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4979

[스크랩] 24절기 해설 인간이 역曆을 만드는 가장 큰 이유는 계절의 변화를 알기 위해서다. 특히 농경 사회에서는 계절의 변화에 민감할 수밖에 없다. 농사를 짓기 위하여 씨를 뿌리고 추수하는 데에 가장 좋은 날씨를 알아야 하기 때문이다. 그렇게 만든 달력 가운데 음력은 달의 운동에 근거하여 만들기 때문에 달의 변화.. 2008. 8. 7.
[스크랩] 해마다 행성의 위치 2006년 귀수鬼宿(게자리)의 진성鎭星(토성)이 자정까지 높이 떠있다. 형혹성熒惑星(화성)은 루수婁宿, 위수胃宿(양자리)에 높이 떠있고, 태백성太白星(금성)은 사라진다. 세성歲星(목성)이 자정 무렵에 저수氐宿(천칭자리)에 뜬다. 세성이 점차 저녁하늘을 주도한다. 여름이 되면서 진성鎭星과 형.. 2008. 8. 7.
[스크랩] 사주팔자 참고자료 합과 충 천간합(天干合) - 양간(陽干)이 여섯 번째 음간(陰干)과 합하는 것 甲己合 化土 乙庚合 化金 丙辛合 化水 丁壬合 化木 戊癸合 化火 지지합(地支合) - 자축을 중심으로 서로 상대 위치에 있는 지지끼리 합하는 것 子丑合 化土 寅亥合 化木 卯戌合 化火 辰酉合 化金 巳申合 化水 午未合 化火 지지.. 2008. 8. 7.
[스크랩] 60갑자와 음양오행에 관한 고찰 60갑자와 음양오행에 관한 고찰 “납음이라는 것은 간지와 서로 만나서 오행 변화를 취하여 육순의 뜻에 미친다. …… 무릇 오행이 오장하는 묘함과 만물이 끝없이 변함이 납음에 갖추어져 있으니 본래 명을 추론하는 설이 아니다. 그 설이 비록 음양가에게 나왔으나 창시자는 그들이 아니다. 그 주의.. 2008. 8. 7.
[스크랩] 음양오행의 형성과 이의 응용 자료 2008. 8. 7.
[스크랩] 음양 원래의 분리할래야 분리할 수가 없는 한 덩어리의 혼돈이었는데, 어떠한 작용이 개입하면서 음양으로 분류가 되었다고 설명을 해보려고 한다. 이쯤 오면 이미 상대적인 개념이 형성된다. 크고 작음이나 높고 낮음이나 맑고 탁함 등의 구분을 하게 되는 것이 음양이라고 생각된다. 아름답고 추한 것이 .. 2008. 8. 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