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먹을거리8 생물다양성이 식량안보를 강화한다 몬산토의 부사장 Robert Fraley가 최근 기후변화의 영향에 대처하기 위해 GMO 종자를 제공하여 세계식량상의 수상자 가운데 한 명이 되고 몇 주 뒤, 몬산토는 자신의 유전자변형 "기후 대비" 종자의 판매가 급락하고 이윤이 감소했기 때문에 이번 분기에 2억6400만 달러의 손실을 봤다고 자체 .. 2014. 5. 6. 미국, St Joseph Mercy 병원의 농장 미국 미시간 주에 있는 St Joseph Mercy 병원의 농장 이야기... 정말 끝내주는구만! 미국의 저력은 이런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게 만든다. 유기농산물을 직접 재배하여 환자만이 아니라 지역민들도 건강한 먹을거리를 즐길 수 있게 했다. 병원텃밭, 병원의 품격을 높여줄 수 있으니 한국.. 2013. 7. 23. 먹을거리와 농업의 월마트화 한국과는 조금 양상이 다르지만, 대형마트가 특히 식품과 관련한 사업을 서서히 독점해 나아가는 건 미국이나 한국이나 크게 다르지 않다. 대형마트가 로컬푸드로 신선식품의 물가를 잡는다든지, 대형마트가 휴업을 하면 농민들이 죽어난다든지, 대형마트들이 자체적으로 유통센터를 건.. 2013. 7. 22. 다양한 지역주체의 어울림으로 만드는 상생의 길 20130717_134.pdf 1. 다양한 주체의 협력은 시대의 흐름 2. 도시-농촌의 협력 3. 지역 생산자 간 협력 4. 합천 지역먹거리운동의 의미와 시사점 2013. 7. 18. 중학생에게 들려주는 텃밭 이야기 요즘 하도 언론에서 떠들어서 도시농업이라는 말은 한 번쯤 들어보았을 겁니다. 도시농업은 무엇일까요? 네, 말 그대로 도시에서 농사짓자는 것이지요. 먼저 그 역사를 돌아볼까요. 내가 태어나기 위해서는 부모님이 있어야 하죠. 부모를 보면 그 자식이 보인다는 말이 있습니다. 마찬가.. 2013. 7. 11. 소규모 농장은 월마트의 지역 먹을거리에 대한 압력으로 혜택을 볼까 이마트, 롯데마트, 홈플러스... 이제는 누구나 알고 있는 대형마트들의 이름이다. 이 대형마트가 지닌 파괴력은 참으로 엄청나다. 유통체계를 근본부터 뒤흔들어 버렸다. 지금은 이마트 지수 등과 같은 지표가 경제활동을 판단하는 유용한 도구가 되고 있기도 하다. 이곳에서는 공산품부.. 2013. 2. 5. 이전 1 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