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리카57 마을의 작은 정미소가 구하는 아시아, 아프리카의 쌀농사 -5장 5장 아시아, 아프리카의 쌀 증산과 농촌 정미소 농촌 정미소의 출현에 따른 인도네시아의 기적적인 쌀 증산 쌀농사로 농민이 얻는 이익은 매우 낮았다일찍이 인도네시아는 세계 최대의 쌀 수입국으로, 세계의 식량 안정 공급이란 측면에서 일대 불안 요인이었다. 그래서 1945년 독립 이후, 이 나라에서는 쌀의 증산이 지상명령이었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쌀 생산 증가의 발걸음은 더디기만 했다. 당시, 이 나라의 정미소는 화교의 소유·운영되는 소수의 상업 정미소밖에 없고, 그 총 정미 능력은 생산 나락의 10~20% 정도밖에 되지 않았다. 그렇다면 정미소가 신설·증설되어도 좋을 것 같지만, 거기에는 정부의 '허가'가 필요하고 그 허가를 얻을 수 있는 건 쌀의 집하·가공·판매·수입 등을 도맡아 하고 있는 화.. 2025. 3. 26. 아프리카 대륙의 상호불신 문화, 그리고 한국 아프리카 대륙에 만연한 '상호불신 문화'가 어디에서 기인하는가에 대해 분석한 연구가 있다고 한다. 이거 한국도 해당하는 것 같아서 찌릿찌릿하다. 언어의 한계 때문에 정확히 옮기지는 못하겠지만, 대략 이런 내용이다. 아프리카 대륙에서는 악명 높은 노예 무역이 횡행했다. 그런데 .. 2019. 10. 1. 초콜릿 생산과 아동노동 문제 우리가 즐겨 먹는 유명 기업의 달콤한 초콜릿의 원료인 카카오가 여전히 아동노동에 의해 생산된다는 사실. 너무나 씁쓸하다. https://www.washingtonpost.com/…/hershey-nestle-mars-choc…/… <나는 초콜릿의 달콤함을 모릅니다>를 함께 읽어 볼만하다. https://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110672612.. 2019. 6. 12. 아프리카 노예의 농업 유산을 드러내는 쌀 Tinde van Andel 씨가 수리남의 Paramaribo에 있는 시장에서 도정하지 않은 쌀 한 봉지를 구매했을 때만 해도 그녀는 노예제의 가거를 새롭게 검토하게 될지 전혀 알지 못했다. 현재 네덜란드 Leiden에 있는 Naturalis Biodiversity Center의 민족학자는 2006년 수리남에서 박사후 연구원으로 약용 및 제례용.. 2019. 2. 17. 밀당 농법의 실제 모습 아프리카 대륙에서 최근 그 효과가 입증된 사이짓기, 섞어짓기 농법의 사례. 영어로 push-pull이라 하여 밀당이라 옮겼다. 이전에 올린 글은 여기를 참조... http://blog.daum.net/stonehinge/8728432 2018. 7. 20. 꿀벌은 아시아에서 기원했다 https://entomologytoday.org/2014/08/25/study-finds-honey-bees-originated-from-asia-not-africa/ 스웨덴 웁살라 대학의 연구진이 꿀벌의 유전자를 분석한 결과, 인류와는 달리 아프리카가 아닌 아시아에서 기원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그러니까 인류는 아프리카에서 기원해서 세계 여러 곳으로 이동하여 확산되.. 2018. 4. 23. 이전 1 2 3 4 ··· 10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