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헛골 농법. 즉, 가짜 골에 씨앗을 심는 농사법이란 뜻이다.
왜 '가짜 골(헛골)'인가? 처음에는 골을 타서 거기에 씨앗을 심기에 골처럼 보이지만, 나중에 사이갈이 김매기 등의 작업 과정을 거치면서 북주기를 통해 새로운 두둑으로 변모하기에 가짜 골이라 한다.

과거 조선 후기의 서유구 선생이 더 널리 적용해야 한다고 주장한 견종법畎種法이 이와 같은 방식의 농법이다.




이 농법은 이후 일제강점기의 조사 자료에서도 등장할 정도로 널리 퍼졌던 농법이다. 그런데 이런 방식이 지금은 거의 사라져서 찾아보기 힘들게 되었다. 여러 요인으로 인하여 농법이 변한 것이다.

먼저 이 헛골 농법의 장점은 다음과 같다.

1. 봄 가뭄을 극복하는 데 도움이 된다.
2. 여름의 강풍을 견디는 데 도움이 된다.
3. 작물의 수확량을 증가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4. 노동력 절감에 도움이 된다.

크게 이렇게 네 가지를 꼽을 수 있겠다.




골을 타서 씨앗을 심기에 주변부보다 옴푹한 곳에서 특히 한국의 봄철에 두드러진 바람에 의한 수분 상실에서 보호되고, 또 아침 저녁의 이슬 등으로 수분을 보충할 수 있어 부족한 강우량에도 종자의 발아가 잘 되는 잇점이 있다.

그러고 나서 여름으로 접어들면서 점점 바람이 거세어지고 태풍 같은 것이 찾아오곤 하는데, 그럴 때 작물이 북을 준 흙무더기에 덮여 있기에 그런 조건에서도 잘 버티며 성장하게 된다.

작물에 북을 주면 새로 흙에 묻힌 곳에서 막뿌리가 나오게 된다. 이 막뿌리가 흙에 있는 양분과 수분을 흡수함으로써 작물이 더 잘 성장하도록 만든다. 그리고 북을 주면서 잡초의 방제까지 해결되는 것은 덤이다.

마지막으로, 고랑과 두둑의 풀을 잡기 위하여 북을 주면서 흙의 모세관을 끊어져 뜨거워지는 여름 날씨에도 지표면에서 수분의 증발이 덜 되도록 도와 작물이 충분히 수분을 흡수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한다. 잡초와의 경쟁도 줄어들기에 작물의 성장에 더 이로운 환경이 조성되는 건 더 말할 필요도 없다. 이러한 여러 가지 효과를 가져오는 작업을 북주기라는 단 하나의 일로 해결하는 것이다. 그러니까 이 작업을 통해 김매기+수분 확보+막뿌리의 발달+작물의 성장+수확량 증가 등의 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그렇다면 이런 농법이 왜 사라지게 되었는가? 무엇보다 새로운 농자재의 도입이 가장 크겠다. 바로 한국의 농업에 백색혁명을 일으켰다고 평가되는 농업용 비닐이 가장 큰 요인이라고 꼽을 수 있다. 비닐을 덮으면, 작물이 자라고 있는 곳의 흙은 더 이상 손댈 수가 없다. 그래서 비닐을 쓰는 곳에선 처음부터 높은 두둑을 지어서 비닐을 덮고 아예 수확할 때까지 그대로 쭉 가는 걸 흔히 볼 수 있다. 중간에 비닐을 벗겨내는 일은 거의 없다. 농지가 비닐로 덮이게 되면서 이와 같은 방식의 농법도 사라졌다고 보는 게 맞다고 생각한다. 혹시 다른 이유가 있을지는 아직 잘 모르겠다.

농생태학 책을 보다가 멕시코에서 전통적으로 조선과 같은 헛골 농법으로 농사를 지었다는 설명에 아래와 같은 그림이 첨부되어 나오길래 주절주절 이야기를 풀어 보았다. 세계 각지의 전통 농법을 들여다보면, 어떤 농법이란 것은 어느 한 곳의 특출난 기술이 아니라고 생각한다. 사람들이 자기가 사는 지역에서, 자신들이 처한 자연환경에 적응하면서 실패를 거듭하며 최선을 다하여 농사짓는 과정에서 확립된 것. 그것이 전통 농법이다. 우열을 가릴 일도 아니고, 선후를 가릴 일도 아니다. 참고하고 그 원리를 궁리하여 지금 상황에 맞게 어떻게 응용할 수 있을지 모색하면 그뿐이다.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