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취재자는 유럽의 농민들 가운데 35세 이하의 젊은 농부는 단 7%라는 사실을 보고는 과연 그들이 어떻게 살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길을 나선다.


짧은 영어이지만 알아들은 바를 나열하자면, 


첫번째로 목화와 사탕무, 옥수수, 토마토 등을 680에어커의 농지에서 재배하는 젊은 관행농민이 나온다.

그는 대부분 수출하고, 아주 일부만 그리스 시장으로 출하한다. 

현재 농사에서 가장 어려운 부분은 물 문제. 건조한 지역이다 보니 물이 부족하고, 그로 인해 생산일정에 차질이 생기기도 한다고.

그는 현재 그리스의 농업은 지속가능하지 않다고 평가한다. 왜냐하면, 젊은 사람이 너무 없기 때문에 낡은 기반시설처럼 언젠가 멈춰버릴지도 모른다고 이야기한다.

정부에서 제공되는 보조금은 충분치 않다고. 그런데 예전에는 수입을 최대한 올리기 위해서 더 많은 수확량을 생산해서 팔아야 한다고 했지만, 자신은 더 고품질의 농산물을 생산하여 더 높은 부가가치를 올리려 한다고 말한다.


두번째로는 도시농부가 잠깐 등장하여 도시농업이 그리스의 재정위기를 극복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언급하며 사라지고,


마지막 올리브 농사를 짓는 젊은 농부가 나와 귀농이 필요하다고 이야기하며 마무리. 중간에 잠깐 도시의 여성이 나와 귀농하자고 이야기하는 부분도 보인다. 

이 부분에서 열심히 생산해도 그냥 값싼 수입산을 들여다 파니 뭐 할말이 없다는 이야기도 나온다. 역시나 한국과 비슷한 처지이런가...


농업 부문은 자유무역의 대상이 되어서는 안 된다는 주장이 강하게 떠오른다.



Videoblog on CAP | Episode 1: Food Security from foodpolitics on Vimeo.



다음편...


처음에는 달팽이 농장을 하는 자매가 나온다. 그들은 생산된 달팽이의 70%는 유럽의 각지로 수출하고, 나머지 30%는 그리스에 판매한다고. 

농사를 지어 좋은 점이라면, 자연에 가까이 살 수 있으며 그리스의 경제위기에서도 큰 어려움 없이 살아남았다는 점.

어려운 점은, 정부에서 각국의 달팽이 시세라든지 수요량 등에 관한 정보를 제공해주면 좋겠다고 한다. 역시 모든 걸 농민 개인이 알아서 하기는 어려운 것이다. 그래서 정부의 각 기관이 있는 것이 아니겠는가. 


두번째로는 산토리니에서 와인을 제조하는 사람이 나온다.

그의 포도나무는 수령이 100년이라는데 아주 흥미롭다. 해풍이라는 자연조건이 포도나무를 납짝 엎드리게 만들었다. 또한 흙이 화산토라서 포도의 맛과 향이 다를 것 같기도 하다. 그 때문에 수확량이 적지만 고품질의 가치가 높은 포도가 생산된다고. 

이 사람은 6에이커, 그러니까 7300평쯤 되는 밭이 있다. 여기에 1에어커당 70유로의 정부 보조금이 나온다. 

그럼 모두 420유로를 받는 셈인데, 이걸로는 인건비도 충당하기 힘들다고... 그래서 젊은 사람들이 농업에 종사하기가 어렵다고 지적한다.


역시 그리스도 우리와 비슷한 상황이다. 자, 한 번 봅시다.



Videoblog on CAP | Episode 2: Young Farmers from foodpolitics on Vimeo.




500마리의 염소를 방목하는 목동을 지나쳐 대규모 축산업을 하는 20대의 형제를 만남.

그들은 800마리의 젖소, 850마리의 고깃소, 200마리의 송아지 등 모두 2000마리 정도를 사육한다.

유럽연합에서 권하는 공간보다 더 넓은 공간과 쾌적한 보금자리를 제공하여 양질의 우유를 생산하려 노력한다고.

이들이 생산하는 우유의 양이 그리스 전체의 1.5%를 담당한다. 하루에 55톤의 사료를 먹이고, 한 마리당 45kg의 우유를 생산한다고.

8가지의 곡물을 섞은 사료를 먹이는데, 콩은 쓰지 않는다. 그 이유는 유전자조작일 가능성이 높고 그리스에서 생산되지 않기 때문. 


다음으로 유기농 시설하우스 농부. 그는 토마토, 오이, 바나나 등을 생산.

비닐하우스의 비닐은 4~5년에 한 번 교체하는데, 그렇게 걷어낸 비닐은 깨끗이 하여 재활용시키기에 환경을 오염시키지 않는다.

그는 그리스의 미래는 농촌에 있다며 자신은 이곳을 떠나지 않겠다고.


마지막으로 토종 종자를 보존하는 운동을 하는 사람이 등장.

FAO에 따르면 대규모 단작 방식을 지원하는 농업정책으로 인하여 세계의 토종 종자 가운데 90%가 소멸했다고 지적.

그러나 토종은 생물다양성과 미래의 기후변화 등에 소중한 유전자원이라는 점을 강조.



Videoblog on CAP | Episode 3: Environment from foodpolitics on Vimeo.




마지막으로 농업 장관을 만나서 지금까지의 이야기들을 총정리한다.

이건 그냥 한 번 쭈욱 끝까지 보시길...



Videoblog on CAP | Episode 4: Epilogue from foodpolitics on Vimeo.



728x90
728x90

 미국 식품의약국의 새로운 자료에서는 육류업계의 항생제 사용이 아픈 사람에게 사용하는 양을 추월했다는 것을 보여준다. 왜 관심을 가져야 하는가? 우리는 우리의 동물, 음식, 스스로의 건강을 유지하길 바란다. 현재 육류업계는 인간에게 처방되는 항생제보다 3.9배를 소비하며, 점점 항생제 내성균으로 가득한 고기를 대량생산하고 있다. 이는 현행 치료법으로 치료했던 질병이 점점 고치기 어려워지고 있다는 것을 뜻한다. 

이 최신 자료를 보면서 퓨 자선신탁(Pew Charitable Trust)은 항생제 사용과 육류업계의 사용량 증가에 대한 상세한 정보도를 만들었다. 생산자들은 비위생적이고 지나치게 밀집된 상태에서 동물의 건강을 유지하며 빠르게 키우기 위하여 항생제를 사용한다. 그런 밀폐된 공간에서 병원균이 균을 죽이는 약에 적응하며 내성을 개발한다. 현재 이러한 내성균이 점점 많은 사람들에게 퍼지며 건강을 위협하고 있다.

퓨 자선신탁에 따르면,

  • 칠면조의 살모넬라균 가운데 약 78%는 적어도 하나의 항생제에 대한 내성을 가지고 있으며 박테리아의 절반은 세 가지 이상에 대해 내성이 있다. 이 수치는 2010년 대비 상승한 것이다. 
  • 소매되는 닭 가슴살에서 발견되는 살모넬라균 가운데 약 3/4은 적어도 하나의 항생제에 대한 내성을 가지고 있다. 약 12%의 소매되는 닭 가슴살과 칠면조 표본에서 살모넬라균이 검출되었다. 
  • 테트라사이클린(항생제)에 대한 내성이 소매되는 닭의 캄필로박터에서 증가했다. 약 95%의 닭고기 제품이 캄필로박터를 함유하고 있으며, 이 박테리아 가운데 약 절반은 테트라사이클린에 내성이 있다. 이는 2002년에서 지난해에 걸쳐 증가한 것이다. 




728x90
728x90

그나마 축산이 돈이 되어 우루루 몰려들었던 때가 있었다.

양돈업자들도 그렇게 늘어났다.

그러다 구제역으로 돼지도, 양돈업자도 심각한 타격을 입었다.

정부에서는 당장 돼지고기 가격을 안정시킨다며 엄청난 양을 수입했다.

어느 정도 정상화된 뒤에도 수입했다.

그러는 사이 돼지의 사육두수는 급속히 증가했다.

이제 엄청난 경쟁의 문이 열렸다.

아마 양돈업자 가운데 자금력과 규모가 있는 곳만 지금의 위기에서 살아남고, 나머지 영세한 사람들은 알아서 나가떨어지지 않을까? 엄청나게 빠르고 과격한 구조조정이 시작될지도 모르겠다.


통계청의 자료에 따르면, 1983년 전국의 돼지 사육가구의 수는 56만312가구를 정점으로 역시나 올림픽을 기점으로 급감하기 시작한다. 농가 부채가 늘어나고 농가의 소득이 도시 근로자 가구의 소득보다 줄어든 것도 바로 그 시점이다. 

그러다가 1992년에 마지막으로 10만 가구를 기록한 이후 사육가구는 점점 줄어서 20012년 6040가구만 남는다. 즉, 약 55만5000가구가 사라진 셈이다. 농민 인구의 감소와 함께 양돈업자도 급감한 것이다.


사육가구의 수가 줄어든 대신, 한 가구당 사육마리 수는 급증한다.

1983년에는 1000마리 미만의 돼지를 사육하던 가구가 대부분이었으나(즉 집에서 잔치 등에 먹거나 장에서 한두 마리 사다가 급전을 융통할 목적), 사육가구 수의 급감과 함께 그 정도 규모는 눈 녹듯이 사라진다. 

1983년 56만 가구에서 2012년 현재 3080가구만 남았을 뿐이다.

대신 1000~5000마리 정도를 사육하는 중간 규모의 가구는 조금 증가한다.

1983년 100여 가구 정도의 수준이었는데, 2012년 현재 2624가구가 되었다. 이들이 한국 양돈업을 지탱하는 주축이라고 보면 된다.

한편 1000마리 미만을 사육하는 가구는 3080가구만 남았다.

이제 이들이 정리될 시점이 온 것이구나.

마지막으로 5000마리 이상을 사육하는 대규모 가구는 1980년대 초중반 30여 가구에서 10배 증가한 300여 가구가 되었다.

---------



불과 1년 전까지만 해도 '금겹살'이라 불리던 돼지고기 가격이 반값으로 떨어졌다. 식당에서 파는 삼겹살 가격이 꿈쩍도 하지 않아 소비자들은 아직 체감을 못하고 있지만, 양돈 농가는 추락하는 돼지고기 가격에 속앓이를 하고 있다.


12일 대한한돈협회와 축산물품질평가원 등에 따르면 지난해 1월 9일 탕박(털을 제거한 고기) 기준 1㎏ 당 5,379원이었던 돼지고기 도매 가격이 올해 2월 8일에는 2,865원으로 절반 가까이 떨어졌다. 양돈 농가는 ㎏당 약 4,000원 정도인 생산비에도 못 미치는 가격으로 납품을 하고 있다.



한돈협회 관계자는 "양돈농가가 힘들게 키운 돼지를 마리당 10만~12만원의 손해를 보며 출하하고 있다"면서 "지난해 9월부터 도매가격이 ㎏당 3,000원대로 떨어졌는데 지금까지 6개월 동안 생산비 이하로 출하되다 보니 양돈농가의 고통이 심각하다"고 전했다. 이 관계자는 "도매가격이 생산비 이하인 상태로 6개월 간 지속된 것은 10년래 없었던 일"이라고 덧붙였다.

최근 수년 동안 돼지고기 가격이 이렇게 심각한 부침을 겪게 된 것은 2010년 말부터 2011년 봄까지 계속된 구제역 탓이 크다. 이 때 전국의 돼지 3분의 1이 살처분되면서 2011년 한 해 동안 돼지고기 가격은 '금겹살'이라 불릴 정도로 치솟았다. 도매가격이 ㎏당 7,000원대로 폭등하자 정부는 물가 안정을 위해 무관세로 삼겹살을 수입했다.

문제는 돼지 재입식이 시작돼 국산 돼지 공급이 정상화된 지난해에도 무려 27만톤이 수입됐다는 것. 수입 돼지고기는 삼겹살이 대부분인데, 이때 수입된 삼겹살 양은 돼지 1,200만마리를 도축했을 때 나오는 분량에 해당한다. 우리나라에서 연간 도축되는 돼지가 1,400만마리라는 점을 감안하면 거의 1년치 공급량이 수입된 셈이다. 업계 관계자는 "정부가 국내 수급전망은 생각하지도 않고 주먹구구식으로 수입을 늘리는 바람에 가격폭락이 더 심해졌다"고 말했다.

공급과잉에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수요부진까지 겹쳤다. 지난해는 대형마트와 백화점이 모두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할 정도로 내수 부진이 심각했던 해였던 데다 식당에서 돼지고기 메뉴 가격을 내리지 않은 것도 수요가 살아나지 않는 원인이 됐다.

가족 나들이가 많은 봄철에 가격이 오름세로 돌아서는 것이 현재 양돈 농가의 유일한 희망이지만 전망은 좋지 않다. 농촌경제연구원은 "예상보다 출하 두수가 많고 소비도 좀처럼 살아나지 않아 가격이 크게 오르기 어렵다"면서 애초 3,700~4,000원으로 전망했던 3~4월 가격 전망을 3,400~3,700원으로 낮췄다.

양돈 업계는 자체적으로 사육 두수를 줄이고 정부에 수매 확대와 사료비 지원을 요청하는 등 타개책 마련을 서두르고 있다.

최진주기자 pariscom@hk.co.kr


728x90
728x90




While nearly every major health organization in the country has sounded the alarm over rising rates of antibiotic resistant bacteria, and the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 has released new data showing an increase in antibiotic use by the livestock sector, an American Meat Institute website continues to claim that everything is just fine in the meat and poultry industry.  Here I debunk some of the misleading claims now posted at AMI’s “MeatMythCrushers” website:

FACT:  FDA does not limit the amount of antibiotics used by livestock producers, although MeatMythCrushers would have us believe that FDA is carefully regulating this problem.  In fact, the FDA oversees the registration and labeling of drug products but it does not limit how much or how often veterinarians can prescribe these drugs and many are available to livestock operators “over-the-counter” without need for any veterinary oversight.  Furthermore, because the agency acknowledges the health threat posed by over-use of medically important antibiotics in animal agriculture, it recently issued a “voluntary guidance” to industry in 2012, recommending — but not requiring — antibiotic use reductions.  

Furthermore, FDA is very clear that livestock use of medically important antibiotics poses a health risk and recently stated: "Antimicrobial resistance, and the resulting failure of antimicrobial therapies in humans, is a mounting public health problem of global significance.  This phenomenon is driven by many factors including the use of antimicrobial drugs in both humans and animals.”

FACT:  Human use and livestock use of antibiotics contributes to the problem of increasing antibiotic resistance by harmful bacteria — not just human use as MeatMythCrushers suggests.  There is no question that over-use of antibiotics by people is an important part of the problem.  But MeatMythCrushers is clearly raising this argument to distract us from the role of animal agriculture in creating this problem. 

The American medical community is united when it comes to the issue of antibiotic resistance and the contribution of livestock use of antibiotics to the problem.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 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Infectious Diseases Society of America; Johns Hopkins Center for a Livable Future, Bloomberg School of Public Health; National Foundation for Infectious Diseases; the Pediatric Infectious Diseases Society and others have all declared that the “Overuse and misuse of important antibiotics in food animals must end, in order to protect human health.”

And in 2003, the Institute of Medicine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wrote: “Clearly, a decrease in the inappropriate use of antimicrobials in human medicine alone is not enough. Substantial efforts must be made to decrease inappropriate overuse of antimicrobials in animals and agriculture as well.”

FACT:  Livestock industry use of antibiotics has been increasing.  While the American Meat Institute claims that antibiotic use in meat production has been “relatively steady over time,” nothing could be further from the truth.  FDA reports show that antibiotics sold for use in livestock operations have quadrupled since 1970, from about 7 million pounds in 1970[1]  to nearly 30 million pounds in 2011.  Of this 30 million pounds,over two-thirds are medically important for humans.

FACT:  About 80% of all antibiotics sold in the United States are sold for livestock use.  MeatMythCrushers tries to cloud that statistic by questioning an estimate published by the Union of Concerned Scientists in 2001. In fact, the UCS was very clear at the time that they were estimating that 70 percent of antibiotics produced in the U.S. are fed to livestock.  It wasn’t until a decade later, in 2011, that the FDA issued its first public statement on this topic, confirming that the percentage is even higher — about 80% of antibiotics are sold for use in animal agriculture.

Even if you exclude the antibiotics that are not considered medically important, over 70% of antibiotics that are medically important are sold for use by the meat industry.

FACT:   Antibiotic resistant superbugs bred in livestock facilities do threaten human health. The American Meat Institute tries to dispute this fact, but once again the science is not on their side.  Leading health organizations agree that life-saving antibiotic medicines are no longer working to treat infections in people and that massive use of these drugs in the livestock sector are part of the problem.  The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DC) wrote in 2010 that there is “strong scientific evidence of a link between antibiotic use in food animals and antibiotic resistance in humans.”   Numerous peer reviewed scientific journal articles have documented the proliferation of antibiotic resistant superbugs in feedlots, their escape to the environment, the transfer of antibiotic-resistant “traits” from these superbugs to other bacteria, and transmission to humans.   (Pew Charitable Trusts maintains a partial bibliography ).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reports the “evidence shows that pathogens that have developed resistance to drugs in animals can be transmitted to humans.”

FACT:  Model regulations in Denmark demonstrate that livestock producers can drastically reduce antibiotic use while remaining profitable.  The American Meat Institute tries to discredit Denmark’s groundbreaking ban on non-therapeutic antibiotic use in the meat industry, claiming the ban didn’t reduce the amount of drugs used.   But,the most recent update from Denmark reports that since 1994, the total consumption of antibiotics by livestock decreased by 51% while meat production actually increased by 17%.  Farmers in Denmark are producing more meat with fewer antibiotics.  Danish datashow a decrease in antibiotic resistance in food animals and on retail meat since the 1994 policy changes, in most cases.  Changes in antibiotic resistance in humans is more complicated to track because there are many more variables involved, but even so, for some antibiotic resistant infections, scientists have observed a difference in rates of antibiotic-resistant infections since Denmark’s ban. For example, Campylobacterinfections in humans that were associated with travel outside of Denmark demonstrated a significantly higher level of antibiotic resistance.  In addition, it has been reported that “the prevalence of 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us faecium from humans has decreased since avoparcin was banned for use in animals in 1995.”


728x90
728x90

Last year, the Food and Drug Administrationproposed a set of voluntary "guidelines"designed to nudge the meat industry to curb its antibiotics habit. Ever since, the agency has been mulling whether and how to implement the new program. Meanwhile, the meat industry has been merrily gorging away on antibiotics—and churning out meat rife with antibiotic-resistant pathogens—if the latest data from the FDA itself is any indication.

The Pew Charitable Trusts crunched the agency's numbers on antibiotic use on livestock farms and compared them to data on human use of antibiotics to treat illness, and mashed it all into an infographic, which I've excerpted below. Note that that while human antibiotic use has leveled off at below 8 billion pounds annually, livestock farms have been sucking in more and more of the drugs each year—and consumption reached a record nearly 29.9 billion pounds in 2011. To put it another way, the livestock industry is now consuming nearly four-fifths of the antibiotics used in the US, and its appetite for them is growing.


Not surprisingly, when you cram animals together by the thousands and dose them daily with antibiotics, the bacteria that live on and in the animals adapt and develop resistance to those bacteria killers. Pew crunched another new set of data, the FDA's latest release of results from its National Antimicrobial Resistance Monitoring System, or NARMS, which buys samples of meat products and subjects them to testing for bacterial pathogens. Again, the results are sobering. Here a a few highlights pointed to by Pew in an email:In an email, a Pew spokesperson added that while  the American Meat Institute reported a 0.2 percent increase in total meat and poultry production in 2011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the FDA data show that antibiotic consumption jumped 2 percent over the same time period. That suggests that meat production might be getting more antibiotic-intensive.  

• Of the Salmonella on ground turkey, about 78% were resistant to at least one antibiotic and half of the bacteria were resistant to three or more. These figures are up compared to 2010. 

• Nearly three-quarters of the Salmonella found on retail chicken breast were resistant to at least one antibiotic. About 12% of retail chicken breast and ground turkey samples were contaminated with Salmonella.

• Resistance to tetracycline [an antibiotic] is up among Campylobacter on retail chicken. About 95% of chicken products were contaminated with Campylobacter, and nearly half of those bacteria were resistant to tetracyclines. This reflects an increase over last year and 2002.

Takeaway: While the FDA dithers with voluntary approaches to regulation, the meat industry is feasting on antibiotics and sending out product tainted with antibiotic-resistant bugs.


728x90
728x90

채소와 축산이 돈이 된다는 사실을 여실히 증명하는 통계청의 조사자료. 농촌 풍경이 급속도로 시설하우스와 축사로 바뀌고 있는 사실을 뒷받침한다. 그러나 우려스러운 점은 곡식 농사는 돈이 안 되어 그만큼 포기하는 농가가 속출하고 있다는 사실. 그로 인해 곡물자급률이 더욱 하락할 것은 불을 보듯 뻔하다. 올해 한국의 식량자급률은 22% 수준, 그나마 100% 이상 자급이 가능했던 쌀의 경우에도 80%대로 추락했다. 앞으로 쌀 소비량이 더욱 감소할 것으로 보이기에 쌀 생산량이 늘어날 리는 없을 테고, 기후변화의 영향 등으로 벼농사는 더욱 힘들어질지도 모르는 상황이다. 대선 후보들은 식량자급률을 높이겠다고 공약했지만 그리 녹록치 않을 것이다. 

또 하나 우려스러운 점은 채소와 축산의 경우 고비용, 고에너지소비형 농업이라는 점.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에너지 소비가 더욱더 늘어나야 할 텐데, 석유생산정점 등으로 에너지 비용은 점점 증가하고 있다는 사실. 또한 초기 투자비가 많이 들어가야 하기에 대출 등으로 자금을 끌어올 텐데 FTA 등으로 한국 안에서만이 아닌 세계시장과 경쟁해야 한다는 점. 영세한 규모의 농가는 당연히 그 경쟁에서 떨어져나가 도시빈민으로 이동할 테고, 규모와 기술을 갖춘 농가 또는 기업농만이 농촌을 장악하게 될 터... 그로 인해 농촌에는 사람이 살지 않는 공동화 현상이 더욱 심화될 테고, 농촌은 죽고 농업만 발전하는 이상한 구조가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 곧, 마을은 사라지고 농장주가 중소도시에 살면서 농장으로 출퇴근하고, 농장에선 이주노동자 들이 숙식을 하면서 일하는 형태나 스마트폰 같은 첨단 통신장비로 전자동제어시스템을 갖추어야만 하는 형태가 될 것이다. 

이것이 농사인가? 이것이 농사란 말인가? 나는 싫소. 





통계청, 2010년 기준…채소·축산으로 고소득


1억원 이상 어촌마을은 106곳 늘어난 149곳…양식어업 비중 커

가구당 농산물 연평균 판매금액이 5000만원 이상인 농촌마을의 숫자가 1136개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억원 이상인 부농 마을도 95개에 이르렀다. 이는 5년 전에 비해 5000만원 이상 마을의 수는 3.3배, 1억원 이상 마을은 9.5배 증가한 것이다. 계절을 별로 타지 않는 채소·축산업 확대로 농가의 소득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통계청이 13일 발표한 '2010 농림어업총조사 판매금액별 농어촌 마을 특성'에 따르면 2010년 기준 농가당 농산물 평균 판매액이 5000만원 이상인 농촌마을은 전국 농촌마을 3만5457개 중 3.2%인 1136개로 집계됐다.

2005년 조사에서는 평균 판매금액 5000만원 이상인 농촌마을은 339개로 전체 3만4765개 마을 중 0.9%에 불과했다. 농가 평균 판매금액이 1억원이 넘는 농촌마을 수는 2005년 10개에서 2010년 95개로 늘었다.

대부분의 마을은 여전히 판매금액이 2500만원 이하로 매우 낮았지만 비중은 줄었다. 2005년 89.2%에서 2010년 80.6%로 낮아졌다.

판매금액이 2500만~5000만원인 마을의 비율은 같은 기간 9.9%에서 16.2%로 늘었다. 평균 판매금액이 5000만원 이상인 농촌 마을은 전국 평균보다 채소·축산의 비중이 높았다.

전국 농촌 마을의 62.3%는 논벼를 재배하고 채소와 축산의 비율은 각각 16.3%, 2.9%였지만 5000만원 이상인 마을은 논벼의 비율이 36%에 그쳤고 채소가 33.3%, 축산이 14.8%를 각각 차지했다.

김형석 통계청 인구총조사과장은 "판매금액이 전반적으로 늘어난 것은 계절에 상관없이 소득을 낼 수 있는 채소와 축산 비중이 높아졌기 때문"이라며 "농업 트렌드가 미곡에서 채소·축산으로 이동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어가당 수산물 평균 판매금액이 5000만원 이상인 어촌 마을은 전체 2549개 중 22.4%(571개)였다. 이는 2005년보다 327개 늘어난 수치다.

판매금액이 1억원 이상인 마을은 2005년 43개에서 2010년 149개로 증가했다. 평균 판매금액이 2500만원 미만인 마을 비중은 2005년 73.7%에서 2010년 53.5%로 줄었고 2500만원 이상 5000만원 미만인 마을 비중은 이 기간에 17.1%에서 24.1%로 늘었다. 판매금액이 높은 마을은 전국 평균보다 양식어업의 비중이 컸다.

전국 어촌 마을은 어로어업이 74.1%, 양식어업이 25.9%였지만 판매금액 5000만원 이상인 마을은 어로어업 비중이 54.8%, 양식어업이 45.2%였다. 지역별로는 전남(244개), 경남(125개), 경북(57개) 등에 5000만원 이상 어촌 마을이 많았다.

임원기 기자wonkis@hankyung.com


--------------------------------------------------------------



연평균 매출액이 5000만 원 이상인 농촌마을이 전체의 3%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높은 매출을 올리는 마을은 농가 경영주의 연령이 낮고 농업관련 시설이 인근에 위치하는 특징을 보였다.


13일 통계청이 발표한 '농림어업총조사: 판매금액별 농어촌 마을 특성'에 따르면, 2010년 현재 농가당 농산물 연평균 판매금액이 5000만 원 이상인 농촌마을은 전체의 3.2%인 1136곳으로 집계됐다.



연평균 판매금액이 2500만 원 미만인 마을이 전체의 80.6%인 2만8580곳에 육박했다. 2500~5000만 원 사이인 마을은 16.2%인 5741곳이다.

지난 2005년과 비교하면 연평균 판매금액이 2500만 원 미만인 마을의 비율은 7.7% 감소했고 2500만 원 이상인 마을은 81.5% 증가했다.

연평균 5000만 원 이상의 판매고를 올리는 농촌마을을 지역별로 구분해보면 경기도가 226곳(19.9%)으로 가장 많았고 전북이 204곳(18.0%), 전남이 166곳(14.6%)으로 뒤를 이었다. 전국 평균보다는 좋은 성적을 나타낸 지역은 제주, 경기, 전북 등이며 광역시와 전남, 충남, 경북은 평균을 밑돌았다.

연평균 판매금액이 5000만 원 이상인 농촌마을의 평균 연령은 59.9세로 전체 마을 평균인 63.2세와 비교해 젊었다. 이들의 경력은 33.0년으로 전체 평균 35.6년과 비교해 짧았다.

평균 판매금액이 높은 농촌마을일수록 전업농가나 채소, 축산농가 비율이 높았다. 이들 마을의 전업비율은 65.9%에 달했고 1인당 경지면적은 2.0ha였다. 경영형태는 논벼(36.0%), 채소(33.3%), 축산(14.8%), 과수(9.2%) 순으로 많았다.

평균 판매금액이 높은 농촌마을은 농업 관련 시설이 30분 이내에 위치하는 비율도 높았다. 근거리에 축산물종합처리장, 농수산물가공공장, 미곡종합처리장 등이 위치하는 비율이 높다는 것이다.



2010년 현재 어가당 수산물 평균 판매금액이 5000만 원 이상인 어촌마을은 전체의 22.4%인 571곳으로 집계됐다. 2500만 원 미만인 어촌마을이 53.5%로 절반이 넘었고 2500~5000만 원 사이인 마을은 24.1% 정도였다.

2005년과 비교하면 2500만 원 미만 마을은 30.2% 줄었고 2500만 원 이상 마을은 70.2% 증가했다.

지역별로 보면 전남(244곳), 경남(125곳), 경북(57곳) 순으로 연평균 5000만 원 이상의 판매고를 올리는 마을이 많았다.

연평균 5000만 원 이상의 판매수익을 올리는 마을의 특성을 보면, 전업어가 비율이 50.3%에 달했다. 이들 마을은 30분 이내 거리에 농수산물 가공공장 등 어업관련 시설이 위치한 비율이 평균보다 높았다.

도농교류는 판매금액이 높은 어촌마을일수록 농수산물 직거래가 많았고, 홈페이지는 농수산물 판매 및 농산어촌 관광 안내 목적으로 많이 활용됐다.

머니투데이 신희은기자 gorgon@




728x90
728x90

출처 식품의약청


연도별 동물용 항생제 판매 실적(‘03-‘09)


항생제 (계열)

연도별 항생제 사용량(kg)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Tetracyclines

723,698

698,632

723,476

629,984

624,236

470,946

287,712

Sulfonamides

180,651

164,373

200,010

184,259

183,209

157,455

92,122

Penicillins

130,016

169,205

229,462

225,089

266,968

170,721

150,589

Aminoglycosides

78,775

62,829

71,863

82,130

93,727

73,188

51,209

Macrolides

47,642

48,587

55,325

74,486

75,342

68,556

88,124

Quinolones

32,726

44,509

52,854

47,637

56,585

51,257

37,418

Ionophores

61,737

57,003

63,056

51,192

58,744

46,947

51,366

Polypeptides

24,729

24,005

34,133

35,198

38,889

43,581

96,532

Phenicols

9,955

20,351

24,918

28,268

34,367

35,892

54,543

Pleuromutilins

15,079

12,980

18,170

22,648

21,195

20,015

35,025

Quinoxalines

29,608

35,424

15,592

9,987

13,070

18,008

4,601

Lincosamides

9,848

11,981

14,433

18,084

16,373

12,048

5,674

Cephems

9,545

1,876

2,169

3,297

1,962

2,694

3,163

Streptogramins

4,253

4,848

4,926

4,522

4,942

5,081

8,164

Orthosomycins

5,405

3,644

4,039

4,660

5,429

5,203

5,566

Glycolipid

4,940

2,943

2,980

2,407

2,341

1,971

2,469

Nitrofurans

63,034

0

0

0

0

0

0

Others

6,892

4,821

36,076

33,960

29,334

27,053

23,890

Total

1,438,533

1,368,011

1,553,482

1,457,808

1,526,713

1,210,616

998,167




국가항생제내성 안전관리사업


목적 : 국가차원의 항생제내성 감소 안전관리체계 구축 및 위해관리방안 마련


사업기간 : ‘03 ~ ‘12


추진체계

- 식약청을 중심으로 보건복지가족부, 농림수산식품부, 환경부 등 참여

- 국정현안정책조정회의 결과(2007.12.27)에 의한 부처별 업무체계 재정비

※ 업무분담체계 : 임상(복지부), 비임상(식약청), 지원․조정(국무총리실)


주요 추진사업

- 항생제 내성실태, 사용량, 사용실태 분석 및 항생제내성 저감화 방안 수립

- 대국민 교육·홍보 및 항생제내성관리 국제협력 인프라 구축


주요성과

- 배합사료 첨가용 동물용의약품 단계적 사용 금지(53종(‘03)→16종(’09))

- 인수공용 퀴놀론계 항생제 4종 133품목 사용 금지(‘08)

- 무항생제 축산물 인증제 실시

- 축수산물 동물용 항생제 잔류기준 설정 : 58종(‘05) → 81종(’09)

- 항생제 사용량 및 항생제 내성률 감소

․ 항생제 사용량 : 1,553톤(’05)→ 998톤(36% 감소, ’09)

․ 대장균 테트라싸이클린 내성률(동물평균) : 80%(’05) → 69%(’08)

- 소비자 인식도 향상

․ 항생제내성 인식도 개선 : 28.5%(‘04) → 75.9%(’09)

- 각종 홍보 및 교육 자료 작성․배포

- 식약청 주관으로 국제식품규격위원회(CODEX) 항생제내성 특별위원회 운영

․ WHO/FAO등 국제기구와 연계하여 항생제내성 위해분석 국제지침 표준안 확립(‘09)

․ ‘10년 제4차 CODEX 항생제내성 특별위원회(무주)에서 국제표준으로 확정 예정


향후 대책

- 올바른 항생제사용을 위한 교육 및 홍보 지속 추진

- 축산․수산․환경․식품에 대한 항생제내성 실태조사 지속 추진

- 항생제내성 위해관리 국제지침에 의한 국내 항생제내성 위해평가

728x90
728x90

 

최근 이루어지고 있는 소값 폭락사태로 인해 한우 농가들의 시름이 크다.

 

2011년과 2006년도 산지가격과 도매가격을 비교해 보면 그 심각성을 쉽게 알 수 있다.

2006년 도매가격이 Kg당 10,915원에서 2011년 13,493원으로 24% 올랐으나

산지 가격은 2006년 1Kg에 8,500원이던 소값이 2011년에는 오히려 7,000원으로 하락했다.

전년(2010년)에 비하면 더욱 심각해서 64% 수준밖에 되지 않는다.

 

이러한 한우값 폭락사태에 대해 정부는 한우 사육두수가 많은 것이 원인이라며

농가에 대해 사육두수를 줄이라며 암소 도태장려금이라는 제도를 만들었다.

축산 관련 신문이나 잡지에서도 암소 비육에 관한 글을 자주 기재하여 동조를 하고 있다.

 

소값 하락 원인이 공급 과잉이라며 정부가 주장하는 적정 사육두수는 250만두라고 한다.

과연 그럴까?

결론부터 말하자면 우리나라 적정사육두수는 300만마리 이상이다.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2006년도 한우 사육두수는 200만마리로 자급율은 47.8%였다.

2009년도 광우병 파동때 잠깐 50%로 올라간 후 정부의 적극적인 수입 장려정책 덕분에

2006년 수입소고기가 21만 2천톤에서 작년에는 30만 7천톤까지 증가하는동안

소고기 자급율은 계속 하락해서 작년에는 44.8%까지 떨어졌다.

 

[자료: 통계청, 관세청, 농림수산 식품부]

 

식생활의 서구화로 인해 2006년에 1인당 소고기 소비량이 6.84Kg이던 것이

2011년에는 10Kg을 넘어 56%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다.

 

그만큼 소고기 소비량이 늘어남에 따라 사육두수 또한 자연스럽게 늘어났을 뿐이다.

사육두수 역시 46% 증가하였고, 수입물량 또한 45% 증가하였다.

특히 가임암소는 같은 기간동안 39% 증가하는데 그쳤다.

 

전년(2010년)과 대비하면 수입물량이 얼마나 더 증가하였는지 알 수 있다.

소고기 1인당 소비량이 8.9Kg에서 10.7Kg으로 20% 증가하였는데

이는 대부분 수입소고기 증가분(18%)으로 충당됨을 알 수 있다.

이에비해 국내산 한육우 사육두수는 단 1% 증가에 그쳤다.

 

결국 정부가 말하는 공급과잉이라고 말하는 부분은 무분별한 수입 소고기의 증가에 있음에도

무조건 농가탓만 하면서 사육두수만 줄이라고 하고 있다.

 

정부 말대로 사육두수를 줄이면 어떤 현상이 일어날까?

사육두수가 줄게되면 한우값이 폭등할 것은 자명한 일이고,

그리되면 정부는 소고기값을 떨어뜨린다는 명분하에 소고기 수입량을 늘릴 것이다.

그러면 또 소값이 하락하는 악순환이 반복될 것이다.

 

이렇게 눈앞에 닥친 문제만 해결하려하는 어리석은 정책으로 인해

결국 수입소고기만 늘어 자급율만 떨어지는 결과만 초래할 뿐이다.

 

소고기 소비량 증가에 따른 사육두수 증가는 매우 정상적인 현상이다.

소값 하락의 근본적인 원인은 무분별한 소고기 수입으로 인한 공급량 증가에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부는 소고기 수입을 더욱 늘리기 위해 한미 FTA를 밀어부치고

광우병 문제가 수시로 발생하는 캐나다와 구제역 상시 발생국인 중국산 소고기까지 수입하려 하고 있다.

 

정부는 소값 파동의 원인을 제대로 파악하고 사육두수를 줄이기보다

수입소고기를 줄이는데 먼저 앞장서야 할 것이다.

출처 : 피터팬의 클래식 한우농장 이야기
글쓴이 : Peter 원글보기
메모 :
728x90

'곳간 > 문서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 육류소비량  (0) 2012.07.29
육류 소비구조의 변화와 전망  (0) 2012.07.29
[스크랩] 암소 도태장려금  (0) 2012.07.20
소농을 위한 보존농업의 지원  (0) 2012.07.17
농어업재해보험  (0) 2012.07.17
728x90

8만 마리가 넘는 소가 사는 지자체 홍성군에서 웃지 못할 일이 벌어졌다. 이번 극심한 가뭄에 시름하던 농민들이 물을 보고 덥썩 논에 댔다가 그게 축산분뇨처리장에서 나온 물이었다는 사실... 그런데 그 물에 포함된 어떠한 성분 때문에 오히려 물을 댄 논의 모가 비실비실 말라죽었다는 사실... 이 지역은 축산으로 인해 질산염 오염이 심각해서 유기농 벼농사를 하는 사람들은 보령 쪽에서 물을 끌어와 쓴다고 하던데, 축산이 돈이 많이 되니 버릴 수는 없고 규모가 커지면서 지하수나 농업용수 오염이나 분뇨 처리문제 등등이 심해지고 참 골치네.  



서부면 중리 1만6500㎡ 피해… 주민, 군ㆍ업체에 피해보상 요구



극심한 가뭄으로 어려움을 겪던 농민들이 축산폐수 처리업체에서 하천으로 흘려보낸 배출수를 농업용수로 논에 댔다가 벼가 고사되는 피해가 발생해 논란이 되고 있다. 

홍성군 결성면 교황리에 위치한 가축분뇨 처리업체인 영농조합법인 농가원(대표 윤영우 신덕철)에서 인근 중리천으로 흘려보낸 배출수를 농업용수로 논에 사용했다 피해를 당한 농민들이 대책을 호소하고 나섰다. 

홍성군 서부면 중리마을 고한서 이장을 비롯한 주민들은 최근 극심한 가뭄으로 어려움을 겪던 중 중리천으로 흘러내리는 물을 농업용수로 논에 사용했다가 벼가 빨갛게 타들어가고 고사되는 피해가 발생했다며 홍성군을 찾아 대책마련을 호소했다. 

고한서 이장을 비롯한 지역주민들에 따르면 농민들이 농업용수로 사용했다가 피해를 입은 중리천으로 흘렀던 물은 가축분뇨 처리업체 농가원에서 흘려보낸 배출수였던 것으로 알려졌다. 

피해를 당한 논은 가축분뇨 처리업체 농가원 하류 중리천 상류지역에 위치한 서부면 중리마을 1만6500㎡ (5000여평)의 논에서 벼가 고사되는 피해가 발생했다는 농민들의 주장이다. 

농민들은 “가뭄으로 시름하던중에 중리천으로 물이 흘러내려 반가운 마음에 농업용수로 사용했는데 벼가 타죽어 다시 벼를 심었으나 또 빨갛게 타들어가고 고사되는 현상이 나타난것은 농가원의 배출수에 문제가 있는게 아니냐”는 의혹을 제기했다. 

특히 농민들은 “농가원 설립 당시 지역주민들에게 배출수를 절대 배출하지 않겠다고 약속해 놓고 제대로 정화되지 않은 배출수를 하천으로 흘려보내 농민들의 피해가 발생한것 아니냐”며 군과 농가원의 피해보상 등 대책마련을 요구하고 있다. 

문제가 발생하자 군에서는 최근 관련부서 공무원들이 현장에 출장, 원인분석을 위해 논에 사용했던 물을 일부 수거 충남보건환경연구원에 수질검사를 의뢰하고 결과에 따라 후속대책을 논의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군의 관계자는 “정확한 원인규명을 위해 충남보건환경연구원에 수질검사를 의뢰한 만큼 검사결과에 따라 배출수에 문제가 있다면 업체에 대한 처벌과 함께 보상 등 대책을 협의해 나갈 방침”이라고 말했다. 

농가원 신택주 고문은 “주민들이 논에 물이 하나도 없는 상태에서 배출수만 사용함으로써 염분 때문에 피해가 나타난것 같다”며 “피해농가에 대해서는 회사 차원에서 피해 정도에 따라 모두 보상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영농조합법인 농가원은 1일 100t의 가축분뇨를 처리할수 있는 시설을 갖춘 가축분뇨수거처리업체로 보조 등 25억원의 사업비를 들여 건립 2009년부터 운영되고 있다. 


홍성=유환동 기자 yhdong55@


728x90
728x90




After nearly succumbing to an antibiotic-resistant infection contracted from one of his hogs, Russ Kremer went cold turkey. He exterminated his diseased pigs and swore off the antibiotics he'd long-used to boost his herd's growth and prevent the illnesses so common in concentrated animal feeding operations, or CAFOs.

Now, more than 20 years later, he says his farm is organic, sustainable, humane and still nearly as efficient as the typical industrial CAFO. Plus he's eliminated the $16,000 a year he used to spend on veterinary and drug bills. And he hasn't sacrificed his pigs' health in the process. If anything, the opposite is true for Fred, Barney, Wilma, Pebbles, Bamm-Bamm and the other 500-some pigs that roam his 150-acre farm.

"My mortality rate is less than 1 percent after they leave their mother. In the industry, many people are seeing a 5 to 10 percent loss," Kremer, now president of Ozark Mountain Pork Cooperative in Missouri, told The Huffington Post. "I don't even own a syringe anymore."

Better yet, he has remained healthy himself.

Kremer's story exemplifies the findings of a growing number of scientific studies on the effects of antibiotic use in livestock. As HuffPost previously reported, the 29 million pounds of antibiotics given to livestock every year -- about four times the amount consumed by people, and mostly used at sub-therapeutic doses -- appears to be contributing to a rise in drug-resistant infections in both animals and people. The most infamous of the microbes: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better known as MRSA.

"We've worked our way into a pickle," said David Wallinga, a senior adviser at the Institute for Agriculture and Trade Policy. The more antibiotics we use, the more microbes become resistant to those drugs -- even to our "biggest guns." It's a microscopic survival of the fittest.

Wallinga and his colleagues recently found drug-resistant microbes in 65 percent of about 400 pork products sampled from a dozen grocery stores across Iowa, Minnesota and New Jersey. Nearly 7 percent of the products had measurable amounts of MRSA, according to their study, published in January in the journal PLoS onE.

To the team's surprise, MRSA thrived in both conventional meat and meat labeled as antibiotic-free. (The "antibiotic-free" label is not regulated.)

At first glance, this finding might contradict other research, such as a study also published in January from the National Animal Disease Center (NADC) in Ames, Iowa. The intestines of piglets raised with antibiotics added to their feed accommodated both a greater number and wider variety of antibiotic resistance genes than the intestines of pigs not fed the drugs, according to that research. The treated pigs' innards were also colonized by more E. coli.

Still, both groups of pigs carried at least some resistant genes, the information that tells a microbe how to evade microbe-killing drugs. only the presence or absence -- not quantity of MRSA -- was measured in the pork study.

"We find antibiotic resistance genes quite prevalent in all pigs, irrespective of antibiotic feeding. We think this may be partially due to the fact that at least in pig growing regions, the background flora that they pick up is already enriched with antibiotic resistance genes," said James Tiedje, a microbiologist at Michigan State University and researcher on the study.

This concept was illustrated in yet another study published last year. Wild pigs from an island off the coast of South Carolina were compared to organically raised pigs in the Midwest. In this case, the guts of the wild pigs had 1,000-fold fewer bacteria resistant to the tetracycline class of antibiotics compared to their organic counterparts. (An organic label does imply antibiotic-free certification.)

Kremer is well aware that antibiotic residue can persist in the environment and lead to resistance long after the last dose of antibiotics was used on that land. Fortunately, he set up his new operation on land that -- as far back as he's aware -- had only been used for organic farming. And he made every effort not to introduce any bad bugs or drugs, including bringing in only piglets that had been born via cesarean section.

A pristine farm may still not be enough to ensure safe pork. Wallinga of the Institute for Agriculture and Trade Policy notes that it remains unclear just how MRSA got into both the conventional and antibiotic-free retail meat he studied. MRSA may have encountered the pig on the farm, or the microbe may have hitched a ride in the slaughterhouse; at the processing plant; or en route to, or at, the store.

Research even suggests that effluent from sewage treatment plants is introducing antibiotic resistance into the environment that could be picked up by food animals. In other words, humans may well be the original source of the bugs, despite our predilection for blaming the 9 billion or so animals raised for food every year -- and their manure.

Regardless of its origin, debate abounds over just how much danger is posed by MRSA in meat. According to Liz Wagstrom, chief veterinarian for the National Pork Producers Council, that concern is minimal.

Gail Hansen, senior officer with the Pew Campaign on Human Health and Industrial Farming, added, "It's not clear what happens when MRSA is ingested." However, a lot is known about exposure through the blood stream, she said, which is the typical route of infection in the hospital and among livestock handlers such as Kremer.

Even if MRSA doesn't directly make you sick, it can share its lethal information with other bugs in your body, including those that are well-known to cause trouble when consumed, Hansen told HuffPost. Further, many of the resistance genes identified in the NADC study are not typically linked to the antibiotics used in the animals.

"Bacteria are promiscuous with their resistance genes," said Wallinga, highlighting a range of reservoirs of resistance, from manure lagoons to hog CAFOs to sewage treatment plants. "In general, it's not good to have these environments with a lot of bacteria and antibiotics."

Thad Stanton of the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who was involved in both the wild pig and NADC studies, added another wrinkle to the issue: The small physical size of the wild island pigs. "The world would starve if you had to raise feral pigs. We would have to bring in food imports from overseas where there is very little scrutiny," said Stanton. "We need to reach a balance between what is short-term expedient and long-term foolish."

The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issued a draft "Guidance on the Judicious Use of Medically Important Antimicrobial Drugs in Food Producing Animals" in 2010, which offers suggestions to the livestock industry on the prudent use of antibiotics in order to preserve the effectiveness of the drugs for the treatment of human disease. A final version has not yet been released.

Sponsored by Rep. Louise Slaughter (D-N.Y.), the only microbiologist in Congress, the Preservation of Antibiotics for Medical Treatment Act aims higher: the elimination of the non-therapeutic use of antibiotics in livestock. PAMTA was re-introduced in March 2011 after getting buried in Congress in 2007 and 2009.

"We know what to do, it's just a question of the leadership to get it done," Wallinga said.

Meanwhile, the market is spurring some change on its own. "The writing is on the wall," Wallinga told HuffPost. "The farmer that is the early adopter of antibiotic-free production is the farmer that is going to win the future market."

Kremer and the other farmers in his co-op provide pork to rising outlets including Chipotle, Applegate Farms and Whole Foods.

Of course, the consumer also has a major role to play in this line of defense. "'Antibiotic-free' doesn't necessarily mean that the meat is going to be free of antibiotic resistant pathogens," said Tara Smith, an epidemiologist at the University of Iowa College of Public Health and lead researcher on the MRSA study. "Safe handling practices are just as relevant for antibiotic-free raised meats and meats grown conventionally."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