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728x90

'곳간 > 사진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간 1인당 식품섭취량  (0) 2012.12.01
농업과 기후변화 이야기  (0) 2012.11.28
감자  (0) 2012.11.26
'밥상 주권' 위기  (0) 2012.11.24
1896년부터 현재까지 미국 가뭄의 역사   (0) 2012.07.31
728x90



By Kristi Foster

우린 혼농임업이 농민의 생계에 혜택을 줄 수 있다는 걸 알고 있다. 그러나 어떻게 혼농임업이 농민의 기후변화에 대한 취약성을 줄이는가? 새로운 연구는 적어도 다섯 가지를 보여준다.

기후 모델에 따르면, 따뜻해지는 기온, 더 많은 강우량의 가변성, 점점 심각해지고 빈번해지는 극단적 날씨가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농민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개발도상국에서는 농업생산성을 감소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가장 취약한 사람들은 최저생활 수준에서 농사짓는 사람들인데, 이들은 특히 혁신적인 방법에 투자할 돈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하바드 지속가능성 과학프로그램의 Tannis Thorlakson 씨와 세계 혼농임업센터(ICRAF)의 기후변화 연구원 Henry Neufeldt 씨의 새로운 연구는 어떻게 혼농임업이 농민의 취약성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되는지 ICRAF가 개발하고 케냐 서부의 Nyando 지구에 위치한 농민이 운영하는 혼농임업 프로젝트를 통하여 탐구했다. Agriculture & Food Security 저널에 실린 그 연구결과는 두 유형의 농민을 비교한다: 혼농임업 개발프로젝트에 2~4년 참여한 농민과 혼농임업 훈련을 받은 적이 없는 이웃한 농민.

지역의 사정을 이해하기 위하여 연구자들은 농민과 마을의 연장자 및 지역사회의 지도자 들과 함께 현장관찰, 가구별 설문조사, 집중 단체토론, 심층 인터뷰를 병행했다.

Nyando 혼농임업 프로젝트는 아직 초기단계에 머물러 있지만, 그 연구는 혼농임업의 몇 가지 방법으로 생활에 도움을 받는 농민의 일반적 표준을 보여주었다:

  1. 자신의 땅에 나무를 심은 43%의 농민이 토양침식이 감소하고 토양비옥도가 증가하여 농장의 생산성이 개선되었다;
  2. 혼농임업의 방법을 받아들인 70%의 농민이 환경적 지속가능성, 주로 토양침식의 관리를 통해 혜택을 받았다;
  3. 혼농임업 프로젝트에 참여한 가구는 그렇지 않은 이웃의 가구보다 4년 동안 평균 24,000Ksh(약 300달러)의 소득을 더 올렸다;
  4. 4년 전에 나무를 심은 87.5%의 농민은 나무의 생산물을 판매하는 수입의 다각화로 소득 증가를 경험했다;
  5. 나무는 가뭄과 홍수에 직면한 농민에게 특정한 극복전략을 제공했다.

그 연구는 최근 가뭄과 홍수를 한꺼번에 겪어 광범위한 식량부족 사태를 겪은 Nyando 지역을 정했다. 가구 설문조사는 현재 빈곤의 함정에 깊이 빠져 있는 농민은 몇 가지 극복전략과 함께 지속가능한 방법으로 이러한 기후와 관련된 압박을 극복할 수 없음을 입증했다. 

앞으로 더 가변적이고 강렬해질 기후 압박과 싸우는 데에 극복전략이 충분하지 않을 수 있음을 인식하고, 농민은 그들의 일반적 생활수준을 개선하는 것이 적응하는 데 가장 효과적이라고 느낀다. 식량안보는 농민의 최우선 관심사이고 농장 생산성을 증가시키고, 수입을 다각화하며, 환경적 지속가능성을 개선하는 데 많은 관심을 표현한다. 

앞으로 혼농임업 프로젝트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저자는 다음을 옹호한다:

  • 혼농임업의 장기적 혜택과 함께 농업 지식의 단기적 혜택을 결합하기 위하여 농업과 혼농임업의 훈련을 연결하기;
  • 나무의 생산물을 판매하여 수입을 다각화하고 시장접근성을 개선하기;
  • 혼농임업 프로젝트와 함께 농장을 제공하거나 대출에 대한 접근을 결합하여, 추가적인 단기적 혜택을 제공하기;
  • 성공적인 혼농임업 프로젝트에 대한 농장 방문을 시도하여 혼농임업의 지역적 혜택과 이해를 높이기.

미래 기후의 불예측성에 비추어, 기후 시나리오의 범위에서 농민의 행복을 개선하기 위한 혼농임업의 능력은 특별한 약속을 가지고 있다. 광범위한 개발전략의 중요한 요소로서 본 혼농임업은 농민이 지금 현재 수많은 기후 충격과 압박에 적응하도록 도울 수 있는 큰 가능성이 있다.

Download the full article (PDF):

Reducing subsistence farmers’ vulnerability to climate change: evaluating the potential contributions of agroforestry in western Kenya

Related stories

Smallholders in East Africa are embracing climate-resilient farming

Making climate-smart agriculture work for the poor


728x90
728x90

Greenland surface melt measurements from three satellites on July 8 (left panel) and July 12 (right panel), 2012. Source:(NASA, 2012)

Available in: EspañolFrançaisالعربية

Highlights:

  • New World Bank-commissioned report warns the world is on track to a “4°C world” marked by extreme heat-waves and life-threatening sea level rise.
  • Adverse effects of global warming are “tilted against many of the world's poorest regions” and likely to undermine development efforts and goals.
  • Bank eyes increased support for adaptation, mitigation, inclusive green growth and climate-smart development.

November 18, 2012 – Like summer’s satellite image of the melting Greenland ice sheet, a new report suggests time may be running out to temper the rising risks of climate change.

"Turn Down the Heat: Why a 4°C Warmer World Must be Avoided," (pdf) (eBook version) warns we’re on track for a 4°C warmer world marked by extreme heat-waves, declining global food stocks, loss of ecosystems and biodiversity, and life-threatening sea level rise.

Moreover, adverse effects of a warming climate are “tilted against many of the world's poorest regions” and likely to undermine development efforts and global development goals, says the study by the Potsdam Institute for Climate Impact Research and Climate Analytics, on behalf of the World Bank. The report, urges "further mitigation action as the best insurance against an uncertain future."

A 4°C warmer world can, and must be, avoided – we need to hold warming below 2°C
 
–  Jim Yong Kim, President, World Bank Group

"A 4°C warmer world can, and must be, avoided – we need to hold warming below 2°C," said World Bank Group President Jim Yong Kim. "Lack of action on climate change threatens to make the world our children inherit a completely different world than we are living in today. Climate change is one of the single biggest challenges facing development, and we need to assume the moral responsibility to take action on behalf of future generations, especially the poorest."

The report, reviewed by some of the world’s top scientists, is being released ahead of the next comprehensive studies by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IPCC) in 2013/14, and follows the Bank’s own Strategic Framework for Development and Climate Change in 2008 and the World Development Report on climate change in 2010. "Turn Down the Heat" combines a synthesis of recent scientific literature with new analysis of likely impacts and risks, focusing on developing countries. It chronicles already observed climate change and impacts, such as heat waves and other extreme events, and offers projections for the 21st century for droughts, heat waves, sea level rise, food, water, ecosystems and human health.

The report says today’s climate could warm from the current global mean temperature of 0.8°C above pre-industrial levels, to as high as 4°C by 2100, even if countries fulfill current emissions-reduction pledges.

"This report reinforces the reality that today’s climate volatility affects everything we do," saidRachel Kyte, the Bank’s Vice President for Sustainable Development. "We will redouble our efforts to build adaptive capacity and resilience, as well as find solutions to the climate challenge."

The World Bank doubled lending for climate change adaptation last year and plans to step up efforts to support countries’ initiatives to mitigate carbon emissions and promote inclusive green growth and climate-smart development. Among other measures, the Bank administers the $7.2 billion Climate Investment Funds now operating in 48 countries and leveraging an additional $43 billion in clean investment and climate resilience.

This report reinforces the reality that today’s climate volatility affects everything we do
 
–  Rachel Kyte, Vice President, Sustainable Development, World Bank

Rising Sea Levels

The report says sea levels have been rising faster in the last two decades than previously, and this rise is being seen in many tropical regions of the world. This phenomenon is partly due to melting of the Greenland and Antarctic ice sheets; the rapid growth in melt area observed since the 1970s in Greenland’s ice sheet is a clear illustration of its increasing vulnerability. Arctic sea ice also reached a record minimum in September 2012. "There are indications that the greatest melt extent in the past 225 years has occurred in the last decade," says the report.

"It’s early yet but clearly some of the small island states and coastal communities are beginning to take a hard look at their options," said Erick Fernandes, co-lead of the Bank’s Global Expert Team on Climate Change Adaptation. "The need to adapt to climate change will increase as global population reaches 9 billion in 2050," he added.

Ocean Acidification

Coral reefs are acutely sensitive to changes in water temperature and acidity levels. The report warns that by the time the warming levels reach 1.4° C in 2030s, coral reefs may stop growing. This would be a result of oceans becoming more acidic as a result of higher CO2 concentrations. And with 2.4° C, coral reefs in several areas may actually start to dissolve. This is likely to have profound consequences for people who depend on them for food, income, tourism and shoreline protection.

Heat Extremes

A 4°C warmer world would also suffer more extreme heat waves, and these events will not be evenly distributed across the world, according to the report.

Sub-tropical Mediterranean, northern Africa, the Middle East, and the contiguous United States are likely to see monthly summer temperatures rise by more than 6°C. Temperatures of the warmest July between 2080-2100 in the Mediterranean are expected to approach 35°C – about 9°C warmer than the warmest July estimated for the present day. The warmest July month in the Sahara and the Middle East will see temperatures as high as 45°C, or 6-7°C above the warmest July simulated for the present day.

Lower agricultural yields

Hotter weather could in turn lower crop yields in a 4°C world—raising concerns about future food security. Field experiments have shown that crops are highly sensitive to temperatures above certain thresholds. one study cited in the report found that each “growing degree day” spent at a temperature of 30 degrees decreases yields by 1% under drought-free rain-fed conditions.

The report also says drought-affected areas would increase from 15.4% of global cropland today, to around 44% by 2100. The most severely affected regions in the next 30 to 90 years will likely be in southern Africa, the United States, southern Europe and Southeast Asia, says the report. In Africa, the report predicts 35% of cropland will become unsuitable for cultivation in a 5°C world.

Risks to Human Support Systems

The report identifies severe risks related to adverse impacts on water availability, particularly in northern and eastern Africa, the Middle East, and South Asia. River basins like the Ganges and the Nile are particularly vulnerable. In Amazonia, forest fires could as much double by 2050. The world could lose several habitats and species with a 4°C warming.

Non-linear impacts

As global warming approaches and exceeds 2°C, there is a risk of triggering nonlinear tipping elements. Examples include the disintegration of the West Antarctic ice sheet leading to more rapid sea-level rise, or large-scale Amazon dieback drastically affecting ecosystems, rivers, agriculture, energy production, and livelihoods. This would further add to 21st-century global warming and impact entire continents.

The projected 4°C warming simply must not be allowed to occur—the heat must be turned down. only early, cooperative, international actions can make that happen.

728x90
728x90

By monoculture, I don’t just mean the production of one crop over vast quantities of land, with all the resultant havoc that such practice plays on the soil, water, native flora and fauna, and, to be perfectly clear, on the climate system, but I also mean the monomania that is incarnate in Big Ag.

Monomania is a serious disorder, characterized by, according to my dictionary, “excessive concentration on a single object or idea.” In the case of much of American farming, that single object is the production of as much corn as possible at the greatest possible return on investment. The monomania of corn production utterly disregards economic, environmental and social concerns.

The word itself is, to be sure, old-fashioned, but it is nevertheless manifest in how modern society goes about the business of growing our food, feed and, most wastefully of all, our fuel.

Does industrial agriculture stress our precious freshwater supplies?  You bet it does. You think the Aral Sea disaster can’t happen where you live? A new paper published in Nature reports that “…humans are overexploiting groundwater in many large aquifers that are critical to agriculture, especially in Asia and North America”.

Does the massive over-application of nitrogen fertilizer and subsequent runoff causemarine dead zones all over the world? Right again. Here’s an irony while we’re on the subject:  The drought this year in the American corn belt has minimized the amount of fertilizer runoff such that the dead zone in the Gulf of Mexico is the smallest it’s been in years.

Does the use of fertilizer exacerbate climate change? You got it. Do chemical fertilizers and manure threaten drinking water? Yes. By the way, for a really superb experience of documentary filmmaking that will open your eyes to the realities of industrial agriculture and the many, diverse and proven ways to farm sustainably — and more productively — see Dirt! The Movie .

So, to the heat and the drought. As you know well by now, July was the hottest month on record for the lower 48 US states.

“The average temperature for the contiguous US during July was 77.6°F [25°C], 3.3°F above the 20th century average, marking the warmest July and all-time warmest month on record for the nation in a period of record that dates back to 1895,” the US National Climatic Data Center reported.

Think this is all an aberration? Think again. Th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will tell you, point blank, that climate change is here and it has consequences for agriculture, including that “increasing temperatures will increase the risk of crop failures, particularly if precipitation decreases or becomes more variable.”

There have been two eminently sane op-eds in the NY Times recently about corn, heat and the drought. The first, “Corn for Food, Not Fuel”, reminds us of the sobering fact that 40 percent of the US corn crop is simply feedstock for ethanol. The use of ethanol, maddeningly, is mandated by law.  It’s supposed to help reduce American dependence on foreign oil. But it exacerbates air pollution, reduces engine efficiency and is a net contributor to climate change, wrecks engines, crowds out farming of other food crops, and distorts prices for grains.

As the always excellent CSM reports here, the alarm bells are ringing all over the world now on food prices. We’ve seen this movie before. Over four years ago, we were warned about how biofuel production was driving up food prices.

Paul Krugman, among others, including ten of the country’s top environmental scientists, said then that our ethanol policies were folly. Krugman, eloquent and pithy,said in his column “…land used to grow biofuel feedstock is land not available to grow food, so subsidies to biofuels are a major factor in the food crisis. You might put it this way: people are starving in Africa so that American politicians can court votes in farm states.”

Some politicians — not from corn-producing states (surprise, surprise) — have called on EPA to waive the requirement for ethanol.  This would allow us to devote more of the corn that’s left from this year’s devastated crop to be used for food, alleviating the concerns over prices.

Beyond this simple, reasonable and rational measure, we can and should be doing more to reduce our dependence on the corn monoculture.  The other clear-headed NY Times op-ed, “ The Silver Lining in the Drought“, calls for us to change course in a number of other ways:  reduce farm subsidies (first and most importantly), recreate the diversity of American farming, and move to a “a rebalancing of the food system from a few megaproducers and lots of importers to a more decentralized mix”.

I would add that we need to reduce our use of corn for livestock — indeed radicallyreduce our consumption of meat — and stop sweetening virtually every processed food with high fructose corn syrup. We have an obesity epidemic in this country. We need to rethink what we eat altogether.

For much more on food and agriculture and how to do things sustainably and with human nutrition foremost in our thinking (not profits for Big Ag),  see the work of the Institute on the Environment at the University of Minnesota on this that I profiled here last year.

I tell people I’ve been a vegetarian for 41 of my 60 years and I’m going pretty darn strong. It’s not hard to do. It’s pretty easy. Get informed, in any event, about food and agriculture. It’s not only about your health but it’s about the future of the planet and our companions on Spaceship Earth. As Captain Picard would say:  “Make it so.”


728x90
728x90

지구촌 곳곳에서 벌어지는 이상기후가 가뜩이나 동력을 잃어가는 글로벌 경제에 또 하나의 족쇄를 채우고 있다. 미국을 강타한 56년 만의 최악의 가뭄으로 옥수수 등 국제 곡물 가격은 연일 기록적인 상승 행진을 이어가고 있고 예년보다 고온건조한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등지의 이상기후도 세계 식량 가격을 끌어올리는 요인이 되고 있다.


인도 경제는 몬순기 강우량이 크게 줄어드는 바람에 올해 5% 성장도 위태롭게 됐고 200만명의 수해민이 발생한 마닐라 등 필리핀 북부의 홍수도 올해 필리핀 경제성장률을 최소 0.1%포인트 이상 끌어내릴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최근의 기상이변으로 가장 우려되는 것은 곡물가 급등에 따른 물가상승이다. 9일 유엔식량농업기구(UNFAO) 발표에 따르면 글로벌 식량가격지수는 지난 한 달 동안 6%나 상승, 2009년 11월 이래 최대 상승폭을 기록했다. 미국 중서부를 뒤덮은 최악의 가뭄에 러시아ㆍ우크라이나ㆍ발칸반도ㆍ칠레 등지의 고온현상과 인도 가뭄, 중국 홍수 등 세계 각지에 기상이변이 엄습하면서 옥수수 가격은 5월 말 이후에 47%, 콩은 같은 기간 26%나 상승했다. 소맥 가격 상승률도 50%에 달한다. 커피 원두와 설탕 가격도 약 20%의 상승폭을 보이고 있다.

곡물, 특히 옥수수 가격 상승은 사료값 인상으로 인한 축산물 가격 급등으로 이어지며 자연스레 전세계 소비자들의 식탁물가를 끌어올린다. CNN머니는 금융정보서비스 업체 세이즈웍스의 분석을 인용, "(옥수수값 폭등이) 소비자에게 엄청난 충격을 가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급기야 유엔은 이날 이례적으로 미국에 옥수수를 주원료로 하는 에탄올 생산 감축을 요구하고 나섰다. 미국이 옥수수 수확량의 40%를 대체에너지인 에탄올 생산에 사용한다는 점을 감안, 곡물가 안정을 위해 내린 조치다. 다만 미국이 유엔의 요구를 받아들여 에탄올 생산을 줄일 경우 최근 안정세를 보이고 있는 유가의 상승을 부추기면서 세계 경제에 또 다른 물가상승 요인이 될 것이라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속출하는 기상이변은 각지의 전력난과도 직결되고 있다. 불볕더위가 계속되는 지역 곳곳에서 에어컨 사용이 급증하면서 여름철 전력 부족을 초래하고 있는 것이다. 타임지는 인도의 불볕더위를 식혀야 하는 몬순기후 이상이 지난달 인도를 암흑으로 몰아넣은 최악의 정전 사태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지적했다. 폭염과 가뭄에 시달리는 루마니아에서는 다뉴브강의 수위가 낮아지면서 대형 수력발전 업체 하이드로일렉트리카가 전력산출량을 25% 이상 줄이기도 했다.

지구촌을 강타한 기상이변의 이 같은 파장은 선진국에도 큰 부담이지만 무엇보다 중국이나 인도 등 신흥국 경제의 발목을 세게 잡아당길 것으로 우려된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식량 가격 상승이 "브라질ㆍ중국ㆍ인도 등 이미 경기가 둔화하고 있는 신흥 경제국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인도의 경우 이상기후가 경제성장률과 국가 신용도까지 끌어내릴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인도 연간 강우량의 70%가 집중되는 몬순기에 예년보다 강우량이 17%가량 급감하자 씨티그룹은 올해 인도 경제성장률이 4.9%까지 하락할 수 있다고 경고하고 나섰다. 건조한 몬순기후가 식량 가격을 끌어올리면 인도중앙은행이 경기부양책을 펼 수 없게 된다는 것이다.블룸버그는 재정적자와 경기둔화 등 가뜩이나 안 좋은 경제 사정에 가뭄까지 겹쳐 이미 스탠더드앤드푸어스(S & P) 등 국제신용평가사로부터 '부정적' 등급 전망이 제시된 인도의 국가신용등급이 정크 등급으로 강등될 가능성이 높아졌다고 지적했다.

이 밖에 필리핀은 마닐라 등 북부의 집중호우로 200만명이 수해를 입고 25만명 이상의 이재민이 발생하는 등 피해에 시달리고 있다. 아시아태평양대의 경제학자인 시드 테로사는 "조업 중단과 농작물 피해 등을 감안할 때 이번 홍수로 경제성장률이 최소 0.1%포인트 이상 낮아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신경립기자 klsin@sed.co.kr


728x90
728x90


Organic farming methods, including extended crop rotation, may help U.S. agriculture to better cope with climate change.

Reading up on the nation’s deepening drought and failing crops last week, I came across an interesting piece by Jonathan Foley, director of the University of Minnesota's Institute on the Environment

Jonathan FoleyJonathan Foley

The venue was a roundtable of expert opinion in the New York Times, centered on the question, "How Can We Prevent Another Dust Bowl?"

Like most of the other panelists, Foley had the good sense to address a less alarmist and more interesting question, which in his case might be paraphrased like so: “What can Americans learn about growing crops in hotter, drier climate regimes?”

Short answer: a return to older, less industrialized and chemical-intensive farming practices can restore a resilience that been lost in modern methods:

Sadly, much of America’s commodity agriculture is especially vulnerable to climatic extremes – whether droughts, floods, heat waves or cold snaps. In particular, it is hard to imagine a system more susceptible to bad weather than the American corn and soybean belt.... 

You can drive from one end of the Midwest to the other and see almost nothing but corn and soybeans. If either crop fails (in terms of production or price), farmers are doomed. (Imagine a mutual fund that only invested in two companies. Wouldn’t that be incredibly risky?) Diversification – from two crops to dozens – would help guarantee at least some production and income each year.

Adding to the inherent vulnerability of any monoculture, Foley wrote, these particular crops have shallow roots and thus can’t reach for soil moisture that lies below the level of recent rain or irrigation. And they are grown with techniques that rob the soil itself of its ability to capture and store moisture.

The remedies Foley proposes are familiar elements of the agricultural approach often labeled organic or sustainable: Crop diversification and rotation, reduced tillage and enhanced tilth, organic fertilizers and so on. He closes with this provocative (and unanswered) question:

Extreme drought will happen again, guaranteed. Will American agriculture take a cue from this summer and prepare for it? 

A different time, a different take

Let there be no doubt that Foley knows whereof he opines. These points are derived in part from a paper he co-authored last spring in the journal Nature, a meta-analysis of 66 studies comparing yields from conventional and organic farm operations, raising 34 different crop species.

Back then, though, the conclusions that got the most attention were all about theadvantages of industrial ag. Under the headline “Organic farming is rarely enough,” Nature itself rolled out the findings this way:

Crop yields from organic farming are as much as 34% lower than those from comparable conventional farming practices, the analysis finds. Organic agriculture performs particularly poorly for vegetables and some cereal crops such as wheat, which make up the lion’s share of the food consumed around the world.

 Cereals and vegetables need lots of nitrogen to grow, suggesting that the yield differences are in large part attributable to nitrogen deficiencies in organic systems, says [Verena] Seufert [of McGill University in Montreal, the lead author].

 In conventional agricultural systems, farmers apply chemical fertilizers to fields while the crops are growing, delivering key nutrients such as nitrogen when the crops need it most. Organic approaches, such as laying crop residue on the soil surface, build up nutrients over a longer period of time. “There is not the synchrony between supply of nutrients and crop demand,” says Andrew MacDonald, a soil scientist at Rothamsted Research, an agricultural-science institute in Harpenden, UK.

At the time, those findings drew considerable fire from organic-farming advocates — a good example being Tom Philpott over at Mother Jones. He criticized the study for focusing narrowly on yields per acre while dismissing environmental impacts, and pointed out that while industrial ag may indeed look more productive in ordinary times, the authors themselves found a different story when the weather turns extreme:

“Soils managed with organic methods have shown better water-holding capacity and water infiltration rates and have produced higher yields than conventional systems under drought conditions and excessive rainfall.”

 In other words, organically managed soils deal with water better — both in conditions of drought and heavy storms (the frequency of which is also expected to increase as the climate changes). Soil rich in organic matter (well-decayed remnants of plants and other living creatures) bolster soil in weather extremes by helping store water in times of scarcity and by holding together and not eroding away during heavy rains.

 Given the increase in both kinds of weather events that's likely in our changing climate, Philpott wrote,

This raises a key issue: the paucity of funds we invest in organic research. According to the latest numbers I've seen, 4 percent of the food consumed in the United States — and 11 percent of the fruits and vegetables — is organic. How much of the USDA's research budget is devoted to organic research, including projects like developing proper organic seed lines? Less than 1 percent, the National Sustainable Agriculture Coalition's Ferd Hoefner recently told me. The other 99 percent goes to industrial ag — yet another de facto public subsidy to the agrichemical industry.

And it also suggests, at least to me, that the likely answer to Foley’s question  will Americans take a cue from this summer and begin to do things differently?  is not “you betcha!”

Here and there, hopeful signs

On the other hand, I saw some hopeful signs in the trade press  publications that speak to the actual farmers who are making the critical, on-the-ground decisions:

  • Over at Ag Professional, an article promoting a bulletin of the Sustainable Agriculture Research and Education organization that advises farmers on saving water through conservation tillage, crop rotation and improved soil management.
  • In CropLife, a report on achieving better soil quality through organic methods, including extended crop rotation and no synthetic fertilizer. 

Finally, I was impressed by a report on a 30-year, side-by-side comparison of organic vs. conventional cropping conducted by the Rodale Institute, which claims its Farming Systems Trial to be the longest-running test of its kind in America.

Given that the Rodale enterprises were essentially born in organic gardening and farming, it’s no great surprise that organic came out on top. But the methodology seemed fair enough, and the wide range of advantages – equal yields, richer soil, lower energy requirements, better drought tolerance and higher profits – is pretty compelling.


728x90
728x90


33호 기후변화2.pdf


33호 기후변화2.pdf
1.49MB
728x90

'곳간 > 문서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과이야기  (0) 2012.07.11
감자의 재발견  (0) 2012.07.11
팔도음식 지리지  (0) 2012.07.11
꿀벌이야기  (0) 2012.07.11
기후변화와 우리 농업  (0) 2012.07.11
728x90


17호 기후변화와 우리농업.pdf


17호 기후변화와 우리농업.pdf
1.62MB
728x90

'곳간 > 문서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팔도음식 지리지  (0) 2012.07.11
꿀벌이야기  (0) 2012.07.11
한국 농업 성장사  (0) 2012.07.11
건강한 먹을거리와 농업정책을 향하여  (0) 2012.07.11
아프리카의 토지수탈 보고서  (0) 2012.07.11
728x90



기후가 따뜻해지고 폭염과 가뭄 같은 "극단적인" 사건이 더 일반적이 됨에 따라, 식량 생산은 어떻게 될 것인가? 지난 수요일에 발표된 내 지난 글(http://blog.daum.net/stonehinge/8726143)에서 이를 검토하기 시작했다. 목요일 New York Times 1면 기사는 왜 그 주제가 중요한지 완전히 상기시킨다. Times의 Monica Davey 씨는 보고한다:

이미 일리노이와 미주리에서 일부 농민들은 바싹 말라 성장이 저해된 농지의 작물 수확을 포기했다. 국립 전문가들은 인디애나, 켄터키, 오하이오를 포함하는 옥수수를 재배하는 다섯 주의 일부가 심각한 또는 극단적인 가뭄 상태를 겪고 있다고 한다. 그리고 적어도 9개 주에서 옥수수 농지의 1/5에서 절반의 상태가 흉작이나 대흉작일 것이라고 이번 주 연방 당국은 불과 한달 전의 높은 기대치에서 주목할 만한 변화를 보였다.

중서부에서 나타난 메시지는 명확하다: 화학물질 집약적, 공업형 규모의 농업은 고온건조한 날씨에 취약하다 —그 조건의 일부는 기후가 따뜻해짐에 따라 일반적이 될 것이라 예상할 수 있다. 나의 지난 글에서, 미국의 정책입안자들이 선호하는 이 문제에 대한 해결책 —"가뭄 저항성"을 위해 조작된 새로운 씨앗과 함께 공업형 농업의 활성을 유지하기 위한— 이 아마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어떻게 하는가? 난 몬산토의 재정지원을 받은 일부 대학 연구소의 밖과 바로 우리의 발 밑에 해답이 있다고 생각한다: 흙에. 또는 더 정확히 농민이 어떻게 자신의 흙을 관리하느냐에.

얼마 전 난 2012년 Nature에 실린 유기농업과 공업형 농업 체계의 생산성을 비교하는 보고서에 관하여 썼다. 그 연구에선 평균적으로 공업형 체계가 유기농업보다 작물 수확량이 25% 더 높다는 것을 발견했다. (나는 그 결론에 전제되어 있는 가정에 일부 문제를 제기했다.) 그러나 극단적 날씨라는 조건에서는 모든 게 변한다:

유기농법으로 관리된 토양은 보습력과 물의 침투율이 더 좋아져 가뭄과 폭우라는 조건에서 관행농업 체계보다 더 많은 수확량을 올린다는 것이 밝혀졌다.

다시 말하여, 유기적으로 관리된 토양은 가뭄과 폭풍우의 상황 모두에서 물을 더 잘 처리한다는 것이다(기후변화로 그 빈도는 또한 더욱 빈번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유기물이 풍부한 토양(식물과 다른 생물체가 잘 부숙되고 남은)은 물이 부족할 때는 물을 저장하는 걸 돕고 잘 붙들고 있으며 폭우가 올 때는 침수되지 않게 만든다. 


1995년 가뭄 기간에 심고 6주 뒤의 콩과식물에 기반한 옥수수밭(좌)과 관행농의 옥수수밭(우). 관행농 옥수수는 물이 부족한 징후를 보이고 있다.  Photo and caption: Rodale Institute


왜 유기적으로 관리된 토양이 더 많은 유기물을 함유할까? 그건 관행농과 유기농 농부들이 흙에 거름을 주는 방식과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있다. 

당신이 관행농 농부라면, 아마 1년 동안 무수암모니아의 형태로 인공적인 질소비료를 땅에 줄 것이다. 이는 어떠한 유기물도 없는 분리된 식물의 먹을거리이다. (비타민 알약을 복용하는 것과 같다 —실제 음식이 아닌 순수한 영양분.) 유기물은 농지에 남겨두는 작물 부산물에서만 발생한다. 이는 편리함이란 이점을 가져온다 —작물 영양분은 농지에 효율적으로 살포할 수 있는 탱크에서 온다. 그리고 또한 작물에게 빨리 사용할 준비가 된 질소를 공급한다. 

당신이 유기농 농부라면, 토양에 질소를 곧바로 퍼주는 사치를 부리지 못한다. 영양분을 보충하기 위하여 유기물에 질소를 함유하고 있는 물질적 원료가 있어야 한다 —퇴비나 똥을 생각하라. 또한 대기중에 있는 질소 성분을 토양에 식물이 이용할 수 있는 형태로 고정시켜주는 콩과식물을 덮개작물로 기를 수 있다. 이러한 사례에서 또한 당신은 덮개작물이 땅위에서 썩어 식물의 형태로 질소와 함께 좋은 유기물을 땅에 넣게 된다. 그리고 관행농 농부처럼 농지에 남아 있는 작물 부산물로 혜택을 본다.

이러한 차이의 결과로, 유기적으로 관리된 토양은 토양에 더 많은 탄소를 붙든다 —그리고 그 모든 탄소는 이러한 토양이 물과 영양분을 더 잘 붙들 수 있게 만든다. (안정된 형태로 토양에 저장된 탄소는 대기에서 열을 붙들고 행성을 따뜻하게 만드는 그런 탄소가 아니라는 것에 주의하자. 그래서 유기적으로 관리된 토양은 농민이 단지 기후변화에 적응하도록 돕는 것만이 아니다 —그들은 또한 기후변화를 완화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유기적으로 관리된 토양은 관행농의 그것과 비교하여 눈으로 보기에 더 짙은 색이고 떼알구조가 살아있다.  Photo and caption: Rodale Institute


유기농법과 관행농법을 비교하는 가장 오래된 미국의 실험밭인 펜실베니아의 로데일 연구수(Rodale Institute) 농지는 이를 확증한다. 1981년에 시작하여 나란히 놓고 실험한 것에 대한 최근 보고서에서 Rodale은 "유기농 옥수수 수확량이 가문 해에는 관행농보다 31% 높다"는 것을 발견했다. 연구자들은 이것이 유기농 농지가 해마다 지속적으로 더 많은 탄소를 저장하는 반면, 관행농의 농지는 최근 몇 년 동안 탄소를 상실한 것을 보여주기 때문이다"라고 이론화했다. (아이오와주립대학의 장기간 농생태학적 연구실험(Long-Term Agroecological Research Experiment)이라는 다른 장기 연구도 비슷한 결과를 발견했다.) 여기 로데일에서 탄소가 어떻게 역할을 하는지 묘사한 것이 있다:

탄소는 식물 영양분의 저장소, 떼알구조의 고리, 토양 온도의 유지, 미생물에게 먹이원 제공, 중금속과 농약의 구속, 보수력과 공극에 대한 영향 등과 같은 많은 중요한 기능을 수행한다. 

현재 이러한 통찰이 우리의 식량안보가 의존하는 중서부의 광대한 옥수수와 콩 농지를 관리하는 농민들이 곧바로 미 농무부의 인증을 완료하고 곧바로 유기농으로 전환한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이러한 농민들이 유기농법에서 무언가 중요한 것을 배울 수 있다: 토양에 거름을 주는 것이 분리된 질소로 후려치는 것보다 훨씬 낫다. 그건 또한 현명한 똥의 활용, 퇴비에 대한 더 큰 관심, 작물다양성(콩과 옥수수만을 돌려짓기하는 게 아니라), 겨울철 덮개작물 작부체계에 새로이 전념함을 필요로 한다. 농업경제학의 신뢰할 수 없는 구렁텅이에 빠지지 않고, 미국 농업정책의 중대한 접근 없이 이런 일은 전혀 일어나지 않을 거라고 단언할 수 있다. 

이는 내 겸손한 제안이다. 현재 의회에서 하듯이 5년에 1번 농업법을 논의할 것이 아니라 기후변화의 빠른 진행에 발맞추도록 하자: 농민이 더 많은 옥수수, 콩, 몇몇 다른 환금작물을 재배하도록 재촉하는 농업정책의 활용을 그만두고, 지금과 예측할 수 있는 미래를 위하여 토양에 더 많은 탄소를 저장하는 방법에 기반한 농업에 보조금을 주기 시작하자. 로데일Rodale의 결과가 보여주듯이, 작물 수확량은 중서부의 토양이 유기물을 얻음으로써 처리될 것이다.

곧, 기후에 준비된 농업 체계는 농업생명공학산업의 특효 기술의 형태로 선물포장되어 이르지 않을 것이다. 오히려 우리가 그것을 달성한다면, 농민이 집단으로 자신의 토양에 탄소를 흡수하도록 어떻게 납득시킬지 알아냈기 때문이다.



http://www.motherjones.com/tom-philpott/2012/07/what-organic-ag-teaches-us-about-feeding-ourselves-while-planet-heats

728x90
728x90

—By 

| Wed Jul. 4, 2012 3:00 AM PDT

현재 몇 년 동안 사람들은 기후변화가 농업에 미칠 영향이 어떨지 궁금해 했다. 인류는 상승하는 기온과 반복되는 가뭄의 시기 동안 어떻게 먹고 살 것인가?

여기 미국에서 우린 맛보기 시작했다 —그리고 그건 쓰디 쓰다. 무더위가 현재 미국 작물의 거의 전부인 주로 옥수수, 콩, 밀을 재배하는 지역을 덮쳤다. 블룸버그 뉴스에 따르면, 중서부의 71%가 "정상 상태보다 건조한" 상황이고 기온은 옥수수/콩을 핵심으로 재배하는 주인 미주리, 일리노이, 인디아나에서 7월 7일 이후에도 32도 이상일 것으로 산출되었다.

그 결과 골드만 삭스는 올해 옥수수 수확량이 1200평에 166부셸일 거란 미 농무성의 산출보다 7.5% 떨어질 것으로 산출했다. (왜 골드만 삭스 같은 월스트리트의 괴수가 옥수수 수확량으로 호들갑인가? 완전히 다른 이야기지만 흥미로운 일이다). 따라서 작물 가격이 가파르게 오를 것이라고 블룸버그는 보고한다.

물론 장기적인 기후 경향에 개별적인 무더위를 연관시킬 수는 없다 —기후가 안정적일 때조차 수많은 예측할 수 없는 기후의 변화상이 있다. 그러나 우린 더위와 가뭄이 식물의 성장을 가로막고 수확량을 줄인다는 걸 안다 —그리고 우린 또한 주요 농업 지역에서 기후온난화로 인하여 더 무덥고 가문 날씨를 겪을 수 있다는 것을 안다.

오랫동안 지구온난화가 농업에는 더하든지 덜하든지 별 영향이 없을 거란 여론이 있었기에, 나는 현재의 무더위가 정책입안자들이 식량에 미치는 기후변화의 영향에 대해 생각할 계기가 되길 바란다. 물론 기후변화가 가뭄을 더 일반적으로 만들고 어떤 지역은 너무 더워 농업에 적합하지 않게 될 것이다; 그러나 또한 미국 중서부와 같은 겨울이 추운 지역에서 영농철을 늘리고, 아마 작물 수확량도 높일 것이다. 또한 우리가 화석연료를 태워 대기로 퍼붓는 모든 이산화탄소가 식물이 더 빨리 성장하도록 하는 양식이 될 것이다. 대개 생각하는 이러한 요소들은 대체로 서로를 무효화하여, 세계의 식량생산에 기후변화가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걸 뜻한다. 

그러나 2008년으로 돌아가, 미 농무성과 콜롬비아 대학의 연구자 한 쌍이 위로가 되는 생각을 산산이 부수었다. 국립 경제국 연구의 논문에서, 그들은 미국의 세 가지 주요 작물(옥수수, 콩, 목화)를 고찰하고 기온 상승이 작물 수확량을 약간 증가시킨다는 걸 —특정 지점까지 증가— 발견했다. 그러나 기온이 임계점 이상 오를 때 수확량은 엄청나게 떨어질 것이다. 그리고 여기서 뜻밖의 전개가 이루어진다: 현재의 온실가스 배출 수준에서, 평균 기온은 연구자들이 검증한 위험한 수준 이상으로 오를 것이라 예상됐다. 그 결과, 그들은 이번 세기가 끝날 때까지 "온난화가 가장 느린 속도로 진행된다는 가정 하에" 수확량이 43% 이상 떨어질 것이고, "온난화가 가장 빠른 속도로 진행된다는 가정에서는" 73%까지 떨어질 것이라 산출한다. 

그 논문은 미국과 세계의 정책 사회에 폭탄처럼 폭발했다. 미국은 저자들이 지적하듯 세계의 옥수수와 콩 가운데 약 40%를 생산한다. 세계의 식량체계는 그러한 작물에 고도로 연결되어 있으며, 미국의 심장부에서 생산이 감소하는 건 충격적일 것이다. 당신은 정책입안자들이 행동하지 않을 수 없을 거라 생각할 것이다. 대신 그들은 다른 방법을 찾았다. 상원에서 굴욕적으로 무너진 기후법안과 훨씬 야단법석이었던 코펜하겐 세계 기후회담에 대한 오바마 대통령의 미적지근한 압박은 뜨거운 공기의 구름을 날려버렸다.

몬산토 자신의 자료에 따르면, 그들의 가뭄 저항성 옥수수 종자는 기존의 관행 품종들보다 더 잘 작용하지 않는다.

그러고 나서 2011년 Science에 발표된 또 다른 주요 연구는 기후변화가 이미 주요 작물의 수확량을 줄이고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2008년까지 세계의 옥수수와 밀의 수확량이 기후변화가 없을 때보다 각각 3.8%와 5.5%가 떨어졌다는 걸 발견했다. 콩과 쌀에 대해서는 기후변화의 좋고 나쁜 영향이 주로 상쇄되었음을 발견했다. 그러나 이러한 작물들 역시 결국 기온이 계속 오르면 수확량이 떨어질 수 있다. 

이에 관해 무얼 해야 하는가? 특히 앞으로 당장 온실가스 배출을 감축하기 위한 협정이 이루어지지 않을 것처럼 보이는 이때. 

종래의 대답이 있다: 유전자조작 종자시장에서 지배적인 위치의 몬산토를 믿어라. 2008년으로 돌아가, 그 기업은 "증가하는 수요, 제한된 자연자원, 변화하는 기후에 직면하여 세계의 식량생산을 증가시키겠다"는 공약을 발표했다. 그것은 "토지면적당 더 많은 생산, 그리고 에너지와 비료, 생산단위당 물 사용의 감소의 결과"로 유전자조작된 새로운 씨앗이 그렇게 할 것이다. 그 기업은 "2030년까지 2000년에 비교하여 옥수수, 콩, 목화라는 세 가지 핵심 작물의 수확량을 2배로 만들겠다"고 단언했다.

미국 정책입안자들은 대개 그 견해를 샀다. 오바마 대통령이 발표한 "미래를 먹여 살리는" 기획이란 성명에서, 미 농무성의 수장 Tom Vilsack 씨는 업계를 뒷받침하는 말을 되풀이했다. 그는 적었다:

전 세계의 생산자들은 또한 더 적은 물과 농약과 에너지를 사용하면서 단위면적당 더 많은 생산을 하는 기존의 그리고 새로운 기술을 계속해서 받아들여야 한다. 우린 농민들이 생명공학, 보존 경운, 점적 관수, 다모작 농법과 같이 타당하고 입증된 기술을 채택하도록 장려해야 한다. 

그러나 문제는 이러한 새로운 기술을 실현시키는 데 실패했다는 것이다. 지금까지 몬산토는 이러한 놀라운 종자 가운데 하나인 미 농무성이 지난해 사용을 승인한 가뭄 저항성 옥수수 품종을 생산하는 데 성공했다. 그 순간은 몬산토에게 위대한 승리였지만, 한 가지 문제가 발생했다: 몬산토 자신의 자료에 따르면, 그 종자는 이미 기존의 관행 품종보다 더 잘 작용하지 않았고, 미 농무성은 작물의 최종 환경평가에서만큼은 인정했다. 우려하는 과학자 연합(Union of Concerned Scientists)의 Doug Gurian-Sherman 씨는 질소와 을 더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작물을 조작하려는 몬산토의 노력을 면밀하게 살피고, 어디에도 획기적인 발전은 거의 없다고 결론을 내렸다. 여기 Gurian-Sherman 씨가 왜 식물이 물을 활용하는 방식과 같은 복잡한 기능을 개량하는 것이 어려운지 이야기한 내용이 있다:

가뭄 저항성은 식물이 가뭄에 반응할 수 있는 다양한 방식에 대응하는 여러 다양한 유전자를 포함할 수 있는 복잡한 특성이다; 유전자조작은 한번에 몇 가지 유전자만 조작할 수 있다. 그리고 현실 세계에서 가뭄은 강도와 지속기간에 다양한 변화가 있어 작물의 여러 성장 단계에 영향을 미치고, 따라서 어떠한 조작된 유전자는 다른 여러 상황보다 일정한 가뭄의 조건에서 더 성공적일 것이다. 가뭄에 저항하도록 개선된 유전자는 작물의 성장에 다른 영향을 줄 수 있고, 그 중 일부는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다면발현으로 알려진 현상. 이는 일반적으로 기대할 수 있는 가뭄 저항성 유전자 이외의 많은 것과 함께 관찰되고, 식물 성장의 여러 측면과 함께 가뭄 반응의 상호연관을 반영하는 것일 듯하다.

풍요로운 미래에 대한 몬산토의 최첨단 약속이 매우 과장되어 보인다면, 우리는 어떻게 기후변화 속에서 풍요로움을 유지해야 한다는 과제에 답할 수 있겠는가? 나는 다음 글에서 그 질문을 살펴볼 것이다.

728x90

'농담 > 농-생태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초제 없는 양구 만들기  (0) 2012.08.09
논과 생물다양성  (0) 2012.07.05
홍성 축산 배출수 사용 벼 고사  (0) 2012.07.04
고맙다, 둠벙!  (0) 2012.06.27
변경의 농업생태계  (0) 2012.06.26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