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요즘 미국에서 유전자변형 대두, 특히 제초제 저항성 대두를 심으면서 가장 골치 아픈 것이 바로 풀이라고 한다. 그동안 열심히 글리포세이트 계통 제초제를 살포한 결과 그에 내성이 생긴 풀들이 우후죽순처럼 발생해서 그렇다고 한다. 특히 명아주 종류들이 질긴 생명력을 자랑한다.

이러한 문제 때문인지 여러 실험이 진행되고 있다. 이 실험도 그 한 예일 것이다.

연구진은 덮개작물로 호밀, 귀리, 순무, 호밀풀 들을 심은 뒤 나중에 콩을 파종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그 덮개작물들이 풀을 억제하는 효과가 어떠한지, 또 수확량에는 어떤 변화가 있는지 2년에 걸쳐 탐구했다. 그 결과, 호밀을 덮개작물로 활용했을 때 효과가 좋았다고 한다.

이미 호밀-콩 농법은 꽤 널리 퍼진 상태인데 어려움도 있다고 하니, 현실에 어떻게 적용할지가 관건이겠다. 조선의 2년3작식의 밀 또는 보리 - 콩 이란 농법도 이와 유사한 효과가 있겠지?


728x90
728x90
무경운과 덮개식물의 중요성을 설명하는 매우 좋은 동영상입니다.

글리포세이트 같은 제초제로 풀을 싹 밀어버리고 작물만 재배하는 농경지에 이웃한 무경운과 덮개식물을 적용한 농경지를 비교하고 있습니다.
이른바 경제성에서는 제초제를 적용한 농경지가 더 앞설지 몰라도, 그밖에 여러 동식물이 어우러져 살며 농약과 비료를 덜 사용함으로써 얻는 기후변화 완화, 홍수 방지, 생물다양성 같은 측면에서는 무경운과 덮개식물을 적용한 농경지가 더 낫다고 이야기합니다. 물 1리터를 각각의 농경지에 부으니 전자의 농경지에서는 그냥 흘러가 버리고, 후자에서는 스펀지처럼 사르르 흡수되어 버리는 차이가 극명하게 나타나네요.

한국 농업의 현실은 어디에 더 가까운가요? 안타깝지만 아직까지는 전자와 같은 농경지가 더 흔한 것 같습니다.




728x90
728x90

깊이갈이가 수확량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연구를 종합한 결과.

깊이갈이를 하면 수확량은 미미하게 6% 정도 증가한다. 선택은 본인의 몫이다. 
이러한 결과는 조건에 따라 달라지는데, 이른바 쟁기바닥층이 존재하는 농경지에서는 수확량이 20% 정도 높아진다. 그러니 흙이 다져진 곳에서는 효과적인 방법일 수 있겠다.
하지만 미사질 황토에서는 깊이갈이로 오히려 수확량이 저하되는 현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그런 조건에서는 삼가는 것이 좋겠다.
아무튼 가뭄이 든 해에는 깊이갈이가 심토의 수분을 끌어내는 효과가 있어 효과적이기도 하다. 그러니 상황에 맞게 적용하는 것이 좋겠다.




흙 자체의 물리적 구조를 개선하고 비옥도를 향상시켜 탄력성을 높일 것인지, 깊이갈이라는 방법을 적용해 일시적인 개선 효과를 더할 것인지는 자신의 상황과 조건에 맞추어 실행하면 되겠다. 절대적으로 옳은 방법이란 없을 테니.


http://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pii/S0167198717301320?via%3Dihub



728x90
728x90



Four generations of Jonathan Cobb’s family tended the same farm in Rogers, Texas, growing row upon row of corn and cotton on 3,000 acres. But by 2011, Cobb wasn’t feeling nostalgic. Farming was becoming rote and joyless; the main change from one year to the next was intensively planting more and more acres of corn and soy, churning up the soil and using ever more chemical fertilizers and herbicides to try and turn a profit. 

“I’d already had the difficult conversation with my dad that he would be the last generation on the farm,” Cobb said.

While looking for a new job, Cobb stopped into a local office of the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to pick up some paperwork. That day, the staff was doing a training session on soil health. He stayed to watch and was struck by a demonstration showing a side-by-side comparison of healthy and unhealthy soils.

A clump of soil from a heavily tilled and cropped field was dropped into a wire mesh basket at the top of a glass cylinder filled with water. At the same time, a clump of soil from a pasture that grew a variety of plants and grasses and hadn’t been disturbed for years was dropped into another wire mesh basket in an identical glass cylinder. The tilled soil–similar to the dry, brown soil on Cobb’s farm—dissolved in water like dust. The soil from the pasture stayed together in a clump, keeping its structure and soaking up the water like a sponge. Cobb realized he wasn't just seeing an agricultural scientist show off a chunk of soil: He was seeing a potential new philosophy of farming.



Soil health experts say that leaving the ground bare between rows of crops, as in this corn field in Illinois, increases topsoil erosion and runoff of fertilizers and other chemicals into water supplies. | Getty Images




“By the end of that day I knew that I was supposed to stay on the farm and be part of that paradigm shift,” Cobb said. “It was that quick.”

The shift he's talking about is a new trend in agriculture, one with implications from farm productivity to the environment to human health. For generations, soil has been treated almost as a backdrop — not much more than a medium for holding plants while fertilizer and herbicides help them grow. The result, over the years, has been poorer and drier topsoil that doesn’t hold on to nutrients or water. The impact of this degradation isn’t just on farmers, but extends to Americans’ health. Dust blowing off degraded fields leads to respiratory illness in rural areas; thousands of people are exposed to drinking water with levels of pesticides at levels that the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has deemed to be of concern. The drinking water of more than 210 million Americans is polluted with nitrate, a key fertilizer chemical that has been linked to developmental problems in children and poses cancer risks in adults. And thanks to some modern farming techniques, soil degradation is releasing carbon—which becomes carbon dioxide, a potent greenhouse gas—instead of holding on to it. In fact, the United Nations considers soil degradation one of the central threats to human health in the coming decades for those very reasons.

Now, some farmers and soil scientists are realizing that for the health of both people and farms, the most important thing you can do is look at soil differently—seeing topsoil as a living thing itself, which can be tended and even improved. Good soil is alive with a host of delicate organisms, many of them microscopic, producing structure and nutrients. As long as they’re thriving, soil can better absorb and retain water and feed plants and control pests. But when they die off, because they’ve been churned up and exposed to the sun and air or smothered with chemicals, the soil gradually becomes little more than powdered minerals.

Science and farming techniques have been evolving—in part thanks to the Agriculture Department’s Natural Resource Conservation Service, where Cobb saw that demonstration in 2011 that changed his worldview. But the change isn’t coming easily. Even as some farmers move toward more holistic soil management, they’re running into friction–from the culture of farming, from the business of agriculture and—ironically—from some federal policies that encourage them to stick to the same old farming approach that got them here.

AMERICA USED TO be famed for its rich and fertile topsoil. Prairie and forests were virtually untouched when settlers first started dividing land into fields across the Southeast and Midwest, making for rich dark soil in which to grow food and fiber.

Since the invention of the plow, farming has focused on disrupting the soil to make it productive. Most farming methods, whether conventional or organic, are based on “tillage” – the premise that to plant crops and control weeds and other pests, the soil must be broken up and turned over, then amended with chemical fertilizers or organic compost to boost fertility. And it worked for a long time.

But tilling, it turns out, kills off many of the microorganisms that build the soil. It churns up their habitat and exposes them to air; it also makes it easier for soil to be washed off the land by rain and wind. Over time, the damage has built up: More than 50 percent America’s topsoil has eroded away. In areas of the Southeast, the country’s original breadbasket, it’s almost all gone. 

Soil, at its base, is 50 percent gas and water, and roughly 45 percent minerals such as sand, silt and clay. The remainder is organic matter—decomposing plants and animals. For being such a small portion of dirt, organic matter plays a huge role. It serves as food for microorganisms that do everything from store water to provide nutrients for plants and control pests. Researchers are learning more and more about the exchange between plants and fungi, bacteria and other organisms in the soil, said Robert Myers, a professor of soil sciences at the University of Missouri.




Farmers have tilled soil for generations, turning it over to bury weeds and loosen the ground for seeds. But it turns out that tilling, as on this farm in Maryland, top, kills many of the microorganisms that can keep soil healthy and productive. The result is arid and degraded topsoil that easily succumbs to drought. like the soil on a Kansas farm, bottom.




Among other things, soil is a critical stage in the earth’s carbon cycle. Plants draw carbon out of the air, and feed it to the organisms in the soil. In return, they provide nutrients plants need, acting as a natural fertilizer. Disrupting the soil releases all of that carbon back into the atmosphere. As it is exposed to air, the carbon oxidizes, becoming CO2 and a major contribution to climate change.

“Some people talk about it as an underground carbon economy,” Myers said.

But the same organisms are also very delicate. They need a variety of plants to feed on and are killed off when exposed to the sun and wind through tillage. Since colonial times, U.S. soil has lost about half its organic matter, said David Montgomery, a professor of geology at the University of Washington who has written three books on soil health. “It’s sort of like draining the natural batteries.”

As scientists have learned more about this nearly invisible ecosystem, the soil microbiome, they’ve begun to realize that promoting the health of those organisms is key to solving a host of problems in agriculture.

“In the last five years, there has been an awakening of the realization of how critical that life in the soil is to our life,’’ said Ron Nichols, a spokesman for USDA’s Natural Resource Conservation Service. “[It’s] what really enables this whole synthesis process—to be able to cycle carbon from the air into the soil that makes those other nutrients available to plants, that in turn provides us with oxygen and the food that we eat.” 

NEW AND IMPROVING testing techniques are increasingly giving scientists and farmers a better look inside the soil and promoting better management practices. In recent years, scientists have learned about key soil transactions like exchanges between plant roots and microorganisms that provide nutrients to the plants, and gotten better at assessing organic matter in the soil. The work is underway in a variety of places—land grant universities are working with USDA and even grower groups and agribusiness companies are looking at and sponsoring some of the work to see how it could be implemented into their farmers’ operations.

Promoting soil health comes down to three basic practices: Make sure the soil is covered with plants at all times, diversify what it grows and don’t disrupt it. What this means in practice is rotating crops, so fields aren’t trying to support the same plant year after year. And it means using techniques like “cover-cropping”–planting a secondary plant like grasses, legumes or vegetables–between rows of crops or on other exposed soil instead of leaving it bare. Using a cover crop protects the soil, reduces erosion, encourages biodiversity and returns nutrients like nitrogen to the earth.

For the most part, agriculture isn’t very good at doing any of these things. 

While farmers pride themselves on the stewardship of the land, many have been farming the same way for years, and old habits die hard. Farms have had to get bigger to stay competitive, making it harder for growers to be able to pay attention to the needs of each acre. The majority of farmers in the United States grow the same thing year after year due to a mix of government incentives, habit and ease. Many still till the soil for weed control, albeit considerably less than they have in the past, thanks to herbicide-resistant crops. 

“There are a lot of cultural pressures [against] changing in agriculture,” Cobb said, adding that many farmers in his area have questioned what he’s doing. “If you change, you are kind of seen as challenging what's right—and it might be taken that you think everything else is wrong.”

Even organic farms have things to learn from the soil health movement. While organic production at its base is aimed at promoting the productivity of the soil, some farmers do still till to control weeds and use nonchemical fertilizer, such as compost, that can run off the land. While organic farms must do some sort of crop rotation, the rules fall short of requiring holistic soil management, though some do.

The USDA estimates that most U.S. acres planted with major crops—about 60 percent—were still tilled in 2010-2011, the most recent numbers available. Just 2 percent of cropland had cover crops over the same time period.

To the obstacles of farming culture and cost, advocates have another frustration: Washington. The federal crop insurance program is based on farmers planting the same crop in the same place each year to have a record for production, and it is not flexible enough to account for practices like cover crops. That reduces incentives for farmers to try new things, since the government-backed program will pay out whether they adopt good practices or not. And since taxpayers subsidize premiums, an increasing reliance on crop insurance to account for low — performing crops often doesn’t hurt a farmer’s bottom line.

“If we got rid of those subsidies, that would be the quickest way to get people to migrate to healthier soils,” said Dan DeSutter, an Indiana farmer who has been using holistic soil health practices on his land since the early 1990s. “If we are going to be subsidizing crop insurance, we should give the taxpayer something to show for it, which is clean water, clean air and healthy soil.”

Though lawmakers have allocated money for farmers seeking help moving toward holistic soil management, those programs are voluntary. Congress is currently looking at updating the farm bill—the main omnibus vehicle for national agriculture policy—before it expires at the end of September 2018, but in an already tight budget year, and with farmers generally reluctant to follow any new government mandates, it’s unclear if they will have the appetite to require farmers to adopt newer soil-rejuvenation techniques.

Despite the best efforts of soil health advocates, the rate of synthetic fertilizer use is still on the rise. According to USDA, 97 percent of corn acres nationally needed fertilizer in 2010, the most recent numbers available, as opposed to 85 percent in 1964. The amount of nitrogen used per acre skyrocketed in that time period. In 1964, farmers were applying on average 58 pounds of nitrogen per acre. By 2010, the average was 140 pounds. It’s unlikely those numbers have changed much since 2010.

SOIL HEALTH HAS become the agriculture topic du jour around the world. The U.N.’s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declared 2015 the International Year of Soils, and the Paris climate deal signed in December of that year included a commitment from signatories to increase soil carbon by 0.4 percent each year, even as it left out other agricultural issues. Doing so, proponents argue, could be enough to halt the annual increase of CO2 in the atmosphere, curbing the rate of global warming.

It’s also a water-conservation issue, because healthy soils don’t just produce their own fertilizer, they’re better at absorbing water. The U.N. FAO estimates as much as 40 percent of rainwater runs off uncovered dry land soil. But organic matter can hold up to 90 percent of its weight in water and releases that moisture slowly over time, particularly helpful in areas prone to drought.



Rye grass planted between rows of corn is one example of cover-cropping, a technique that keeps soil from eroding and replenishes its nutrients. | Wikimedia Commons




Domestically, the Natural Resources Conservation Service is increasingly working with farmers to help them adopt better soil management practices, and providing grants and loans to help them get started. Farm groups are also getting involved. In 2014, the National Corn Growers Association, with help from Monsanto, NRCS, the General Mills Foundation, and others, teamed up with the Environmental Defense Fund and the Nature Conservancy to create the Soil Health Partnership to identify and test soil health practices and pass them on to farmers.

If they make progress, American farms will start to look more like DeSutter’s 4,000-acre farm in west central Indiana. Instead of neat rows stripped of extra foliage, his fields look messy, since each is planted with at least two crops. He rotates his fields among corn, soy, wheat and alfalfa, and between the rows he plants grasses like rye, and legumes like beans and lentils. He’s starting to bring cattle onto the land to improve soil health even further with manure, a natural fertilizer. When he started no-till farming and using cover crops in the early 1990s, his soil had about 1.8 percent organic matter. Now it’s at 4.5 percent and still ticking up. 

“It’s a much more complex system,” DeSutter said. Conventional agriculture, on the other hand, is “like following a cookie recipe. It doesn’t take a rocket scientist.” 

The payoff for changing that approach is significant, he added, but also requires reckoning with the fact that the land they’re farming, and living on, is a much more complex system. “Instead of playing checkers,” he says, “we are trying to figure out how to play chess.”


http://www.politico.com/agenda/story/2017/09/13/soil-health-agriculture-trend-usda-000513?cmpid=sf


728x90
728x90

옥수수만 심을 때, 고추만 심을 때, 옥수수와 고추를 심을 때, 옥수수와 사료용 강아지풀을 심을 때를 가지고 토양침식, 생산성, 경제성을 서로 비교함.




역시나 토양침식이 줄어들고 토양이 개선되는 효과는 홑짓기보다 사이짓기를 했을 때 나타남.
그러나 경제성은 역시 옥수수와 고추를 사이짓기했을 때 최대임.
이에 따라 농민들은 옥수수-고추의 사이짓기를 가장 선호할 것으로 보임.
축산업이 흥함에 따라 사료로 쓰이는 강아지풀 사이짓기도 토양의 개선 등의 측면에서 도입된다면 효과는 더욱 배가 될 것으로 전망됨.

옥수수&고추 - 옥수수&강아지풀 - 콩과작물 등의 작부체계를 짤 수 있다면 어떨까? 이상은 그렇지만 현실은 어떻게 될런지 지켜볼 일이다. 

https://dl.sciencesocieties.org/publications/aj/abstracts/109/5/2407


728x90
728x90

2010년 유기농업을 실행하는 토양이 탄소를 격리하여 기후변화를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연구가 발표되었다.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3357676/


그리고 2012년 다시 한 번 관련 연구가 발표된 바 있다.

http://www.pnas.org/content/109/44/18226.abstract?ijkey=22a24b50d107b029a414241f17d2f9b232fca5d1&keytype2=tf_ipsecsha


하지만 2013년 유기농업의 토양이 더 많은 탄소를 격리시키는 게 아니라며 이를 반박하는 연구가 발표되면서 논란이 일었다.

http://www.pnas.org/content/110/11/E984.full


똑같은 유기농업이라고 하더라도 실천법은 천차만별이니 그 토양들도 제각각일 수밖에 없고, 이를 하나의 형태로 정형화하는 게 힘들 수도 있겠다. 위 연구들의 차이는 그러한 점에서 오는 것일지도 모른다.


아무튼 그런데 최근 다시 유기농업을 실행하는 토양이 관행농업의 토양에 비해 더 많은 탄소를 격리시킨다는 연구가 다시 발표되었다.

https://www.organic-center.org/humicrelease/


이에 의하면, 유기농업의 토양에서

13% 더 많은 유기물이 발견되고, 

150% 더 많은 풀브산이 발견되고, 

44% 더 많은 부식산이 발견되고,

장기간 탄소를 저장하는 능력이 26% 더 높다고 한다.


흥미로운 이야기들이 아닐 수 없다.


728x90
728x90

인터넷을 떠돌다가 자연재배 채소는 썩지 않고 발효가 된다며 두 장의 일본 쪽 사진을 제시하며 자연재배의 우수성을 주장하는 글을 읽었다. 이것이 사실인가? 사실이라면 국내에서 똑같이 실험해 본 사람은 없는가? 궁금해졌다.



궁금증은 궁금증이고, 내가 마음에 안 들었던 부분은 자신의 농법을 설명하며 다른 농법을 무시하는 듯한 그 태도였다. 아니 도대체 얼마나 대단한 농법이길래? 유기농업이 상업화되면서 발생하는 한계와 문제점은 알겠다만, 그래서 자신의 농법만이 옳다는 식의 태도는 정말 아닌 것 같다. 그건 재배법에 따라 농산물의 수분과 양분(특히 질소), 섬유질 등의 차이에서 오는 것 아닌가? 과연 그걸 가지고 어느 농법이 더 뛰어나다고 할 수 있나?


그래서 관련 자료를 뒤지니 한 강의에서는 그 원리를 합리적으로 설명한 듯하다. http://m.blog.daum.net/hyangyu/12867664



지인이 알려주신 사이트에 들어가서 관련 농법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곳에선 '무비료재배'라고 자신들의 농법을 정의한다. 가장 중요한 건 흙에 일체의 외부투입재 -무기질은 물론 유기질 비료도, 농약도, 그리고 작물 부산물도 넣지 않는다. 이는 아마 토양에 질소질이 적은 상태에서 미생물들이 이를 분해하기 위해 그나마 있는 토양의 질소를 몽땅 끌어다 쓸까봐 그런 것 같고, 또 혹시 모를 병충해 문제를 최대한 방지하기 위함인듯- 를 넣지 않는다는 점. 하지만 농가의 경제를 위해 여러 농자재 -비닐, 하우스, 농기계 - 등은 그대로 사용한다.

흙에 양분을 추가하는 게 아니라, 오히려 비독이라 하여 토양의 과잉 양분을 제거하는 일을 중요시 여긴다. 그와 함께 경운 등으로 토양의 물리성을 개선하며 -굳이 무경운을 중시하지 않고, 제초 등의 꾸준한 관리를 중요시 한다- 토양의 미생물과 여러 생물들이 살아가기 좋은 환경을 조성하려 하고, 그 상호작용으로 흙에서 작물도 잘 어울려 살아가도록 하는 것이 주안점이다. 그래서 종자가 중요하다고는 하지 않는다. 개량종이든 재래종이든 필요하고 적합한 걸 선택해서 심으면 된다고 이야기한다. 또한 이 농법은 농사에 어느 정도 눈을 뜬 사람이 할 수 있는 일로서, 아무나 하고 싶다고 선뜻 성공하기 어렵다고 전제를 한다. 그리고 각자가 처한 환경과 조건이 다르니 일반화, 표준화하기 어렵고 그에 따라 달라질 수밖에 없는 것이라고도 한다. 

물론 그렇게 농사를 지으니 관행농보다는 수확량이 30% 정도는 덜 나온다고 한다. 하지만 사진을 보면 작물들이 건강하게 잘 자라는 모습을 볼 수 있으니, 기존 농산물 대비 생산비 절감과 판매에서 오는 프리미엄 등으로 경제적 문제는 상쇄될 것 같다. 또 크기가 적은 대신 수분과 양분(특히 질소질)을 상대적으로 적게 함유하고 섬유질 등이 풍부하여 신선도가 더 오래가고 작물 본연의 맛을 즐길 수 있는 것도 장점이겠다. 장기 보관과 장거리 유통에도 적합하고, 이를 찾는 단골도 확보하기 좋기에 직거래 등으로 유통하면 그 효과가 배가 될 것 같다. 

여기까지가 내가 이해한 내용이다. 20년 전 사진을 내보이며 다른 농법은 모두 답이 아니라는 어투의 글은 정말 이해가 가지 않는다. 일본의 무비료재배자들은 그런 태도는 아니더라. 다른 농법도 있지만 자신들은 이 길을 선택해서 간다고 겸손하게 이야기하더만. 그분의 글만 그러했으리라 믿고 생각한다. 그러고 보니 예전에도 이런 적이 있어 발끈하여 얼마나 대단한 농법인지 찾아본 적이 있는 것 같다. 이것도 나의 병이겠다.

아무튼 유기농업은 생산성이 좀 떨어지더라도 인간만이 아니라 자연환경에도 이로운 방식으로 생산하면서 생산량이 줄어 떨어진 소득은 일종의 프리미엄으로 보전하자는 취지에서 시작되었지 아마? 그러나 시장은 여전히 생산성 위주로 평가기준을 들이댔고 유기농도 그 기준을 맞추려고 변해 갔지? 농법과 관련하여 무엇이 더 옳고 바람직해서 섭취하고 소비하기보다는, 자신의 가치관과 경제력 등을 고려해 선택하여 섭취하면 될 문제라고 생각한다. 사실 먹으면 흡수되는 영양성분 등은 모두 다 동일할 겁니다. 문제가 될 만한 소지는 잔류농약 유무겠지. 내가 믿고 실천하고픈 생각이 있다면 그에 따라 선택하여 소비하면 되는 일이다. 별 것도 아니면서 비싸기만 하다는 식의 태도도, 환경을 파괴하며 생산된 저질의 먹을거리라는 식의 생각도 아무 도움이 안 된다. 오히려 차별과 혐오만 조장할 뿐이라고 생각한다.



이러한 나의 의견에 대해 한 지인은 이런 이야기를 덧붙여 주었다.


제 밭의 모든 산물이 이른바 자연재배의 산물인데 과연 저러한지.. 솔직히 실험할 필요성도 이유도 못느낍니다. 나무에 달린채 미생물의 활동으로 썩어가는 열매와 탄저균으로 흘러내리는 고추는 무엇으로 설명할런지.. 나무에 달린채 썩어가는 사과는요.. 모든 유기물은 조건에 따라 이렇게 저렇게 변화하고 사라지는데 그 다양한 변화를 좋고 나쁜 것으로 저울질하며 오히려 반자연적인 삐뚤어진 관점으로 농사를 대하는 것 같아 참 답답합니다. 직접 해보고 모든 결과를 보면 알 수 있을 텐데 말입니다. 자연재배라는 것이 오늘날 왜곡되어 퍼진 유기농의 문제를 비판하며 나온 개념이란 건 이해되는데, 그것이 마치 신비의 명약인양 숭상하며 '반드시 그렇다'라는 똥고집을 부리니 저는 자연재배라는 용어를 '친환경'이란 말처럼 멀리하게 됩니다.


728x90

'농담 > 농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의 사이짓기 실험  (0) 2017.09.25
유기농업의 토양이 기후변화를 완화시킨다  (0) 2017.09.12
어떤 풋거름 작물을 선택할까  (0) 2017.09.08
풋거름 식물의 실험  (0) 2017.09.05
세계의 벼농사  (0) 2017.09.04
728x90
풋거름(녹비) 작물의 종류와 특징

1. 목초류 -호밀, 라이밀, 보리, 귀리, 라이그라스 등


. 빨리 자리를 잡고 자람
. 토양의 질소를 제거
. 높은 탄질비


2. 십자화과 -무, 갓, 순무 등


. 느리게 자리를 잡음
. 토양의 질소를 제거(시간만 충분히 주면 목초류보다 훨씬 많이)
. 중간 정도의 탄질비


3. 콩과식물 -토끼풀 종류, 털갈퀴덩굴(헤어리베치), 자운영 등


. 느리게 자리를 잡음
. 대기중의 질소를 고정시킴
. 낮은 탄질비


*탄질비가 중요한 이유
. 토양의 미생물들이 식물의 물질을 분해하는데, 이 과정에서 질소를 필요로 함
. 식물의 물질이 탄질비가 높으면(30 이상) 토양의 미생물들이 토양의 질소를 이용함
. 식물의 물질이 탄질비가 낮으면(20 이하) 미생물에게 충분한 질소를 공급하고도 남아서, 식물이 분해된 뒤에도 많은 질소가 남게 됨



그러니까 이러한 종류의 풋거름 작물을 자신의 농경지에 적용할 때는, 토양의 상태를 확인하고 필요한 걸 선택하면 되겠습니다. 땅심을 높일 목적이면 탄질비가 낮은 -질소질이 많은- 식물을 선택하고, 토양의 구조 등을 개선할 목적이라면 탄질비가 높은 -탄소질이 많은- 식물을 선택하여, 겨울에 땅을 묵히는 동안 이들이 일하도록 하시어요.


728x90

'농담 > 농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기농업의 토양이 기후변화를 완화시킨다  (0) 2017.09.12
자연재배 농법을 살펴보다  (0) 2017.09.11
풋거름 식물의 실험  (0) 2017.09.05
세계의 벼농사  (0) 2017.09.04
모터 달린 호미  (0) 2017.08.25
728x90
풋거름(녹비) 실험 자료를 읽다.

몇 가지 종류의 풋거름식물을 섞어서 심은 뒤 그 성적을 비교하는 실험이다. 여기에서는 크게 세 가지에 초점을 맞춘다.

1) 토양의 질을 개선하는가
2) 뒷그루 작물에 이로운가
3) 비용은 적당한가

이를 위해 (1)무와 갓 (2)귀리와 무 (3)귀리와 베치, 파셀리아 (4)귀리와 호밀 을 9월에 파종하고 -(1)은 얕이갈이 이후 흩뿌림, (2)-(4)는 줄뿌림- 뒷그루로 겨울 보리를 심어서 재배했다.



12월에 샘플을 채취하여 평가한 결과.

. 수확량; 귀리와 호밀의 수확량이 가장 많았다. 생풀과 건초 모두.
. 꼴 분석; 무와 갓의 단백질 함량이 가장 높고, 귀리와 호밀이 에너지가 가장 높음. 방목하지 않을 경우 면적당 단백질 함량은 귀리와 호밀이 가장 높음.
. 토양의 구조; 모든 실험밭에서 토양의 구조가 매우 좋았음. 특히 귀리와 베치, 파첼리아를 심은 곳이 최고이고, 귀리와 무가 형편없었지만 그것도 좋은 수준이었음.
. 지렁이; 지렁이의 개체수는 무와 갓의 실험밭에서 가장 많았음. 이 밭은 얕이갈이 이후 흩뿌림을 하여 최소한으로 경운했다는 점을 감안하면, 어떤 씨앗의 조합이냐보다 경운을 최소화하는 게 관건일 것임.







너무 흥미롭다. 국내에서 풋거름식물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는 곳은 어디입니까?


https://www.agricology.co.uk/sites/default/files/files/green%20manures%20field%20lab%20report.pdf

728x90

'농담 > 농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연재배 농법을 살펴보다  (0) 2017.09.11
어떤 풋거름 작물을 선택할까  (0) 2017.09.08
세계의 벼농사  (0) 2017.09.04
모터 달린 호미  (0) 2017.08.25
틀밭 만드는 방법  (0) 2017.07.26
728x90
세계의 벼농사 지역을 봅니다. 한국은 한그루짓기(일모작)지역으로 분류되어 있지만, 세계에는 세그루짓기(삼모작)까지 가능한 곳이 있습니다.



한그루짓기 두그루짓기 세그루짓기 지역별로 언제 모내기가 가장 왕성하게 이루어지는지 봅니다.



지역별로 벼농사가 언제 이루어지는지 봅니다.



마지막으로 지역별로 언제 수확을 하는지도 봅니다.




전문은 여기에서 볼 수 있습니다.

https://www.nature.com/articles/sdata201774

728x90

'농담 > 농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떤 풋거름 작물을 선택할까  (0) 2017.09.08
풋거름 식물의 실험  (0) 2017.09.05
모터 달린 호미  (0) 2017.08.25
틀밭 만드는 방법  (0) 2017.07.26
풀을 억제하는 덮개작물  (0) 2017.07.1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