의한다. Olivier De Schutter가 유엔의 식량권에 대한 특별보고서에서 최근 발표한 바에 따르면, 식물과 나무, 동물의 다양한 조합이 지난 10년 동안 사하라 이남의 아프리카 20개국에서 수확량을 2배로 만들었다고 한다. De Schutter는 이런 농업의 형태를 ‘생태농업(agroecology)’이라 부른다. 생태농업은 더 낮은 비용으로 더 많은 식량을 생산할 뿐만 아니라, 흙을 살리고 또한 농민의 탄소발자국을 극적으로 낮춘다.  

"그것은 현행 식량생산에서 인간이 배출하는 지구온난화 가스보다 45~50% 감소한다고 말해도 타당하다"고 De Shutter는 예전 IPS와의 인터뷰에서 말했다. 

현행 세계 식량생산 체계는 "우리 모두를 죽이려고 위협하고 있다"고 생물학자이자 저자 Colin Tudge가 보고서의 서문에 썼다. "가장 짧은 시간에 가장 많은 돈을 벌게 하는 농업의 종류는 우리를 먹여 살리고 계속하여 먹여 살릴 수 있는 농업의 종류와 절대적으로 조화할 수 없다"라고 Tudge는 썼다. 

생태농업적 농업은 시너지 효과를 일으키는 생명체의 폭넓은 품종과 함께 자연이 작동하는 방식으로 일한다. 그는 그러한 방식이 더 많은 식량을 생산하고 더 지속가능하다는 것을 입증하는 많은 증거가 있다고 한다. 

유럽의 공동 농업정책(Common Agriculture Policy<CAP>)은 어마어마한 탄소를 배출하고, 오염을 시키고, 농지를 열화시키며, 농민의 수를 극적으로 줄이고 그들의 농민보다 저가로 팔아서 빈곤국에 값싼 식량을 투기하는 등의 비용으로, 거대 농기업들을 위해 돈을 만들고 많은 양의 식량을 생산하는 데에만 성공적이라고 Pimbert는 말한다. 영국에서 농민의 평균 나이는 60세 이상이다. "서유럽에서 농민의 수는 일부이고, 그들은 모두 기계화 자본으로 대체되었다." 

공동 농업정책(CAP)은 농업 보조금과 프로그램에 대한 유럽연합의 체계로서, 2013년에 개선될 것이다. 현재의 공동 농업정책은 신자유주의 경제정책에 따라 작동하며 그것은 실패했다고 국제 슬로우푸드 대표 Carlo Petrini는 말한다.  

"모든 지역사회가 국제 시장에 의해 좌우되는 외적인 영향의 대상이 되지 않고 생산하는 것을 결정할 권리를 가져야 한다"고 성명서에서 Petrini는 말한다. 

지역 농민을 위한 지원을 강화하는 것이 새로운 공동 농업정책의 부분이 되어야 한다고 프랑스의 농부이자 활동가이며 농업과 농촌개발에 대한 유럽 의회 위원회의 부대표 José Bové는 말한다. "만약 농촌 공동체가 자신의 운명을 결정할 기회를 놓친다면, 상황은 개선될 수 없다"고 성명서에서 Bové는 말한다. 

새로운 공동 농업정책은 거의 독점적으로 대규모 단작에 초점이 맞춰져 있는 데에서 온전한 농사인 생태농업의 접근법과 우리의 식량 공급을 책임지는 생물다양성의 보호를 우선시하는 연구와 정책으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고 Pimbert는 말한다. "과학자들은 복합적인 체계를 다루는 훈련이 되어 있지 않아서, 그것이 과제이다." 농민은 또한 종자를 나누고 다양성을 활용하기 위한 자유로운 활동에서 핵심이 되어야 한다고 그는 말한다. 

오늘날 유럽은 기후변화를 극복할 준비가 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다. "지금까지 우린 상당한 충격을 완화시켜 왔지만 우리가 경험하지 못한 것이 다가올 수 있다"고 Pimbert는 결론을 내렸다. (끝)
 


728x90
728x90

노먼 볼로그 박사는 키 작은 밀을 육종하여 세계의 식량문제를 해결하는 데 공헌했다고 노벨평화상을 받았다. 이제는 기후변화에 적응한 품종을 만드는 것이 노벨상 수상의 관건이다. 그런데 그게 유전자조작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인정하는 건가?


‘풍요 속의 빈곤’.


우주를 탐험하고 인공세포를 만들어 신의 영역에 다가선 첨단의 시대에도 ‘굶주림은 임금님도 해결하지 못 한다’는 말은 유효하다. 세계로 눈을 돌려보면 6초마다 어린이 한 명이 굶주림으로 사망한다. 유니세프가 2009년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 5세 미만 어린이 중 약 2억 명이 기아에 시달린다. 

자연재해, 전쟁 등은 기아를 일으키는 대표적인 원인이다. 그러나 최근에는 기후변화로 곡물생산량이 줄고 있다는 보고가 잇따르고 있다. 미국 농무부(USD)는 지난해 12월 발표한 ‘국제곡물 수급전망’에서 올해 곡물생산량이 전년도(22억3000만t)보다 2% 가량 줄어든 21억9000만t일 것으로 내다봤다. 기후변화는 전 세계적으로 일어나기 때문에 자연재해나 전쟁보다 영향력이 더 크다.

미국 컬럼비아대와 스탠포드대 공동 연구진은 이달 6일 과학학술지 ‘사이언스’에 “1980년 이후 기후변화로 인해 전 세계 밀 생산량은 5.5%, 옥수수 생산량은 3.8% 줄었다”고 발표했다. 이들 작물이 상승한 온도에 적응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옥수수, 밀은 쌀, 콩과 함께 대표적인 주요 작물이다. 

밀은 3300만t, 옥수수는 2300만t 감소했다. 이는 각각 프랑스와 멕시코의 연간 생산량에 달하는 양이다. 기후변화로 밀 생산에 가장 큰 손실을 본 국가는 러시아, 인도, 프랑스였다. 옥수수 생산량은 중국과 브라질에서 가장 많이 줄었다. 

연구진은 “지난 30년간 기후변화로 곡물가격이 약 20% 올랐다”고 말했다. 인구는 꾸준히 늘고 있는데 반해 곡물 생산량이 줄면서 수요-공급의 법칙에 따라 곡물가격이 상승했다는 것이다. 

실제 지난해부터 여러 자연재해로 주요 곡물 생산국가가 타격을 입으면서 곡물가격은 상승 추세에 있다. 유엔 식량농업기구(FAO)는 최근 지난해 4월부터 1년 사이에 옥수수 가격이 2배 정도 올랐다고 밝혔다. 

밀과 옥수수에 비해 기후변화가 쌀과 콩의 생산량에 미친 영향은 매우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김한용 전남대 농업생명과학대 교수는 “기온이 오르면 쌀의 수정이 잘 안 돼 쭉정이가 많이 생겨 수확량이 낮아진다”고 말했다. 기후변화를 막을 수 없다면 여기에 적응한 품종을 개발하는 게 풍요 속의 빈곤을 해결하는 중요한 일이다.

변태섭 동아사이언스 기자 xrockism@donga.com


728x90
728x90

온난화는 이미 밀과 옥수수 수확량을 낮추었다.




세계적 기후변화는 이미 예상보다 훨씬 빨리 옥수수 같은 작물의 수확량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PIXFOLIO / Alamy


오늘 출간된 연구에 따르면, 농민은 기후변화가 일어나지 않았던 때보다 지난 30년 동안 적은 식량을 생산했다.1. 예를 들어, 세계의 옥수수 생산량은 온난해지지 않은 세계에서보다 약 3.8% 낮아진 것으로 추정된다. —멕시코의 등가물은 옥수수 시장에 넣지 않고.

"이러한 것들이 지금 일어나고 있다"고 캘리포니아의 스탠퍼드대학 지구시스템 과학자이자 공동연구자 David Lobell은 강조한다.

그 결과는 많은 점에서 놀랍다. "나는 이번 세기의 20년대나 30년대까지 변화를 발견할 수 없다는 추정하고 가동했습니다"라고 그 작업에 참여하지 않은 워싱턴 DC 국제식량정책연구소의 농업경제학자 Gerald Nelson이 말했다.

국가의 작물 수확량은 여전히 일반적 추세로는 오르고 있다. 그러나 수확량이 이론적인 최대치보다 낮다는 사실은 세계의 폭발하는 인구를 먹여 살리는 거대한 과제를 고려할 때 중요하다고 저자는 지적한다. 

더 큰 변화가 바로 앞에 놓여 있을 수 있다. 연구는 아마 자연의 변동성이나 연무제의 냉각 효과 때문에 지난 30년 동안 작물을 기르는 지역이 여름에 더워지지 않아 지금까지 수확량 감소에서 보호막 역할을 하던 미국 —세계의 콩과 옥수수의 약 40%를 생산하는— 에 주목한다. "최근 몇 년 동안의 높아진 식량가격이 더할 수 없이 나쁜 상황을 자각하게 했다. 그러나 그것은 전혀 사례가 아니다. 주요 생산자가 불리한 영향을 받지 않았기 때문이다"라고 Lobell은 말한다. "미국은 만족감으로 안심할지도 모른다."

연구는 또한 기온이 강수량보다 작물 수확량에 훨씬 더 많은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래서 적은 물로 생존할 수 있는 능력을 만드는 것보다 작물의 미래세대를 위하여 열에 저항성을 갖도록 육종하는 것이 더 중요할 수 있다.


동향을 풀기

작물 수확량은 시장의 예상 밖의 변화부터 화학비료의 값과 새로운 기술의 유용성까지 많은 것에 의존한다. 그러나 저자는 이러한 요소의 대부분이 어떻게 기온과 강수량이 국가ㅢ 수확량에 연결되는지 알아보는 모델을 뽑을 수 있는 기후에는 연결되지 않는다고 추정한다. 비록 따뜻한 기온이 농사철을 늘릴 수는 있더라도, 일반적으로 지나친 열기가 작물의 성장을 제한하고 해충과 물 손실을 촉진시킨다. 추가 강우량은 어느 정도 이롭다.

저자는 1980년에서 2008년까지 각국의 식량생산량에 기온과 강우량의 동향이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추산하기 위하여 모델을 만들어 사용했다. 

그들은 공기 중의 증가된 이산화탄소의 시비 효과에도 식물 성장에 대한 기후변화의 부정적인 효과가 밀 생산량을 2.5%까지 줄인 반면, 쌀은 2.9%, 콩은 1.3%까지 높였다고 추산한다. 그들은 또한 30년에 걸쳐 온 세계의 농산물 가격이 약 6.4%까지 올랐다고 계산한다. 

저자는 그들의 결과가 추정일 뿐이라는 점을 인정한다. 농민이 다른 작물 품종으로 전환하거나 상태의 변화에 따라 심는 날을 바꿀 수 있다는 사실을 고려하지 않았기에 기후의 영향을 과대평가했을 수 있다. 역으로 그 결과는 가뭄, 홍수, 열파와 같은 극심한 기후 사건을 명확하게 보지 않았기에 과소평가했을 수 있다. "우리가 이용할 수 있는 자료로 최선을 다했다"고 Lobell은 말한다.


예상보다 더 빨리

1도씨 오를 때마다 약 5%의 수확량이 감소한다는 일반적인 결과는 예전 연구들에서도 일관되었다고 Lobell은 말한다. 하지만 저자의 결론은 몇 가지 중요한 방식에서 예전 작업과 다르다.


그것과 같은 연구는 또한 온난화가 선진국보다 개발도상국에서 더 심하게 식량생산량에 타격을 줄 수 있다고 결론을 내렸다. 많은 부유한 나라들은 보통 추운 기후라 더 적합한 상태로 바뀔 수 있어 온난화로 혜택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Lobell 등은 이런 일이 일어나지 않을 것이라 본다. 대신 Lobell은 선진국에서 단위면적당 상대적으로 높은 생산량은 선진국이 실제로 예상 밖의 기후에 더 민감하다는 것을 뜻한다고 추측한다. 다른 한편 가난한 나라들은 생산율이 낮고 화학비료의 유용성과 같은 다른 요인들에 훨씬 영향을 받는다. Nature에서 1994년 출간한 연구2 에서는 이산화탄소의 시비 효과는 몇 십 년 동안 아마 저위도에서 온난화의 부정적인 효과에 대응할 것이라고 결론을 내렸다. "우린 그것을 보지 못했다"고 Lobell은 말한다.

그 결과는 심각하게 식량 생산량에 기후변화의 영향을 받는 선진국에 대한 자극을 추가해야 한다고 Lobell은 말한다. "적응은 저쪽에 있는 무엇이 아니라, 우리가 당장 필요한 무엇이다." 미국은 이미 시작되었을 수 있다: 2월에 미국 농무성은 작물과 숲에 대한 기후변화의 영향을 연구하는 세 연구에 6000만 달러를 투자했다. 


    1. Lobell, D. B. , Schlenker, W. & Costa-Roberts, J. Sciencedoi:10.1126/science.1204531 (2011).
    2. Rosenzweig, C. & Parry, M. L. Nature 367, 133-138 (1994).


728x90
728x90

물 이외에 사람은 생활을 위해 식량이 필요하다.  따라서 식량은 또한 경제 성장에 필수이다.




광범위하고 집중적인 식량 생산 체계의 유지라는 문제는 로마제국을 포함하여 이전 문명의 붕괴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1] 녹색으로 우거진 수메르와 바빌로니아문명의 중심 메소포타미아는 주로 토양 침식의 결과 사막이 되었다. 최근 고고학적 연구에 따르면, 마야문명도 마찬가지로 식량 생산의 쇠퇴로 무릎을 꿇었다.[2]

산업사회는 식량 생산을 위하여 관개, 새로운 품종, 화학비료, 제초제, 살충제, 기계 -게다가 세계적으로 공유하는 지역적 풍요로움을 가능하게 하는 수송망- 를 사용하는데, 그렇지 않으면 제한 요소였을 것이다. 생산성의 관점에서 20세기 농업은 전례없는 성공 이야기를 만들었다: 곡물 생산량은 놀랍게도 500% 상승했다(1900년 4억 톤에서 2000년 약 20억으로). 이런 업적은 주로 값싸고 잠시 풍부한 화석연료의 사용에 의존한다.[3]

20세기를 시작하며 대부분의 사람들은 농사지었고, 농업은 근육의 힘(인간과 동물)으로 이루어졌다. 오늘날 대부분의 나라에서 농민은 예전보다 인구에서 훨씬 적은 비율이고 농업은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기계화되었다. 연료공급 기계가 쟁기질, 파종, 수확, 정선, 가공, 식량 운송을 하고, 산업형 농민은 보통 더 넓은 토지에서 일한다. 그들은 또한 일반적으로 이러한 생산물을 일괄적으로 도매업자에게 팔거나, 차례로 슈퍼마켓이나 식당의 체인점에 판매하는 유통업자나 가공업자에게 수확물을 판다. 식품의 최종소비자는 생산자로부터 떨어진 몇 가지 단계를 거치고, 대부분의 국가나 지역에서 식량 체계는 몇몇 거대한 다국적 종자회사, 농화학 회사, 농기계 제조사만이 아니라 식품 도매업자, 유통업자, 슈퍼마켓,패스트푸드점이 지배하게 되었다.

또한 농장 투입재도 변화했다. 100년 전 농민은 해마다 씨앗을 보관하면서, 토양 개량은 농장 자체에서 나오는 동물의 똥거름으로 했다. 농민은 오직 기본적인 농기구와 추가로 일부 윤활유 같은 유용한 물질만 샀다. 오늘날의 산업형 농민은 묶음상품(종자, 비료, 제초제, 살충제, 사료, 항생제)만이 아니라 연료, 전력 기계, 부품에 의존한다. 이러한 것들에 대한 연간 현금지출은 농민이 많은 대출을 받게 하여 기죽게 만든다.

현재와 같은 음식의 풍요로움을 위한 길은 대부분 환경에 부담이 되는 부수적인 비용이 많이 포함되어 있다. 농업은 토양의 염류축적, 삼림벌채, 서식지와 생물다양성의 손실, 물 부족, 물과 토양의 농약 오염 등의 결과로 이 행성의 인간에게 충격을 주는 가장 큰 근원이 되었다.[4] 화학비료의 사용은 1960~2000년 사이 세계적으로 500% 증가했고, 이것은 수십억 년 동안 존재한 영양소 순환의 과정을 혼란스럽게 하여 바다와 대양에 "죽음의 공간dead zones"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게 만들었다.[5]

최근 몇 년 동안 농업에서 어떠한 환경 개선이 이루어졌다: 미국의 농업은 20년 전보다 더욱 에너지 효율적이고, 화학비료의 사용은 조금 줄고, 토양을 보존하려고 더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보통, 특히 세계의 무대에서 식량 생산이 늘어남에 따라 환경에 충격을 주고 있다.[6]

현재 식량 공급의 추가 확대가 문제로 불거지고 있다. 세계의 1인당 곡물 생산량은 1984년 연간 342kg으로 정점이었다. 몇 년 동안 생산량이 수요를 충족시키지 못해서, 그 차이를 이월된 재고품으로 채웠다; 현재 2달치 이하의 공급량이 완충재로 남아 있다.[7]

생산량을 늘리기 위한 과제는 몇 곳에서 동시에 나오고 있다: 물 부족(위를 참조), 겉흙 침식(우리는 산업형 농업으로 석탄을 캐는 것의 거의 4배의 비율로 겉흙을 캐고 있다 —1년에 250억 톤 대 70억 톤), 토질의 저하, 경작지의 한계, 종자다양성의 감소, 투입재에 대한 필요의 증가(해충은 보통의 살충제와 제초제에 내성을 갖추게 되어 더 많은 양이 필요해짐), 그리고 특히 화석 연류 투입재 비용의 증가.[8]


그러나 식량 체계를 운영하기 위해 필요한 에너지가 비싸질수록 식량은 점점 더 에너지를 만드는 데에 쓰이고 있다: 많은 정부가 현재 바이오매스 -식량작물을 포함하여- 를 연료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보조금과 다른 장려책을 제공하고 있다. 이것은 필연적으로 식량 가격을 올린다. 심지어 밀과 같은 비연료작물은 농민이 밀밭 대신 더 이윤이 나는 옥수수나 유채, 콩 같은 생물연료작물로 대체하도록 영향을 미친다.

또한 광물질 고갈은 인간의 식량 공급에 제한을 가져올 수 있다. 인(P)은 자연 생태계의 제한 요인이다; 말하자면, 구할 수 있는 인의 공급은 이러한 환경에서 가능한 인구의 규모를 제한한다. 인은 식물의 생장에 필수적인 세 가지 영양소 가운데 하나이기 때문이다(질소와 칼륨이 다른 두 가지). 농업의 인 대부분은 인광석을 채굴하여 얻는다: 유기농 농민은 거친 인산염(crude phosphate)을 쓰는 반면, 관행적인 산업형 농업은 화학적으로 처리한 과인산염, 삼중 과인산염 또는 인산암모늄을 쓴다. 다행스럽게도 중국이 그들의 전통적인 식량-농업 체계에서 인간과 동물의 분뇨를 흙으로 돌려주듯이, 인은 재활용할 수 있다. 그러나 오늘날 소중한 흙의 영양분이 될 막대한 양이 수로로 흘러가 강 하구에 침전되어 버린다.[9]

2007년 캐나다의 물리학자이자 농업자문인 Patrick Déry가 허버트 선형분석(석유 고갈 속도를 예측하는 데 쓰이는 기술)을 사용하여 세계의 인의 생산 통계를 연구하여, 인의 생산량이 미국(1988)과 온 세계(1989)에서 이미 정점을 지났다고 결론을 내렸다. Déry는 현재 상업적으로 채굴할 수 있는 인만이 아니라 낮은 농도의 인광석 비축분까지 자료로 살폈다; 그는 —놀랍지 않은— 경제적, 에너지적, 환경적 관점에서 이를 개발하는 데 더 비용이 많이 들 것이라는 사실을 밝혔다.[10] Déry의 결론은 영국 Soil Association의 최근 보고서에 반향되었다.[11]

이러한 인의 정점 문제를 해결할 세 가지 방법이 있다: 인간의 분뇨를 거름으로 만들기; 비료의 더 효율적인 적용; 기존 토양의 인을 더 이용할 수 있는 식물을 만드는 것과 같은 방법으로 농사짓기.


식량 공급의 과제는 농업에서 세계의 해양으로 확장된다. 명태, 정어리, 대구, 도다리 같은 생선은 수십 년 동안 유럽과 북미에서 즐겨왔다. 그러나 이러한 종의 대부분은 현재 멸종위기에 처해 있다. 세계의 수산물 포획은 1994년에 정점에 달했다. 생태학자와 경제학자의 국제 모임은 2006년 현재와 같은 속도로 해양 종이 감소한다면 2048년에 모두 사라질 것이라 경고했다. 그들은 2003년 현재 역사적 최고 포획 수준 아래의 적어도 90%를 의미하는, 모든 어류 종의 29%가 붕괴되었다고 지적했다. 개체수 붕괴의 비율은 계속 빨라지고 있다. 모임의 보고서를 이끈 저자 Boris Worm이 말한 것을 인용하면, “우리는 이제 진짜로 이 길의 끝이 보인다. 우리 생애의 안에 있다. 만약 우리가 바뀌지 않으면 우리 아이들은 해산물 없는 세계를 볼 것이다”라고 했다.[12] 더 최근의 연구를 보면, 많은 종류의 물고기는 어류 남획이 멈추어도 회복하기가 매우 어렵다. 보존 노력이 15년 계속된 뒤에 많은 동물이 가까스로 증가하는 수준이다. 예를 들어 대구는 전혀 회복되지 않는다.[13]


자, 그럼 전체적인 그림이다: 식량에 대한 수요는 천천히 공급을 앞지른다. 늘어나는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식량 생산자의 능력은 점점 늘어나는 인구, 담수 공급의 하락, 바이오연료 산업의 상승, 더 자원 집중적인 고기와 생선에 기반한 식사를 위한 산업화되는 국가의 확대되는 시장에 부담을 안게 된다; 어장은 줄어든다; 기후는 불안정하다. 그 결과는 거의 필연적으로 20~30년 안에 언젠가 온 세계의 식량위기로 나타날 것이다.[14]

세계의 식량 생산을 높이거나 심지어 현재의 속도를 유지하기 위한 과제는 이번 1장에서 언급한 다른 문제(기후변화, 에너지자원 고갈, 물 부족, 광물질 고갈)뿐만 아니라 다음 2장에서 논의되는 문제와 연결되어 있다: 현대 농업은 융자와 빚의 체계를 필요로 한다. 농민이 융자를 받지 못하면, 점점 더 비싼 투입재를 구할 수 없게 된다. 식량 가공업자와 도매업자도 마찬가지로 융자를 받아야 한다. 따라서 장기 신용위기는 상상할 수 있는 기상재해만큼 세계의 식량 공급을 완전히 파괴할 수 있다.

종종 이러한 기죽고 있는 식량 체계의 과제로 제시되는 해결책이 유전공학이다. 만약 우리가 더 생산적인 작물품종, 더 영양가 높은 식량, 짠물에서 자랄 수 있는 식물, 더 빨리 자라는 생선, 또는 콩과작물처럼 공기중의 질소를 고정할 수 있는 곡물을 만들기 위한 유전자를 붙일 수 있다면, 그럼 우리는 담수 관개, 질소비료, 어류 남획을 줄이면서 더 많고 영양가 높은 식량을 기르고 사람들을 더 잘 살게 할 수 있다. 너무 좋아서 믿어지지 않는다. —희망사항이다. 현실에서 대부분의 특허받은 식물 유전자는 거의 해충이나 특정 제초제에 대한 저항성을 부여한 것이다; 더 영양이 풍부한 작물과 질소를 고정하는 곡물이란 약속은 실현되려면 아직도 멀었다.  한편 유전자조작으로 만들어진 종자 산업은 계속하여 에너지 집약적인 기술(화학비료와 제초제와 같은)만이 아니라 융자와 부채에 기반한 금융체제와 함께 중앙집중적인 생산과 분배 체계에 의존한다. 지금까지 식량작물에 유전자를 접합하는 것은 주로 점점 독점화되는 기업의 종자 산업을 위한 막대한 이익을 발생시키고, 농민은 더 많은 부채를 지게 만드는 데 성공했다. 유전자조작 생선에 대해서라면, 생태학자들은 그것들이 막힌 공간에서 자라다가 잘못하여 야생으로 탈출하기라도 하면, 순식간에 야생의 개체수를 잠식하여 생태계를 어지럽힐 것이라고 경고한다.[15]

지난 몇 십 년 동안 Wendell Berry, Wes Jackson, Vandana Shiva, Robert Rodale, Michael Pollan을 포함한 농민, 농업학자, 식량 체계 이론가들이 소리 높여 농업의 중앙집중화, 산업화, 세계화에 대항하며 화석연료 투입재를 최소로 하는 생태학적 농업을 주장해 왔음에 주목해야 한다. 그들의 견해는 피크오일과 성장의 끝에 대한 적응이 더 쉬울 것이라는 점에 뿌리를 두고 있다. 불행히도 그들의 권고는 주류가 되지 못하고 있다. 산업화, 세계화된 농업이 은행과 농기업 연합을 위한 더 많은 단기 이윤을 생산하는 능력을 입증했기 때문이다. 더욱 불행히도, 피크오일과 경제수축이 오기 전에 사전 대비적인 식량 체계로 이행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시간은 가버렸다. 우린 남은 시간을 다 썼다.


이 기사는 Post Carbon Institute의 Senior Fellow인  Richard Heinberg의 2011년 9월에 출간될  The End of Growth 에서 나왔다. 

Access additional excerpts on the Post Carbon Institute website.

 

참고문헌

1. In his book, Dirt, David Montgomery makes a powerful case that soil erosion was a major cause of the Roman economy’s decline. David Montgomery, Dirt: The Erosion of Civilizations, (Berkeley and Los Angele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7).

2. T. Beach et al., “Impacts of the Ancient Maya on Soils and Soil Erosion in the Central Maya Lowlands,” Catena 65, no.2 (February 28, 2006), 166-178.

3. Richard Heinberg and Michael Blomford, The Food and Farming Transition, Post Carbon Institute, 2009, available online http://www.postcarbon.org/report/41306-the-food-and-farming-transition-toward.

4. Jonathan Foley, “The Other Inconvenient Truth: The Crisis in Global Land Use,” environment 360, posted October 5, 2009.

5. “World Fertilizer Consumption,” spreadsheet for “Food and Agriculture,” Earth Policy InstituteData Center, posted January 12, 2011, http://www.earth-policy.org/data_center/C24; Robert J. Diaz et al., “Spreading Dead Zones and Consequences for Marine Ecosystems,” Science321, no.926 (2008).

6. David Tilman et al., “Agricultural Sustainability and Intensive Production Practices,” Nature418 (August 8, 2002), 671-677.

7. Scott Kilman and Liam Pleven, “Harvest Shocker Rattles Wall Street,” The Wall Street Journal, October 9, 2010.

8.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Protect and Produce: Restoring the Land,” in Dimensions of Need–An Atlas of Food and Agriculture (Rome: FAO, 1995); Leo Horrigan, Robert S. Lawrence, and Polly Walker, “How Sustainable Agriculture Can Address the Environmental and Human Health Harms of Industrial Agriculture,” Environmental Health Perspectives 110, no.5 (May, 2002).

9. Patrick Déry and Bart Anderson, “Peak Phosphorus,” The Oil Drum, posted August 17, 2007,www.theoildrum.com/node/2882.

10. Patrick Déry, Pérenniser l’agriculture, Mémoire pour la Commission Sur l’Avenir de l’Agriculture du Québec, GREB, April 2007.

11. A Rock and a Hard Place: Peak Phosphorus and the Threat to our Food Security, (Bristol UK: Soil Association, 2010).

12. Juliet Eilperin, “World’s Fish Supply Running Out, Researchers Warn,” The Washington Post, November 3, 2006.

13. Corinne Podger, “Depleting Fish Stocks,” BBC World Service, posted August 29, 2000.

14. Julian Cribb, The Coming Famine: The Global Food Crisis and What We Can Do to Avoid It, (Berkeley and Los Angele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10).

15. R.D. Howard, J.A. DeWoody, and W.M. Muir, “Transgenic Male Mating Advantage Provides Opportunity for Trojan Gene Effect in Fish,”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 101, no.9 (February 19, 2004), 2934-2938.

728x90
728x90

By Janeen Madan

중부 네팔의 Dhading에서 대부분의 사람은 빗물에 의존하는 농업으로 식량과 수입을 얻는 농민이다. 그러나 확산되는 가뭄과 되풀이되는 산사태를 포함하여 최근 일어나는 불규칙한 강우와 자연재해는 지역 농민사회의 생계를 위협하고 있다.

씨앗과 정보에 대한 농민의 접근을 개선하는 계획은 기후변화에 잘 적응하도록 할 수 있다. (Photo credit: Bernard Pollack)


지역의 능력 향상을 통해 자연자원의 지속가능한 관리를 촉진하는 비영리단체 Resource Identification and Management Society (RIMS)-NepalCommunity Seed and Information Resource Center (CSIRC)라는 시범 사업을 조직했다.

CSIRC 계획은 소농이 기후변화에 적응하는 데 필요한 도구와 함께 그들의 권한을 향상시키고 있다. 2010년 11월에 설립된 CSIRC는 Local Adaptation Plan of Action(LAPA) 프로그램의 지도로 Tasarpu의 마을 개발위원회(VDC)에 의해 조직되고, 관리되고, 직원을 뽑는다.

지역에서 가장 취약한 가구를 조사한 다음, 그 프로그램은 약 160명의 농부에게 개량된 씨앗을 위한 보조금을 제공하고 있다.

CSIRC의 분산 모델은 전체 지역사회에 대해 기후변화에 더 잘 적응하는 그들의 자원을 함께 모아 농부에게 허용한다. 센터에서 지역사회 구성원은 어떻게 그들의 새로운 투입재를 더 잘 이용할 수 있는지 지식을 공유한다. CSIRC는 중요한 마을의 자원으로 역할한다. –그곳은 농민들이 직면한 과제를 공동으로 논의하고 더 좋은 자연자원 관리법을 공유하도록 허용한다.

그리고 그 프로그램의 집행위원회는 또한 전국의 농업망 안에서 CSIRC를 통합하고자 일하고 있다. 하나의 그러한 망은 영어와 네팔어로 신속하게 시장, 가격, 날씨에 대한 정보를 농촌의 농민에게 제공하는 온라인 형식의 Telecenters website이다.

외진 농촌 지역에서 시장의 다양한 작물과 관련한 가격 정보에 대한 개선된 접근은 농민이 도매업자와 흥정하거나 그들의 생산물을 시장에 내려고 결정하는 때를 정하도록 돕고 있다. 이러한 획기적인 정보 공유망은 농민이 자신의 농장을 떠나지 않고도 시장에 접근할 수 있게 하여 간극을 메운다. 그리고 빈번히 날씨 정보를 업데이트하여 또한 농민이 그들의 작물을 심는 것과 관련하여 미리 계획하고 결정하도록 돕고 있다.

이러한 자원의 도움과 함께 다딩Dhading 주의 농민은 현재 그들의 생산물에 대한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가까운 카투만두 계곡으로 작물을 공급하고 있다.

소농은 오늘날 세계에서 소비되는 식량의 70%를 생산한다. 그러나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에 따르면, 2080년까지 기후변화는 추가적으로 6억 명을 기아에 빠뜨릴 수 있다고 한다. 그리고 그러한 위험의 주요 대상은 세계의 소농이다. 이러한 농민의 능력을 개선하는 것과 지역 식량 체계의 탄력성을 강화하는 것은 전보다 더 중요해지고 있다.

CSIRC는 그것을 막 하고 있다. –그것은 농민이 변화하는 기후에 손실을 피하고 그들의 가족과 지역사회를 살찌우는 수확을 올리는 데 필요한 가치 있는 도구를 제공하고 있다. 


Janeen Madan is a research intern with the Nourishing the Planet project.


출처 http://blogs.worldwatch.org/nourishingtheplanet/innovation-of-the-week-adapting-to-climate-change-through-improved-access-to-seed-and-information-adapting-to-climate-change-through-improved-access-to-seed-and-information-resource-identification-and/


728x90
728x90

유전자조작은 더 많고 좋은 작물로 이끌 것인가? 또는 우리의 식량 체계의 기반을 파괴할 것인가?


프랑스 농민과 활동가 들은 농산업 기업 몬산토가 개발한 유전자조작 유 채씨를 심은 밭에서 그들이 "불법"이라 부르는 것을 거둔다. Pratta/Reuters


2주 전 몬산토는 최신 유전자조작 작물을 시장에 낼 수 있을 것이라 발표했다(announced) : 콩은 dicamba 제초제에 저항성이 생기게 재조정되었다. 몬산토는 새로운 생산물이 풀 관리를 지원하여 "농부의 마음에 평화를 가져올 것"이라고 한다.

한편 70개국 농민운동 150개 단체로 조직된 지구 반대편의 비아 깜페시나Via Campesina는 그것이 수많은 회원들의 마음에 평화를 가져올 것이란 말에 조금 다른 생각을 가지고 있다 : 생물다양성 보호. 식물 유전자에 대한 미국의 조약으로 발리에서 모여 발표한 성명(its statement)에서 그 단체는 몬산토의 콩과 같은 유전자조작 작물의 확산과 종자 특허권을 허용하는 법의 구조를 다시 평가하라고 조약입안자에게 권고했다. 비아 깜페시나는 이러한 유전자조작 작물과 국제적 특허권 제도가 종자를 보존하고 나누는 농부권을 가로막고 생물다양성과 식량안보를 위협한다고 한다.

2004년 세계 종자 판매의 절반을 10개 회사가 손에 쥐었다. 오늘날 그 회사들은 종자 판매의 거의 1/3을 장악했다.

몬산토와 비아 깜페시나는 두 가지 뚜렷한 세계관을 대표한다. 몬산토와 다른 거대 화학제품과 종자 회사인 Syngenta, BASF, Dupont과 같은 기업에 따르면, 종자 지배와 생명공학을 위한 법률 완화는 혁신과 생산성 향상의 원동력이라 한다.

그게 좋을 수도 있지만, 비아 깜페시나와 세계의 다른 많은 조직은 특허권 인정과 생명공학 작물이 확산된 20년 동안의 현실 세계에서 나타는 효과를 고려한다. 이러한 비평가들은 기업의 씨앗에 대한 힘이 실제로 생물다양성과 식량 체계의 탄력성을 약화시켰다고 주장한다.

이 토론은 중요하다. 우리가 주로 어느 쪽을 듣는지에 따라 어떻게 이 행성에서 지속적으로 먹고 살 수 있을지 결정될 것이고, 특히 지구온난화로 더 극심한 기후로 씨름할 것이라 작물 탄력성이 무엇보다 중요한 때이다.

1980년부터 Diamond v. Chakrabarty 대법원의 판결로 미국에서 기업은 씨앗을 포함한 생물 형태의 특허권을 가질 수 있게 되었다.  유럽에서는 1999년부터 약 1,000개의 동물과 1,500개의 식물에 대한 특허권이 승인되었다; 유전자조작 작물만이 아니라 전통적인 것까지 수천 개가 계류중이다. 몬산토와 신젠타 홀로 토마토, 피망, 멜론을 포함한 많은 전통적인 채소에 대한 특허권을 보관하고 있다. 이것은  어떻게 어디에 어떤 작물을 심을 수 있는지, 심지어 어떤 씨앗 계통을 지속시키거나 몰살시킬지 통제를 강화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우리가 몬산토에게 듣는 것과 대조적으로, 특허권은 실제로 연구자가 더이상 자유롭게 특허받은 식물을 육종 실험에 쓰지 못하게 함으로써 혁신을 제한한다. 또한 씨앗 소유권으로 시장 독점이 높아져 또한 참된 시장 경쟁을 파괴했다. 2004년 세계 종자 판매의 절반을 10개 회사가 손에 쥐었다. 오늘날 그 회사들은 종자 판매의 거의 1/3을 장악했다. 이런 독점은 더 비싼 가격과 소비자의 선택권을 줄이는 결과로 이끌었다.

이런 기업의 생명공학 작물이 점점 확산되어 왜 생물다양성이 매우 위협받게 되는지 볼 수 있다. 다른 산업형 작물처럼 생명공학 작물은 수백만 평에 화학제품을 뿌리며 하나의 종만 심는 대규모 단작으로 이루어진다.  비타민 A 결핍을 끝낼 수 있다거나 가뭄에 견딘다는 경이로운 작물을 약속했지만, 거의 모든 상업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유전자조작 식품은 제초제를 견딜 수 있는 종류나 제조체 저항성을 주입한 두 가지 유형 가운데 하나뿐이다. 세계에 심고 있는 모든 생명공학 작물의 50%가 콩이다. 세 나라 -미국, 브라질, 아르헨티나- 가 세계의 기아를 위해서가 아니라 거의 모두 가축을 위해 쓰일 운명인 모든 유전자조작 작물의 77%를 기른다. 

또한 생명공학 작물은 "전통적인" 산업형 작물이 아닌 방식으로 생물다양성에 영향을 미친다 : 작물과 야생식물의 유전적 온전함을 위협함으로써. 2006 report에서 현재 Union of Concerned Scientists인  Doug Gurian-Sherman은 설명했다 : "유전자 유동으로 야생생물에게 해를 끼치게 될 때 유전공학은 비용이 오른다. 왜냐하면 자연 생태계에서 생물체는 밭에서 쓰이 유전자의 대부분에 적응할 수 없기 때문이다. 미국에서 최근 유전자조작 자주개자리의 승인과 함께 유기농 농민은 그러한 "유전적 무단 침입"에 대해 더욱 염려하고 있다.

생물다양성의 많은 이익에는 잠재적으로 중요한 예를 들어 더 자주 직멸할 가뭄과 홍수에 더욱 탄력적인 성질을 발견할 수 있는 유전물질, 품종의 보유처라는 점이 있다. New Zealand's University of Canterbury Heinemann의 분자생물학 교수 Jack Heinemann은 "만약 우리가 놀라운 특성 때문에 내일 좋자고  생물다양성을  위태롭게 하면, 모레를 위한 놀라운 특성은 더이상 가질 수 없을 것이다."

그것은 생명공학 산업이 말하는 것이 아니다.  대신 세계의 유전적으로 조작된 식품의 제조를 이끄를 몬산토는 세계의 늘어나는 식량 수요를 맞추는 데 과학기술이 필수적이라는 것을 대중에게 납득시키려고 몇 백만 달러를 홍보 활동에 쓰고 있다. 2009년 초반에 몬산토의 생명공학 수장 Steve Padgette는 곧 있을 가뭄 저항 옥수수 같은 새로운 작물이 "농업생산성의 빗장을 다시 조정할 것이다"라고 주장했다(claimed).  현장에서 전문가가 가뭄 저항 공학은 many years off—만약 가능하다면— 그리고 생명공학 작물이 꾸준히 더 많은 생산량을 가져오지 않는다고 말하는 것은 신경쓰지 않는다.  International Assessment of Agricultural Knowledge, Science and Technology for Development, 세계의 600명 이상의 전문가가 기여한 여러 해에 걸친 연구는 "농생명공학의 혜택은 가능한 이득과 손해가 어쩔 수 없다며 입증되지 않고, 모순되고, 불확실하다고 결론을 내렸다."

한편 세계의 농업 프로젝트 —특히 가뭄으로 고통받는 동아프리카— 는 지속가능한 농업의 믿을 수 없는 잠재력을 보여주고 있다. 영국 에섹스대학이 아프리카에서 연구한 수백의 프로젝트( studied by England's University of Essex)를 통해 소농의 농지에 농업생태학적 기술의 도입이 작물 수확량을 평균 116% 높였다. 세계의 식량망에 탄력성과 지속가능성을 개선하는 수단으로 "농업생태학은 현재  "과학계의 광범위한 전문가"에게 지원을 받고 있다고 식량권에 대한 the United Nations Special Rapporteur에서 올리비에 드 슈터는 말한다.

발리로 돌아가, 비아 깜페시나는 "씨앗을 지배하려는 것에 대한 전쟁"의 한가운데 있다고 농부 회원들을 묘사한다.  말이 세다고, 그렇다. 하지만 만약 우리가 그 단체의 생명공학과 종자 산업의 강력한 규정에 대한 요구에 주의를 기울이지 않으면, 생물다양성은 부수적인 피해를 입을 수 있다.


http://www.theatlantic.com/life/archive/2011/03/the-battle-for-biodiversity-monsanto-and-farmers-clash/73117/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