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hrases like “lessons from the past” or “learning from ancient history” are apt to make our eyes glaze over, and we flash to memories of boring history classes or droning TV documentaries.  But in the case of aquaculture, a little historical knowledge can be both entertaining and enlightening.

Fish farming is not new; it has been practiced for centuries in many cultures.  Ancient Chinese societies fed silkworm feces and nymphs to carp raised in ponds on silkworm farms, Egyptians farmed tilapia as part of their elaborate irrigation technology, and Hawaiians were able to farm a multitude of species such as milkfish, mullet, prawns, and crab. Archaeologists have also found evidence for aquaculture in Mayan society and in the traditions of some North American native communities.

The award for oldest records about fish farming goes to China, where we know it was happening as early as 3500 BCE, and by 1400 BCE we can find records of criminal prosecutions of fish thieves.  In 475 BCE, a self-taught fish entrepreneur (and government bureaucrat) named Fan-Li wrote the first known textbook on fish farming, including coverage of pond construction, broodstock selection and pond maintenance. Given their long experience with aquaculture, it’s no surprise that China continues to be, by far, the largest producer of aquacultural products.

The original ecological Great Wall in Qianxi, Hebei China. Photograph from iStock

The original ecological Great Wall in Qianxi, Hebei China. Photograph from iStock

In Europe, elite Romans cultivated fish on their large plantations, so that they could continue to enjoy a rich and varied diet when they were not in Rome. Fish like mullet and trout were kept in ponds called “stews.”  The stew pond concept continued into the Middle Ages in Europe, particularly as part of the rich agricultural traditions at monasteries, and in later years, in castle moats. Monastic aquaculture was devised, at least in part, to supplement declining stocks of wild fish, a historical theme that resonates dramatically today, as we confront the effects of declining wild fishstocks around the world.

Societies have often used aquaculture to adapt to growing populations, changing climate and cultural diffusion, in sophisticated and sustainable ways. Historical examples can inspire us to encourage aquaculture which is environmentally sustainable and which discourages the use of antibiotics and the destruction of wild sea populations.

For example, taro fishponds in the uplands of Hawaii were used to grow a wide range of salt-tolerant and freshwater fish, such as mullet, silver perch, Hawaiian gobies, prawns and green algae.  The ponds were fed by runoff streams from irrigation as well as hand-made estuaries connected to the nearby sea. They were highly productive, thanks to the replenishing water sources as well as mounds of hand-planted taro plants around the edges, which attracted insects for fish to eat.

Terraced taro field along the hillside of Kauai island. Photograph by YinYang, iStock

Terraced taro field along the hillside of Kauai island. Photograph from iStock

Hawaiians also created more elaborate brackish-water aquaculture techniques as well as seawater ponds to farm ocean fish.  Seawater ponds were created by the construction of a seawall, often made up of coral or lava rock.  Coralline algae gathered from the sea were used to strengthen the walls, as they act as a natural cement.  The seawater ponds contained all of the biota of the original reef environment and supported 22 species.  Innovative canals constructed with wood and fern grates allowed water from the sea, as well as very small fish, to pass through the wall of the canal into the pond.  The grates would prevent mature fish from returning to the sea while at the same time allowing smaller fish into the system.  Fish were harvested at the grates by hand or with nets during the spring, when they would attempt to return to the sea for spawning. The grates allowed ponds to be continually re-stocked with fish from the sea and cleaned of sewage and waste using natural water currents, with very little human involvement.

Ancient Egyptians devised a land-reclamation method around 2000 BCE which is still highly productive, reclaiming over 50,000ha of saline soils and supporting over 10,000 families.  During the spring, large ponds are constructed in saline soils and flooded with fresh water for two weeks.  The water is then drained and flooding is repeated.  After the second flooding is discarded, the ponds are filled with 30cm of water and stocked with mullet fingerlings caught in the sea.  Fish farmers regulate the salinity by adding water throughout the season and there is no need for fertilizer.  About 300-500kg/ha/year of fish are harvested from December through April.  Diffusion takes place where the low salinity standing water forces the higher salinity groundwater downward.  Each year after the spring harvest the soil is checked by inserting a eucalyptus twig into the pond’s soil.  If the twig dies the land is used again for aquaculture for another season; if the twig survives farmers know the soil has been reclaimed and is ready to support crops. This aquaculture method reclaims soil in a three to four year period, compared to 10-year periods required by other practices used in the region.

Chinese fish farming

Floating set of cage farms operated by the Yangjiang Cage Culture Association
Photograph by Mark J. Spalding

Some of the ancient aquaculture in China and Thailand took advantage of what is now referred to as integrated multi-trophic aquaculture (IMTA).  IMTA systems allow the uneaten feed and waste products of a desirable, marketable species, such as shrimp or finfish, to be recaptured and converted into fertilizer, feed and energy for farmed plants and other farm animals.  IMTA systems are not only economically efficient; they also mitigate some of the most difficult aspects of aquaculture, such as waste, environmental harm and overcrowding. In ancient China and Thailand, a single farm might raise multiple species, such as ducks, chickens, pigs and fish while taking advantage of anaerobic (without oxygen) digestion and waste recycling to produce thriving terrestrial husbandry and farming that in turn supported thriving aquaculture farms.

Lessons We Can Learn from Ancient Aquaculture Technology

  • Use plant-based feeds instead of wild fish;
  • Use integrated polyculture practices such as IMTA;
  • Reduce nitrogen and chemical pollution through multi-trophic aquaculture;
  • Reduce escapes of farmed fish to the wild;
  • Protect local habitats;
  • Tighten regulations and increase transparency;
  • Re-introduce time-honored shifting and rotating aquaculture/agriculture practices (Egyptian Model).



http://ocean.nationalgeographic.com/ocean/photos/oceans-galleries-main/

728x90
728x90

지속가능성은 생태계 보전, 사회복지, 경제적 탄력성, 좋은 통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지식과 개발에 대한 현재 상태에 따르면, 어떻게 유기농업이 이러한 각각의 지속가능성의 요소에 기여를 하는가? 


지속가능성은 우선 현재와 미래세대에게 재화와 서비스의 지속적인 제공을 보장하기 위한 환경 건전성과 동일시된다. 국제식품규격위원회에서 정의했듯이 유기농업은 "합성 비료, 농약, 유전자변형 생물의 사용을 피하고, 대기와 토양, 물의 오염을 최소화하며, 동식물과 인간의 상호의존적인 공동체의 건강과 생산성을 최적화하는 전체적인 생산관리 체계이다.


유기농업에서는 외부투입재를 제한하여 생태계 서비스를 이용하고 생산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지역의 조건에 적응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돌려짓기, 다양성과 작물/가축/수목의 통합, 가능한 범위에서 양분순환을 최적화하기 위한 물고기의 활용 등과 같은 주요한 유기적 전략이 포함된다. 또한 압박에 대한 체계의 탄력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지역의 토종을 활용하고, 천적을 늘리기 위해 생물학적 방제를 실시하며, 공생하는 질소고정과 바이오매스의 재활용을 증진하는 것도 포함된다.  


유기적 관리는 토지와 물에 대한 다음과 같은 몇 가지 긍정적 영향과 관련된다. 토양비옥도를 높임에 따라 생산성을 증진시킨다. 환경 압박에 대한 안정성을 높이도록 토양구조를 개선한다. 20~60% 정도 관개용수가 덜 필요할 정도로 토양수분을 잘 유지하고 물빠짐이 좋다. 수질오염과 지하수로 들어가는 질산염 침출이 덜하다. 바람과 물, 과잉방목에 의한 침식을 줄인다(현재 연간 1000만 헥타르의 농지가 비지속적인 농법에 의해 상실됨). 탄소 격리율을 높인다. 새로운 메타분석은 토양의 유기 탄소축적량이 유기농업의 경우 1헥타르당 3.5메트릭톤으로 더 높고, 유기농업은 토양유기물을 통해 연간 1헥타르당 450kg 더 많은 대기 탄소를 격리시킨다. 


전반적으로 유기농 농장의 에너지 사용은 생물학적 질소고정이 더 효율적이어서 관행농에 비해 1/3 정도 감소한다. 기존 연구들에서는 몇 가지 작물은 예외이지만, 유기농업의 경우 유럽에서는 10~70%, 미국에서는 29~37% 정도 더 적은 에너지를 사용한다고 보고한다. 이 문제의 핵심에는 화학농업이 1칼로리의 식량에너지를 생산하기 위해 2칼로리의 화석연료를 사용한다는 것이 놓여 있다. 이러한 에너지 저효율이 조만간 석유생산정점으로 농장의 투입재 가격을 상승시킬 값비싼 유가로 인해 악화될 것이다. 에너지 문제는 앞으로 식량 문제에 직면하기 위해 유기농업과 같은 패러다임에 더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패널의 제4차 평가보고서의 농업에 대한 권고사항에서, 유기적 관리는 돌려짓기와 농업체계의 설계, 영양과 거름의 관리, 가축 관리, 초지와 사료의 공급 개선, 비옥한 토양의 유지와 악화된 농지의 복원과 같은 고유한 방법을 통해 기후변화를 해결한다고 평가한다.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기 위해 미국과 유럽연합이 규정으로 유기농업에 부과한 요구사항은 다음과 같다. 질소비료의 사용을 자제하는 것으로 농업 부문의 배출량을 10% 줄인다. 사육장에서 집약적으로 동물을 사육하는 것을 금지하고, 동물/토지의 비율을 적절히 하여 메탄과 아산화질소의 배출을 막는다. 권장하는 영양관리가 질소산화물을 덜 배출시키고, 토양의 탄소격리율을 더 높인다. 또한 세계 유기농업운동연맹(IFOAM)은 산림파괴(세계 온실가스 배출의 12%를 담당함)를 방지하고자 개간의 금지를 권고한다. 일반적으로 유기농업에서 배출되는 온실가스는 늘 관행농업보다 낮다. 


기존의 제품 1kg당 온실가스 배출량에 대한 제품주기분석(LCA) 연구들에서는 유기농산물과 우유가 관행농산물보다 더 낫고, 유기농 육류와 달걀 생산은 늘 그렇지는 않다는 것이 밝혀졌다. 가장 중요한 것은 유기적으로 관리된 토양이 그렇지 않은 토양보다 토양유기물 함량(SOC)만이 아니라 탄소 축적량도 더 많다는 점이다. SOC의 양은 탄소격리의 잠재력을 평가하는 핵심으로, 유기농의 토양은 콩과식물의 섞어짓기와 지렁이가 깊이 구멍을 파는 덕에 보통 80cm 깊이까지 토양유기물 함량이 높다. 세계적으로 여러 유기농법의 장점(즉, 질소비료를 사용하지 않아 아산화질소의 배출을 줄이고, 토양에 탄소를 격리)은 5.1~6.1기가톤에 해당하는 온실가스를 감소시키는 잠재력이 있다는 것이다. 


기후변화의 적응에 관해서, 유기적 관리는 일반적으로 위험분할전략으로 채택하는 다각화를 통한 예방적인 방법을 취한다. 사실 다각화된 농장은 변화하는 농업생태계에 가장 잘 적응하는 연속적인 자연단계를 거친다. 옮기며 방목하기와 유기적 초지 관리는 기후변화의 완화를 위한 엄청난 잠재력이 있다. 유기농 농장에서 공간과 시간의 통합(예를 들어, 혼농임업과 생울타리, 순환, 울타리)은 농업생태계의 기후를 교정하는 친환경적 기능을 한다(나무를 이용하여 방품림을 삼거나 서리 피해를 막는 등의 효과를 노릴 수 있는데, 이 과정이 공간과 시간을 통합하는 것으로 보임. 실제로 사이짓기의 경우 주작물이 자라고 있는 동안 부작물을 심는데, '사이'에는 주작물의 공간 사이만이 아니라, 주작물과 부작물의 순환이 일어나는 시간적인 사이의 의미도 지니고 있다;역주). 


지속가능성은 세대 사이의 공정함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유기농업이 사회복지에 기여하는 주요한 점은 훼손을 피함으로써 건강한 공동체를 개발하는 것이다. 훼손을 피하는 범위는 화학농업과 관련하여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경작할 수 있는 토양의 손실, 수질오염, 생물다양성의 침식, 온실가스 배출, 식품 안전성에 대한 공포만이 아니라, 연간 300만에 이르는 농약중독자와 투입재로 인한 부채로 자살하는 22만에 달하는 농민들(예를 들어 인도 마하라슈트라 주에서는 1997~2005년 3만 명이 죽음)까지이다. 


건강에 관해서, 유기농 식품은 일반적으로 10~60% 더 건강한 지방산을 함유하고, 유기농 유제품은 보통 오메가3 지방산이 더 많으며, 유기농산물은 비타민C가 5~90% 2차 대사물질이 0~50% 더 많은 경향이 있다. 유기농 식품은 일반적으로 건물량과 미네랄 함량이 더 높고, 유기농 음식은 아이와 동물에게 더 많은 면역력을 가지도록 해 알러지를 줄이는 것과 연관되는 것 같다. 과학적 증거가 늘어나고 있지만 아직 확립되지는 않았는데, 유기농 음식이 암세포의 증식을 줄이는 것 같다. 


유기농업은 농촌 지역에 30% 더 많은 고용을 발생시키고, 노동은 노동력 투입단위당 더 높은 수익을 달성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지역의 자원을 더 잘 활용함으로써 유기농업은 이중 혜택을 제공한다. 소농이 쉽게 시장에 접근하도록 함으로써 소득 생성을 촉진하며, 시장에서 소외된 지역, 특히 가난하고 굶주리는 곳의 식량 생산을 지역화한다. 유기농업의 경제적 성과는 다음에 따라 달라진다. 이전 관행농업의 강도, 유기농민의 경제적 배경과 기술, 저투입 농업에 사용하는 품종의 적합성이 그것이다. 일반적으로 유기농업의 수확량은 선진국의 고투입농업에 비해 20% 정도 적은데, 건조/반건조 지역에서는 저투입농업에 비해 180%까지 더 높을 수도 있다. 습한 지역에서 논벼의 수확량은 동일한 반면, 혼농임업이 추가로 농산물을 제공하지만 여러해살이의 경우 주요 작물의 생산성은 감소한다.  


농장의 수익성은 다음에 따라 달라진다. 시장 참여의 기회와 투입재/생산물의 가격, 농업정책에 대한 정부의 지원, 주로 농민의 관리능력이 그것이다. 다양한 유기농의 생산비용은 관행농업의 생산비용보다 훨씬 낮다. 곡물과 콩 종류는 50~60% 정도, 젖소는 20~25%, 원예작물은 10~20% 정도 더 낮다. 이는 합성 투입재를 덜 쓰고, 관개용수 비용이 덜 들며, 가족노동과 고용노동을 모두 포함해 노동비용이 적게 들기 때문이다. 그러나 전반적인 비용은 관행농업보다 약간 낮은 수준인데, 전환기(예를 들어, 새로 과수원이나 축사를 시작)와 인증 과정으로 새로운 투자가 늘어나 고정비용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가격 프리미엄과 관련하여 유기농업의 낮은 생산비용은 일반적으로 감소된 수확량을 보상하고, 개발도상국이나 선진국에서 모두 관행농업보다 더 높거나 비슷한 순수익을 올린다. 프리미엄이 없어도 유기농업은 규모의 경제와 함께 경제적으로 더 이로울 수 있고, 수확 이후와 인증과 관련한 비용이 더 많은 양과 함께 줄어들기 때문에 프리미엄이 덜 필요해진다.


좋은 통치는 유기농 표시제를 통해 투명성과 이력추적을 가능하게 하여 유기농업에 도움이 된다. 유기농에 대한 법적 보호는 농민들의 공정한 경쟁만이 아니라 소비자의 보호와 선택권도 보장한다. 이를 준수하면 때로는 환경과 사회적 표준을 보장하기도 한다. 표준 정의부터 표시제까지 소농에게 매우 까다로운 시장에 통합되어 있는 식량체계는 참여와 관-민 협력의 필요성에 기반을 두고 있다. 마지막으로, 음식문화의 다양성과 전통지식이 유기농업에 의해 안전하게 보호된다. 




http://www.fao.org/docrep/018/aq537e/aq537e.pdf?utm_source=twitter&utm_medium=social%20media&utm_campaign=faoknowledge


728x90

'농담 > 농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닭과 함께 농사짓기  (0) 2013.07.08
인도의 벼농사: 계절풍의 막바지  (0) 2013.07.08
네팔의 벼농사를 훑어볼까  (0) 2013.07.07
베트남 중부 고원의 소 사육 농민  (0) 2013.07.07
우간다 파인애플 농사  (0) 2013.07.07
728x90




“우린 2050년까지 90억의 사람들을 먹여살려야 한다”는 말은 식량산업의 대표들이 생산과 지속가능성의 궁극적 목표로 드는 일반적인 후렴이다. 유감스럽게도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현행 방식은 경제적, 생태적, 사회적 측면에서 지속가능하지 않다. 


오늘날의 투자된 돈은 소비의 증가가 경제성장의 핵심이라는 믿음에 기반한 놀라울 정도로 근시안적인 사업 모델로 가고 있다. 그러나 모두가 알고 있듯이 지구의 자연자원은 유한하며,  우리가 그걸 보충하는 속도보다 더 빨리 고갈되고 있다. 따라서 우리는 “더 많은 소비”에서 “더 나은 소비” 모델로 전환해야 한다.  우리는 증가하는 인구를 위한 식량을 생산할 때 생태계에 탄력성과 재생성을 구축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미래를 대비한 전략이 필요하다. 


투자를 재검토하고 새로운 해결책을 개발함으로써, 2050년 이후로도 90억을 위한 충분한 식량뿐만 아니라 깨끗한 물과 비옥한 토양, 풍부한 생물다양성을 제공하는 지구 및 더 건강한 소비자와 강한 공동체를 보장할 것이다. 



농업의 진화


지난 몇 십 년 동안 농업 체계는 엄청나게 바뀌었다. 2차대전 이후 농업 부문은 처음으로 널리 사용된 농약의 하나인 DDT와 함께 화학혁명이 일어났다. 많은 농민들이 원치 않는 해충이나 풀을 제어하는 방법으로 그것을 받아들였는데, 그 비용은 인간과 야생생물들이 부담했다. 1960년대 농약은 신경계와 간 손상, 유방암, 유산, 발달지연과 남성 불임 등으로 이어졌다.


미국에서는 DDT가 현재 금지되었지만, 다른 화학물질이 그와 유사한 우려가 있다. 세계적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몬산토의 라운드업 제초제의 활성성분인 글리포세이트는 선천적 결손증과 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유럽 농경제학 저널(European Journal of Agronomy)에 2009년 발표된 논문은 그 성분이 질병에 더 취약하게 하고 궁극적으로 수확량이 감소하도록 만드는, 식물의 방어 메커니즘을 손상시킨다는 것을 밝혔다.


미국의 농장 규모는 농지를 통합하고 대규모 단작을 행하도록 도운 1970년대 연방 정책 탓에 증가했다. 경제연구 서비스의 보고서에 따르면, 2007년 기준으로 12만 평 이상인 농장이 현재 미국 농지의 60% 이상이며, 미국의 모든 농산물 가치의 40% 이상을 차지한다. 농장 규모는 본질적인 문제가 아니지만, 농장을 관리하는 방법에 영향을 준다. 지속적인 독성 화학물질 사용은 인간의 건강과 환경에 비용을 부담시키고, 획일성은 체계에 취약점을 만든다. 


가장 최근의 농업 개발은 유전공학에 집중되어 있다.  유전자변형 작물(보통 GMO라고 함)이 상업적으로 재배된 지 20년 가까이 됐는데, 주로 두 가지 특성을 추가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풀을 죽이기 위해 치는 제초제에도 살아남도록 하는 제초제 저항성과 독성을 내장해 농민이 더 적은 살충제를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된 해충 저항성이 그것이다. 옥수수, 콩, 카놀라, 목화 같은 작물에 더 적은 화학물질을 사용하도록 설계되었지만, 2012년 유럽 환경과학Environmental Sciences에 발표된 1996~2011년 살충제 사용에 대한  연구에 따르면 두 가지 특성이 실제로는 미국에서 농약 사용이 18억1436만 톤 증가하도록 만들었다.


더 복잡한 문제는 “슈퍼잡초”가 진화하며 자연이 화학물질의 살포에 적응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증거들이다. 이 풀들은 화학물질 저항성이 있다. 현재 24종의 풀이 글리포세이트 에 저항성이 있다. 이는 농민들이 풀과 싸우기 위해서 더 많은 —또는 더 독한— 농약을 사용해야 한다는 것이다(역주; 이는 비단 유전자변형 작물의 재배지역에서만 나타나는 문제가 아니라, 산업화된 대규모 농경지에서 제초제 의존도가 높아질수록 어디에서나 나타나는 문제임). 이를 통해 인간에게 위험하다고 알려진 위험요소가 생산되고, 흙과 물이 오염되어 결국 농민에게 도움이 되지 않는다. 


마지막으로, 우려하는 과학자연합이 수행한 연구에서는 제초제 저항성 유전자변형 옥수수나 콩이 미국에서 고유 수확량 —현장에서 농사지을 때 발생하는— 을 증가시키지 못했다는 것을 밝혔다. 단 독성이 내장된 특성의 옥수수만 수확량이 1996~2009년까지 1년에 약 0.2~0.3% 정도 완만하게 증가했음이 나타났다. 전통적 품종의 수확량 증가와 비교하여 –옥수수 수확량은 지난 몇 십년 동안 매년 평균 1%씩 증가했음–  GMO 작물의 영향은 기껏해야 완만한 편이다.


이렇게 이야기해도 이것이 투자에 반향되지 않는다. 최신 성과에 바탕하여, 우리는 GMO라는 특별한 상자에서 벗어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도구에 투자해야 한다.  



더 나은 길을 향하여


증가하는 인구를 지속가능하게 먹여살리기 위하여, 식량 관계자들은 체계를 재고하고 더 지속가능한 미래에 대한 투자를 가속화해야 한다. 혁신은 이미 나와 있다. 그것을 이제 전 세계에 걸쳐 다듬고 퍼뜨려야 한다. 그리고 2050년까지 90억을 먹여살리기 위하여 이러한 혁신에 투자해야 할 기업은 하나가 아니다. 오히려 우리의 자원을 투자할 곳은 금융 부문, 식량 부문, 정부, 비영리단체 또는 단순히 먹는 사람인 우리 자신 등 모든 곳이다.  


개별 부문만 보고 문제를 이해할 수 없기에 큰 그림을 그리며 더 넓은 쪽으로 이동함으로써 이를 수행할 수 있다. 각 부분이 어떻게 상호작용을 하며 서로 영향을 주는지 이해해야 한다. 자연주의자 John Muir의 유명한 말처럼, “우리가 스스로 무엇을 선택하려고 할 때, 우린 우주의 모든 것이 얽혀 있음을 발견한다.”


아래에서는 이 복잡한 연결망의 모든 측면에서 식량체계에 관하여 어떻게 다르게 생각하기 시작할지 알아보자. 



다시 생각하기: 어떻게 농사지을까


농업은 우리 식량체계의 근본이기에 여기에서 시작하는 것은 중요하다.  우린 식량생산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활기찬 농촌사회를 만들고 건강한 생태계를 보호하는 혁신이 필요하다.


농생태학에 투자하자 — 많은 농민들이 작물을 재배하기 위해 화학물질에 크게 의존하는 반면, 일부 농민들은 농생태학의 방법을 통하여 생산성과 생태계의 건강 사이의 균형을 이루는 방법을 찾고 있다. 농생태학은 자연생태계의 구조와 기능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농경지를 관리하기 위한 과학적 방법이다.


Kenneth Miller 씨는 토양의 건강을 위해 덮개작물과 가축을 농생태학의 방법을 사용하는 노스다코타의 농민이다.  다른 이웃들과 달리 Miller 씨는 자신의 농지를 관리할 수 있는 구역으로 나누어, 가축을 풀어넣고 스스로 “덮개작물의 짬뽕”이라 부르는 것을 고안했다. 덮개작물의 짬뽕은 다양한데, 그 목적은 하나의 곡물을 생산한 뒤에 토양의 미생물과 물리적 기능을 회복시키고 다양성을 확보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여러 가지 식물의 종과 유형을 포함시키는 것이다. Miller 씨는 지속가능한 농지의 중요한 요소로 토양 유기물을 만들고 있다. 또한 그는 비용을 줄이면서 작물의 수확량을 높여, 그 결과 수익성이 좋아지고 있다. 


농화학물질을 신중하게 적용하자 — 농생태학을 실천하는 농민이라도 여전히 농화학물질의 사용을 원할 수 있다. 하지만 그것은 첫 번째 조치가 아니라 최후의 수단으로 적용해야 한다. 나는 땅속 10m까지 뿌리를 뻗으며 30년 동안 살면서 농지를 황폐하게 만들곤 하는 무시무시한 풀과 덩굴에 맞서고 있는 농민들을 알고 있다. 이러한 농민들 가운데 일부는 제초제를 사용하지만, 그 다음해에는 비화학적 방식으로 덩굴과 맞서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Mark Bittman 씨가 뉴욕타임즈의 2012년 기사에서 소개한 아이오와 주립대학의 Marsden 농장의 연구는 가축 관리를 통합시키는 것과 함께 옥수수와 콩, 귀리, 자주개자리를 포함시킨 4년 주기의 돌려짓기를 행한다. 이 방법은 옥수수와 콩, 또는 옥수수와 콩, 귀리만 돌려짓기하는 것보다 수확량이 더 높았다. 연구에서는 질소비료와 제초제 사용이 88% 이상 감소하고 토양의 독성이 200배 줄어든 한편, 수익은 예전과 똑같았다(역주; 여기를 참조). 다시 말하지만, 농생태학 원리를 실천한 또 다른 사례인 것이다.


오염물질에서 멀어지고 농민을 더 잘 지원하기 위하여, 농화학 기업들은 비독성이고 잔류하지 않는 제품의 혁신에 투자하도록 전환해야 한다. 또한 과도한 폐기물과 오염을 제거하는 생물에 기반한 해결책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그뿐만 아니라 우리는 토양에 무엇을 어떠한 비율로 넣어야 할지 정확하게 측정해야 한다. 현재 우리에겐 농약(활성, 비활성 성분)을 추적하고 토양에 얼마나 오래 잔류하는지에 대해 종합적이고 공개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자료가 없다. 이를 만들어야만 한다.  더 중요한 것은 이러한 화학물질이 어떻게 장기간에 걸쳐 환경과 인간, 동물 등에 영향을 미치는지 독립적인 연구를 수행해야 한다는 것이다.  


농부의 지식망을 개발하자 — 농민과 공개 연구를 통한 혁신과 정보를 공유하는 것이 중요하다. 농업의 전환은 지식망에 의해 지원받아야 한다. 소프트웨어 개발자들이 “오픈소스”의 공유 코드를 사용하여 비약적으로 혁신한 것처럼, 농민은 특정 환경과 지리 조건에서 어떠한 작물에 대한 정보에 접근할 수 있다면 훨씬 빠른 속도로 혁신할 것이다. 


일부 진취적인 농민들은 이미 이 길로 가고 있다. 1999년 북부 평원의 지속가능한 농업협회(Northern Plains Sustainable Agriculture Society)에 가입된 농민단체가 농장 육종동호회(Farm Breeding Club)를 형성했다. 그들의 목표는 씨앗 저장 및 작물 육종을 위한 지식과 물량을 공유하는 것이었다. 농장 육종동호회는 농민들이 식물 육종 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직접적으로 정보를 제공한다. 오늘날 감자와 귀리, 단옥수수를 포함하여 농민이 육종한 13가지의 작물을 보유하고 있다.



다시 생각하기: 어떻게 식량을 운송할까


농사 다음으로, 식량을 어떻게 밥상까지 이동시킬지 다시 생각해야 한다. 각 단계별로 이를 개선하기 위한 충분한 여지가 있다. 


더 지역화된 체계로 전환하자 — 전문가들은 굶주린 사람들을 먹여살리는 일은 생산의 문제가 아니라 분배의 문제라고 오랫동안 주장해 왔다.  2012년 5월의 보고서에서 유엔 식량농업기구는 농업 생산성이 2050년까지 60% 증가하더라도 식량을 이용하지 못하여 3억 명의 사람들이 여전히 굶주릴 것임을 밝혔다. 


지역화는 수출을 뺄 필요성이 없다. 어쨌든 대부분의 농업은 자연—가뭄, 우박, 장마 등— 에 반응하여, 생산 수확량이 계절에 따라 달라진다. 그러나 좀 더 지역적인 체계로 전환함으로써 농민들은 자신의 지역 시장에 의존해야 할 것이다. 세계의 농업을 지역화함으로써 지역사회는 자급하며 수입에 덜 의존할 수 있다. 지역은 생태적 차원에 기반하여 정의되어야 한다. 그것은 근처의 인구를 먹여살리기 위해 필요한 조건 및 물과 토지 자원 같은 생태적 조건을 고려한 지리적 영역이다.


쓰레기를 줄이자 FAO에 따르면, 해마다 세계에서 생산된 식량의 1/3이 농장과 밥상 사이의 어느 곳에선가 폐기된다. 이는 13억 메트릭톤의 식량이다. 미국에서 쓰레기의 비율은 40%이다. 전국 자원보호위원회(National Resources Defense Council)의  2012년 8월의 보고서에 따르면, 총 미국의 식량 손실이 15%만 줄어도 2500만 명 이상의 미국인이 해마다 먹고살 수 있다고 한다.


손실이 발생하는 곳을 날카롭게 바라보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첫 걸음을 뗄 수 있다. 부유한 국가들에서는 가정의 음식물쓰레기를 줄이고, 퇴비화에 대한 장려금을 지급하며, 수확 후 관리와 저장을 개선하고, 흠이 있는 과일과 채소 등의 못난이 농산물을 취급하는 시장을 만드는 등 소비자의 의식을 제고할 수 있다. 저소득 국가에서는 수확 기술의 개선과 저비용의 저장법, 저온저장시설 등이 상하는 식량을 줄일 수 있게 한다. 손실이 발생하는 곳이라면 어디든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힘써야 한다. 이와 같은 손실은 아무도 하지 않으려는 행동이겠지만 돈을 내버리는 것과 같다. 


노동자의 지위를 향상시키자 — 식량을 농장에서 소비자에게 어떻게 운송할지를 다시 생각하는 데에는 노동자의 활동에 대한 새로운 인식이 필요하다. Daniel Pink 씨는 자신의 책<Drive>에서 사람들에게 동기를 부여하는 것에 대한 40년 동안의 과학적 연구를 서술한다. 거기에서는 숙련도, 자율성, 목표라는 세 가지 요소를 강조한다. 기존의 보상과 보수가 여전히 역할을 하고 있지만, 이러한 무형의 요소들이 높은 성과와 혁신을 가져오는 열쇠이다. 그리고 혁신은 자신의 일이 최고라고 생각하는 현장의 노동자에게서 나온다. 


캘리포니아 우드랜드에 있는 Morning Star 기업은 미국에서 해마다 25~30%의 토마토를 가공하는 세계의 가장 큰 토마토 가공업체이다. 이곳은 아무도 직급이나 계급이 없고 노동자들이 협력을 통해 목표를 달성하도록 권한을 부여하는 사업 모델을 만들었다. 그 기업의 한 사람이 말하기를, “아무도 당신의 상사가 아니라 모두가 당신의 상사이다.” 이 모델은 주체성, 전문성, 융통성, 성실성을 포함하여 많은 장점을 가져왔다. 



다시 생각하기: 어떻게 먹을까


식량체계를 바꾸는 것에 관한 이야기에서 소비자의 역할을 말하지 않을 수 없다. 우리의 식습관이 쉽게 바뀌지는 않지만, 우리가 먹는 것과 땅이 연결되어 있다고 자각해야 한다. Wendell Berry 선생의 말을 인용하면, “먹는다는 것이 농사이다.”


고기는 덜 먹되 더 좋은 걸 먹자 — 미국인은 세계 인구의 4.5%를 차지하지만, 세계에서 생산되는 육류의 약 15%를 먹는다. 미국 농무부의 자료에 따르면, 이는 1인당 1년에 77kg에 해당한다(역주; 한국의 경우 1년에 1인당 44kg을 소비함). 이 동물의 대부분이 곡물을 소비하고, 그 결과 많은 농지가 이들을 먹여살리기 위해 활용된다. 사실 세계의 곡식 생산의 1/3이 동물의 사료가 된다. 


고기는 건강한 식단의 일부가 될 수 있지만, 너무 지나치면 고콜레스테롤과 심장병 같은 건강에 문제를 일으킨다. 그리고 동물이 환경을 오염시키는 방식으로 사육되면서 이 문제를 악화시킨다. 예를 들어 밀폐된 시설의 가축 분뇨는 물과 토양으로 흘러갈 수 있고, 심각한 농도의 온실가스를 방출한다.


그 대신 동물을 생산 체계에 도움이 되도록 사육할 수 있다. 그들은 효율적인 초식동물이며 작물 돌려짓기에 꼭 필요한 존재가 될 수 있다. 밀폐된 축사 대신 초지에 동물을 풀어놓아 그들의 숫자를 줄일 수 있고, 그들은 더 넓은 공간에서 자라며 항상제를 일상적으로 필요로 하지 않아도 되고, 더 많은 농지가 사람들을 먹여살리는 데에 직접적으로 활용될 것이다. 따라서 우리는 고기를 적게 먹는 간단한 선택을 통해 여러 장점을 기대할 수 있다.


먹을거리 교육을 하자 — 좋은 먹을거리를 먹는 것이 새로운 식습관을 개발하는 일의 하나이다. 우리는 그것이 어떻게 만들어진 것인지 알아야 한다. 먹을거리를 어떻게 기르는지 가르치고, 요리법을 알려주며, 미각을 훈련시킴으로써 식량체계를 확 바꿀 수가 있다. 한정된 자원을 가진 지역사회에 공공서비스를 제공하는 Food Corps이란 전국적인 단체는 아이들을 위한 먹을거리 교육을 시작하여 그것이 어디에서 온 것인지 알려주었다. 불과 몇 년 만에 이 단체는 2만9천 명 이상의 아이들에게서 변화를 끌어냈다.


식품기업은 마카로니와 치즈 같은 가공식품과 함께 찐 브로콜리 같은 자연 식품을 제공하거나 학교와 지역사회에서 이루어지는 먹을거리 교육을 지원함으로써 이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다.  결국, 무엇이 우리 후속세대의 건강에 더 지대한 영향을 미칠 것인가? 



더 나은 미래를 위하여


늘어나는 인구를 먹여살리기 위하여 식량과 관계된 집단은 더 지속가능한 식량체계에 대한 투자를 가속화해야 한다. 혁신은 이미 이용할 수 있으며, 지금은 이에 대해 투자하고 다듬어야 할 때이다. 체계의 변화 하나의 기업이나 정부, 개인으로부터 오지 않는다. 모두가 참여해야 한다. 여러 요소를 고려해야 하는가? 물론이다. 이는 복잡한 해결책을 지닌 복잡한 문제이다. 몇 년 안에 이를 수 있는가? 힘들다. 하지만 2050년까지 90억 명을 먹여살리는 지속가능한 길을 찾기 위하여 패러다임의 전환이 필요하다는 것을 일깨워야 한다. 이 지구상의 사람들과 우리가 의존하는 자연자원은 직선으로 나아갈 여유가 없다. 그 대신 우린 체계를 다시 생각해야 한다. 



http://ensia.com/voices/food-rethought/?viewAll=1


728x90
728x90


2013년 4월18일, 영국 서퍽에 있는 농지에서 바람으로 일어나는 토양침식의 모습.  사진: Alamy



새로운 보고서는 증가하는 세계 인구를 먹여살리려면 앞으로 40년 동안 식량 생산을 2배 이상으로 늘려야 할 것이라 한다. 그러나 세계의 식량 수요는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으며, 여러 위기로 인한 제약이 늘어나고 있는 상황에 직면한 지구의 식량 생산력으로는 수십 억 명이 기아에 빠질 수 있다. 

유엔은 세계의 인구가 이번 세기 중반까지 현재 70억에서 93억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한다. 지난주 세계자원연구소(WRI)에서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이렇게 늘어난 인구를 위해 적절한 식사를 보장하려면 "이용할 수 있는 세계의 식품 열량이 2006년 수준에서 약 60%까지 늘어나야 할 것이다." 현재 식량 손실과 폐기 비율을 감안하면, 2050년 평균 일일 음식 요구량과 이용할 수 있는 식량 사이의 차이는 약 "1인당 하루 900칼로리(kcal) 이상이 될 것이다."

보고서는 이 과제의 뿌리에 복잡하고 상호연결된 환경적 요인들이 놓여 있음을 확인한다. 그중 대부분이 공업형 농업 자체에서 발생한다. 온실가스 배출의 약 24%가 농업에서 발생한다. 거기에는 가축이 배출하는 메탄, 화학비료에서 오는 아산화질소, 농기계와 화학비료의 생산 및 토지 이용의 변화로 인해 발생하는 이산화탄소가 포함된다.

보고서에서는 공업형 농업이 기후변화의 주요 공헌자임을 밝힌다. 그 결과 더 집중적인 "폭염과 홍수, 강수 주기의 변화" 등이 발생해 "세계의 작물 수확량에 부정적 결과는 불러온다."

실제로, 세계의 농업은 모든 담수 사용의 79%를 차지할 정도로 물을 매우 집약적으로 이용한다. 농지에서 일어나는 양분의 유실은 "죽음의 구역"을 만들고, "세계 연안의 수역을 악화시키며", 기후변화는 작물 재배 지역에 계속해서 물 부족 현상을 강화시켜 식량 생산에 어려움이 닥칠 것이다. 

보고서는 또 다른 관련 요인들에 대해서도 경고한다. 지역적인 건조와 온난화로 인한 산림파괴, 연안 지역의 농경지에 영향을 미치는 해수면 상승, 늘어나는 인구로 인한 물 수요의 증가가 그것이다. 

하지만 보고서에서는 근본적인 문제가 토지에 대한 인간 활동의 영향이라고 지적하며, 이렇게 추정한다. 

"... 토양 황폐화는 세계의 작물 재배 지역 가운데 약 20%에 영향을 미친다."

지난 40년에 걸쳐, 약 20억 헥타르의 토양 -지구 면적의 15%에 해당(미국과 멕시코를 합친 것보다 큰 지역) - 이 인간 활동을 통해 황폐해졌고, 세계 농경지의 약 30%는 비생산적인 땅이 되었다. 그런데 침식으로 상실된 1mm의 겉흙이 만들어지려면 평균 100년이란 시간이 걸린다.

그러므로 사실상 토양은 재생불가능한, 급속하게 고갈되고 있는 자원이다. 

시간이 다 되어가고 있다. 보고서에서는 보수적으로 봐도 12년 안에 북남미, 동서 아프리카, 유럽 중부, 러시아만이 아니라 중동과 동남아시아 등 주요 식량 생산지역에서 심각한 물 부족으로 난리가 날 것이라고 추정한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보고서에서는 또 다른 중요한 요인을 간과하고 있다. 그것은 석유와 식량 사이의 뗄 수 없는 관계이다. 지난 10년 동안 식량과 연료의 가격은 밀접한 상관관계를 지녔다. 이는 우연이 아니다.

지난주 다섯 가지 농상품 -옥수수, 밀, 쌀, 콩, 팜유-를 조사한 세계은행의 새로운 보고서는 석유 가격의 상승이 식량 가격이 상승하는 데 가장 큰 기여를 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회귀분석을 통해 특정 요인의 영향을 조사하고자 설계된 대수를 기반으로 하는 그 보고서는, 소비 수준이나 농상품 투기에 비례하여 이용할 수 있는 세계의 식량 재고량보다 석유 가격이 훨씬 더 중요하다고 결론을 내렸다. 따라서 세계은행은 식량 가격의 인플레이션을 잡는 핵심으로 석유 가격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것이 좋다고 권고한다. 

석유와 식량 가격의 연결은 전혀 놀라운 일이 아니다. 미시간 대학의 연구는 산업화된 식량체계의 모든 주요 지점 -화학비료, 농약, 농기계, 식품가공, 포장, 운송- 이 석유와 가스 투입재에 매우 의존한다고 지적한다. 실제로 미국 경제를 지탱하는 화석연료의 19%가 식량체계로 가는데, 이는 자동차에 이어 두 번째이다.

1940년으로 돌아가면, 화석연료 에너지 1칼로리에 식량 에너지 2.3칼로리가 생산되었다. 현재 그 상황은 역전되었다. 1칼로리의 식량 에너지를 생산하기 위해 화석연료 에너지 10칼로리가 들어간다. 운동가이자 작가인 Michael Pollan 씨는 뉴욕타임스에서 이렇게 말했다.

"다르게 표현하면, 우리가 산업화된 식량체계를 통해 무언가를 먹을 때 우린 석유를 먹고 온실가스를 분출하고 있는 셈이다."

그러나 현재 고유가의 상태에 머물러 있다. 올해 영국 국방부의 평가에 따르면, 앞으로 30년 안에 1배럴에 500달러까지 오를 수 있다.

이러한 모든 요소가 점점 자멸적이게 되는 공업형 식량체계와 멈춤없이 증가하고 있는 세계 인구 사이의 수렴점으로 빠르게 접근하고 있다.

그런데 그 수렴점은 꿀벌의 치명적인 감소와 같은 예측하지 못한 일로 훨씬 빨리 올 수도 있다.

지난 10년에 걸쳐, 미국과 유럽의 양봉업자들은 연간 30% 이상의 벌떼가 사라지고 있다고 보고해 왔다. 그런데 지난 겨울 많은 미국의 양봉업자들은 40~50% 이상 사라지는 일을 경험했다. 일부 보고에서는 80~90%라고 한다. 전 세계에서 먹는 식량의 1/3이 수분매개체, 특히 꿀벌에 의존한다는 것을 감안할 때 이 현상이 세계의 농업에 미칠 영향은 치명적일 수 있다.  여러 연구에서는 농약, 기생진드기, 질병, 영양, 집약적 농법, 도시 개발 등 공업형 방식에 필수적인 요소들을 비판하고 있다.

그러나 특히 오랫동안 널리 사용된 살충제를 지목하고 있는 증거들이 있다. 예를 들어 유럽 식품안전청(EFSA)은 영국 정부의 유감에도  네오니코티노이드의 역할을 강조하여, 유럽연합에서 세 가지 일반적 살충제를 부분적으로 금지하는 것을 정당화하고 있다. 

현재 그에 대해 지난주 최신 과학적 경고가 발표되어, 유럽 식품안전청은 꿀벌에게 "매우 심각한 위험"을 가하는 또 다른 살충제인 피프로닐fipronil에 주목한다. 또한 연구에서는 수분매개체에 대한 위험을 포괄적으로 평가하는 것을 금지하고 있는 과학적 연구의 큰 정보격차를 지적했다. 

즉, 세계의 식량 상태는 이미 우리를 타격하고 있으며 앞으로 긴급조치가 없으면 더 심해질 위기와 긴밀히 연관된 최악의 상황에 직면해 있다.

그에 대한 답이 없는 것은 아니다. 지난해 과학자인 John Beddington 경 -17년 안에 식량과 물, 에너지 부족이란 최악의 상황에 대해 경고했던- 이 의장을 맡았던 지속가능한 농업과 기후변화에 대한 위원회는 더욱 지속가능한 농업으로 변화하도록 일곱 가지 구체적이고증거에 기반한 권고사항을 설정했다.

그러나 지금까지 정부는 그와 같은 경고를 무시해 왔다. 최근 리즈 대학의 연구는 아시아, 특히 인도와 중국, 파키스탄, 터키에서 앞으로 10년 안에 기후로 인한 심각한 가뭄이 옥수수와 밀 생산량을 엄청나게 저해하여 세계의 식량위기를 촉발할 것이라는 것을 밝혔다. 

토양침식, 토양 악화, 석유 가격, 벌의 군집붕괴, 인구 성장이란 요소가 갖는 의미는 극명하다. 산업문명은 잠식되고 있다. 방향을 바꾸지 않는다면, 앞으로 10년 안에 세계의 식량 종말을 시작으로 역사에서 침몰할 것이다. 


728x90
728x90

건강한 농장의 이로움에 대한 설명... 가장 아래 링크로 들어가 화면을 보세요.



풍부한 수확: 건강한 농장은 사업이 번성한다. 연구에 따르면, 농민은 이윤이나 생산성을 희생하지 않고서 건강한 농법을 적용할 수 있다. 


농업노동자: 노동자가 농약이나 독성물질에 노출되는 일이 줄어드는 외에, 진정으로 건강한 농장은 농업노동자에게 공정한 임금과 노동조건을 제공한다.


에너지 작물: 스위치그라스 같은 에너지 작물은 가장 생산적인 농지를 잘 이용하면서 건강한 농장을 위하여 또 다른 시장을 제공한다. 


과일과 채소: 사과와 브로콜리 같은 작물은 농장을 위한 새로운 시장 기회를, 그리고 소비자를 위한 건강한 먹을거리를 제공한다. 


미경작 지역: 나무와 떨기나무, 풀은 이로운 생물들을 위한 서식지를 제공하고, 생물다양성을 증가시키며, 살충제의 필요성을 줄인다.


긴 주기의 돌려짓기: 여러 해에 걸쳐 몇 가지 작물을 돌려짓기하면 토양의 건강을 개선하고, 화학비료와 농약의 사용을 줄이며, 수확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덮개작물: 붉은토끼풀 같은 덮개작물은 토양 비옥도를 개선하는 한편, 토양침식과 가뭄에 대한 취약성 및 제초제 사용을 줄인다.


목초로 사육하는 젖소: 잘 관리된 목초는 침식을 줄이고, 토양 비옥도를 구축하며, 이로운 생물들의 서식지를 제공하고,  결과적으로 가축을 더 건강하게 만든다. 


개울가의 식림지: 개울에 늘어선 나무는 수로를 오염시키는 농장의 영양분을 거르는 완충지 역할을 하고, 이로운 생물들을 위한 서식지가 된다.  




건강한 농장의 농법


-경관 접근: 미경작 지역을 포함하면 생물다양성을 보존하는 데 도움이 되고, 화학비료와 농약의 필요성을 줄이며, 생산성이 증가한다. 

-작물과 가축의 융합: 식물과 동물은 서로에게 좋다. 건강한 농장은 똥거름의 형태로 영양분을 순환시킴으로써 이득을 본다.

-작물다양성과 돌려짓기: 다양한 작물을 재배하여 토양 비옥도를 증가시키고 살충제의 필요성을 줄인다. 

-덮개작물: 환금작물을 심어 놓은 사이의 노출된 땅을 덮개작물로 뒤덮으면 건강한 토양을 위해 유익하고, 영양분을 순환시키며, 풀과 해충을 감소시킨다. 



건강한 농장의 혜택


-토양의 건강: 건강한 농장의 농법은 더 적은 화학비료가 필요하기에 토양 비옥도를 구축하는 한편, 침식을 줄이고 가뭄에 덜 취약한 농장을 만든다. 

-생물다양성: 더 적은 독성 물질이 더해진 광범위한 범위의 식물종은 식물을 수분시키고 해충의 접근을 막는 새와 익충과 여타 생물들을 위한 더 나은 서식지를 의미한다. 

-환경의 건강: 건강한 농장은 더 적은 화학비료, 살충제, 항생제를 사용하고, 물과 공기의 오염을 줄이며, 지구온난화에 미치는 영향을 축소시킨다.

-자원 효율성: 건강한 농장의 농법은 수확량을 증가시키고, 농장 부산물을 재활용하며, 한계농지를 더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다.





http://www.ucsusa.org/food_and_agriculture/solutions/advance-sustainable-agriculture/healthy-farm-vision/


728x90
728x90

농무부 장관 Vilsack 씨는 몇몇 최근 발표에서 기후변화가 작물 재배를 어렵게 할 것이란 인식을 확대시켜야 한다고 촉구했다. 옮은 방향으로 나아가는 것이지만, 필요한 변화를 일으키기 위해서는 돈과 인력에 중요한 전환이 있어야 한다. 

Vilsack 씨는 작물 사이에 덮개작물을 심는 등과 같은 사이짓기를 하고, 작부체계에 가축을 통합시키는 것을 지원하여  다양한 작부체계를 개발함으로써 농업을 더 탄력적으로 만들어야 한다고 경고했다. 그는 “다양한 작부체계와 이후 기후 위기를 관리하고 농업을 변화시킬 또 다른 방법들을 통해 얻을 보존 혜택에 관하여 우리의 소통을 개선하기 위해 더 나은 일을 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지난 여름의 끔찍한 가뭄이 기후의 영향을 훨씬 더 명백하게 만들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의 예산 부담에서는 필요한 변화 -미국 농무부가 앞으로 대규모 단작에서 벗어나겠다고 하는 약속- 를 만들기가 매우 어려울 것이다. 그러나 그러한 노력의 최종 결과는 환경과 농촌 공동체, 장기적 생산성, 자원의 보존을 향상시킬 것이다. 

미국 농무부의 유전학자가 덮개작물인 털갈퀴덩굴을 조사하고 있다. 이 식물은 환금작물 다음에 심어 질소를 고정시켜 토양비옥도를 증대하고, 토양침식을 감소시킨다.  미국 농무부 사진.

역설적이게도 높은 옥수수 가격이 대규모 단작(한 농지에서 해마다 옥수수나 콩을 심는 방식)을 증가시켰다. 이는 Vilsack 씨가 바라는 다양한 작부체계와 정확히 반대되는 것이다. 

한편, 미국 농무부의 연구예산 가운데 비중이 매우 적은 더욱 다양하고 탄력적인 농생태적 작부체계를 지원하는 프로그램은 예산이 삭감될 위기에 처해 있다. 여기에는 유기농업 연구와 지도 계획(OREI)과 지속가능한 농업의 연구와 교육 프로그램(SARE)이 포함되어 있다..

장관이 지지하는 복합적 작부체계는 이미 수확량을 더 높인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세 가지 작물이나 그 이상의 작물을 더 길게 돌려짓기하는 것이 더 큰 이득을 가져오기에, 두 작물 체계 -중서부의 옥수수-콩과 같은- 에 대한 그의 지지는 여전히 지속가능하지 않은 체계에 너무 결속되어 있는 것이다. 


생산성 이상의 것


이미 알려졌듯이, 기후변화에 대한 적응만이 아니라 왜 우리의 농업을 고쳐야 하는지에 대한 많은 이유가 있다. 또 여기에는 Vilsack 씨가 강조하는 생산성 문제보다 더 많은 것이 포함되어 있다. 예를 들어 세계의 바다에 생기는 약 400개의 죽음의 구역은 주로 비효율적인 농법에서 발생하는 질소에 의한 것으로, 중요한 해산물 생산 지역을 손상시키고 있다. 

천연가스로 만드는 대부분의 인공 화학비료로 인해 과잉된 질소는 이산화탄소보다 300배나 지구온난화를 일으킨다는 아산화질소의 주범이다. 

미시시피강 유역에서 광범위한 측정과 모델링에 기반하여 수행한 코넬 대학 Blesh 씨와 Drinkwater 씨의 최근 중요한 논문 은 더욱 다양한 농업이 관행농의 옥수수나 콩 농업보다 질소를 덜 남용한다는 것을 밝혔다. 이러한 다양한 농업은 유기적으로 질소를 생산하는 콩과식물과 덮개작물, 그리고 작물을 살찌우기 위해 분뇨를 활용하여 영양분을 순환시키는 작물과 가축의 통합 등을 포함한 돌려짓기를 활용한다.

다양한 농업은 여러 이유로 수확량이 더 낮다. 대규모 단작 체계에서 최근에 전환했다든지(악화된 토양이 회복하는 데 시간이 걸리기에), 작물이 유기적 퇴비보다 인공 화학비료에 반응하도록 육종되었다든지, 다양한 작부체계에 최적화된 영양 대응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다든지 하는 것 때문이다. 이는 이러한 부정적 측면에 대한 연구를 통해 크게 개선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뜻한다. 

또한 우리는 다양한 농업이 관행농의 대규모 단작에 기반하는 농업만큼 생산적이고 수익성이 있다는 것을 밝힌 아이오와 주립대학의 훌륭한 장기, 농장 규모 연구가 있다. 그리고 다양한 농업은 단순한 농업보다 더 적은 양의 농약과 화학비료를 필요로 한다. 좀 더 많은 양의 노동력이 필요하지만, 농민은 농약과 화학비료 같은 값비싼 투입재에 대한 지불을 줄임으로써 재배면적당 더 많은 수익을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조작되지 않은 훨씬 값싼 작물 품종의 씨앗으로 이렇게 다양한 체게에서는 조작된 씨앗을 키우는 것만큼 생산적일 수 있다.

큰 상승효과 덕분에 농촌 공동체에 더 나은 것이다(더 많은 돈을 지역에서 순환시킴). 또한 농약에 덜 노출되기에 농민과 농업노동자만이 아니라 그걸 먹는 소비자에게도 더 낫다.

Vilsack 장관도 기후변화와 함께 작물 해충이 증가할 가능성을 지적했다. 다양한 체계는 적은 농약 요구량으로 실증되듯이 해층 피해에 훨씬 탄력적이다. 

이처럼 제안된 변화는 농업 투입재 시장을 장악하고 있는 대기업에게는 좋지 않을 것이다. 기후변화와 화석연료에 기반한 산업과 마찬가지로, 몬산토와 바이엘은 그들의 시장을 유지하고자 맞서 싸울 것이다. 그들은  Blesh와 Drinkwater 씨가 지적하듯이, 충분하지는 않으나 제한된 방식에서는 도움이 될 수 있는 제초제에 의존하는 무경운이나 정밀농업 같은 투입재에 기반하는 농법을 밀어붙일 것이다. 그리고 그들은 계속하여 농약 사용량을 증가시킬 유전자변형 제초제 저항성 작물을 밀어불일 것이다.

이러한 기업들이 정부의 무상불하지에 연구시설을 세우는 데 엄청난 투자를 할 것이고, 의심의 여지없이 최대한 돈을 쏟아부을 것이다. 예전에 썼듯이, 농업 과학기술에 대한 대통령 위원회(PCAST)의 보고서는 농업 연구 방향에 대한 잠재적 악영향은 전혀 우려하지 않으며 이러한 "민관 협력"을 찬양하고 있다. 그 보고서에 대형 기업들이 개입되어 있다는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니다. 

그래서 농무부 장관이 추구하는 바를 확실하게 하도록 노력을 기울일 것이고, 그래야 점점 환경과 식량생산에 위협이 될 지속가능하지 않은 농업을 계속하려는 피할 수 없는 압력에 버틸 수 있다. 과학자들이 우리가 가진 진정한 대안을 대중과 정책결정자들이 이해하도록 돕는 데에 특히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저자: Doug Gurian-Sherman(생명공학과 지속가능한 농업에 대한 전문가. 식물병리학 박사). Doug' 블로그

http://goo.gl/mVOax

728x90
728x90

들어가며


1998년 9월 7~9일, 이집트 카이로에서 개최된 국제 벼위원회(IRC)의 19차 회의는 벼농사에 기반을 둔 농업 체계(Halwart, 1999)에서 행하는 양어에 대한 전망과 경향에 대한 정보를 제공했다. IRC 회원국, 지역과 국제적 기관 및 FAO 위원회는 "벼논양어"에 대해 두 가지 권고사항을 제시했다.

각 정부는 벼논양어를 식량안보를 강화하고 지속가능한 농촌개발을 보장하는 수단으로 고려해야 한다. 민간 부문이 치어의 공급을 강화시키도록 더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 태국에서 저지대의 천둥지기 벼농사에서 벼논양어를 성공시킨 사례에 더 많은 관심을 쏟아야 한다. 이 체계는 물을 절약한다는 측면에서 매력적이다. 

같은 해, FAO와 생물다양성 협약의 사무국은 "농업생물다양성과 농업생태계 기능의 유지 -농업생태계와 생산 체계에서 농업생물다양성의 보존과 지속가능한 이용을 위한 기회, 장려책, 접근법"에 대한 국제 기술 토론회를 12월 2~4일 로마에서 개최했다. 사례 연구에서는 통합해충관리법을 사용하여 쌀 생산을 강화시킨 벼농사 농민도 다양한 수생생물에 의해 향상된 혜택을 받았다고 지적했다. 토론회에서는 모든 농업생물다양성, 특히 농업생태계 수준에서 그 보존과 지속가능한 이용을 위한 간섭의 네 가지 영역을 우선시해야 한다고 결론을 내렸다:

  • 정보, 평가, 지표

  • 연구, 개발

  • 인식 향상, 역량 구축

  • 정책과 농기구의 개발

토론회에서 세 가지 권고사항이 나왔다:

  • 농업생물다양성에 대한 이해의 확대

  • 어떠한 생산 체계에서라도 중요한 공헌을 한다고 인정

  • 활동과 절차의 통합과 협동을 개선

지속가능한 개발 분야의 모든 조직은 특히 농업생태계 차원에서 농업생물다양성의 보존과 지속가능한 활용에 대한 행동 계획을 개발하기 위하여 그들의 정책과 프로그램, 활동에 농업생물다양성을 추가로 통합하고 주류로 넣어 작업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농업생물다양성의 중요성과 가치에 관한 모든 이해당사자의 인식향상은 상위의 문제로 인정되었다(Aarnink et al., 1999).

논과 기타 수생환경의 수생자원은 특히 동남아시아 빈곤층의 동물단백질 섭취에 큰몫을 담당한다. 안타깝게도 이렇게 음식에 공헌하는 것이 자명하지만, 농촌 가구의 식량안보에서 수생자원의 역할은 계절적 복잡성과 공간적으로 다양한 자원과 환경, 이해당사자의 활동 때문에 부실하게 다루어졌다. 그러나 빈곤층을 위한 정책이나 자원 할당 결정을 입안할 때 정책 결정자들에게는 증거가 필요하다. 따라서 이에 대한 지지를 확대하기 위해서는 농촌 빈곤층의 식량안보와 빈곤 완화에서 수생자원의 역할에 대한 인식을 향상시켜야 한다. 

위의 결론과 권고사항을 기반으로, 때마침 네덜란드 정부와 FAO 생물다양성 부서와 수산부 등에서 지원한 정규 프로그램에 대한 추가적인 재정지원은 아시아의 벼농사에서 수생생물의 유용성과 활용에 대한 지역적 활동을 시작하게 했다. 



벼논양어 체계


벼논양어 체계는 크게 물고기의 출처에 따라 “포획”과 “양어” 체계로 분류할 수 있다. 포획 체계에서는 야생 물고기가 홍수가 났을 때 인접한 수로 등에서 논으로 들어가 자라고 알을 낳는다. 한편 양어 체계에서는 논에 의도적으로 물고기와 함께 또는 교대로 벼를 재배한다. 논은 치어나 식용 물고기를 생산하는 데 사용된다. 비축하는 데 쓰일 종묘의 크기와 물고기를 양식할 시기의 길이, 치어나 식용 물고기에 대한 시장의 수요에 따라서 달라진다(Halwart, 1999). 또한 태국에서처럼 관리 체계의 부분으로 비축된 물고기의 대부분을 야생종에게 잡아먹히게 하는 중간 체계도 있다. 이러한 손실은 지역 시장에서 야생 물고기에 대한 높은 부가가치 때문에 허용된다(Setboonsarng, 1994).

아시아의 많은 국가는 쌀을 주식으로 하면서 물고기를 주요한 동물단백질 공급원으로 삼는다는 점에서 “벼-물고기 사회”라고 할 수 있다(Demaine and Halwart, 2001).




벼-물고기 사회인 아시아의 국가


벼와 물고기의 유용성은 예전부터 번영과 식량안보에 연결되어 있었다. 예를 들어 태국에서는 13세기 초의 왕인 Ramkhamhaeng의 비문에 부와 안정성의 지표로 “물에서는 물고기가 논에서는 벼가”라고 새겨져 있다. 베트남에서는 “벼와 물고기는 어머니와 딸 같다”고 이야기한다.

관개, 천수, 깊은물대기 체계에서 대부분의 벼 재배는 물고기나 다른 수생생물에게 적합한 환경을 제공한다. 가정에서 소비하는 물고기의 대부분은 전통적으로 논에서 잡았다. 농경지로 습지를 전환시키고 벼 생산을 강화함과 함께, 어업은 감소하고 농민들은 동물성 단백질의 대체원으로서 양식업에 몰두했다. 그러나 그러한 압력은 똑같은 것이 아니었고, 지역의 인구를 위하여 적절한 생계를 제공하기 위하여 계속하여 지역의 범람원에서 어업을 행하는 곳이 있다. 

고기잡이의 성질은 계절과 강과의 거리에 따라 달라진다. 캄보디아에서 우기에 주요한 고기잡이가 논에서 이루어진다. 이 시기에 고기잡이가 크게 열린다. 상대적으로 물고기가 풍요로운 때이다. 이는 또한 물고기가 시원한 계절에 도피하여 돌아오는 때이다. 더운 계절의 초기에, 일부 농민들은 깊이 파 놓은 연못에서 물고기를 잡는다. 그곳 중 일부는 원래 선의의 계획에 따라 물고기를 위해 파 놓은 문화에 따른 것이다. 크게 파 놓은 연못에는 고부가가치의 Channa striata(잡히는 양의 25~40%) or Clarias catfish (35~40%)와 같은 "검은 물고기"를 300kg 정도 확보한다. 이렇게 공기호흡을 하는 종들은 물높이에 변동이 많은 늪 같은 논 환경에서 잘 적응하고, 매우 고마운 야생 물고기이다. 그들은 육식이라 다른 물고기들을 잡아먹을 수 있지만 태국의 지역 시장에서 양식한 물고기의 2배나 되는 가격을 받는다. 캄보디아에 가져온 높은 가격이 그 지역에서 농민은 가난하지만 모든 물고기가 그렇지는 않다고 Gregory와 Guttman(1996)이 주장하도록 이끌었다. 그러한 맥락에서 물고기 양어는 불필요하다; 그러나 짧은 거리 이상의 어업생산성으로 표시된 변화가 있다는 것은 주목해야 한다. 



최근의 활동 요약


포획과 양어라는 체계에서 수생 생물의 유용성과 활용에 대한 몇몇 연구가 2000~2001년에 걸쳐 시작되었다. 

야생 물고기의 높은 유용성은 보통 큰 강의 범람원에서 포획 체계의 개발을 선호한다. 포획 벼논양어에 대한 사례 연구는 따라서 메콩강 상류와 하류의 범람원에서 시작되었다. 중국의 윈난성 시솽반나(Xishuangbanna)가 하나이고, 캄보디아의 캄퐁톰(Kampong Thom)성이 또 하나이다. 

외떨어진 산간 지역에서 야생 물고기의 상대적으로 낮은 유용성은 양어가 출현하여 발전하도록 만들었다. 지역에 적응한 물고기 변종을 활용하는 토착 벼논양어는 베트남 북부와 라오스의 고원에서 발견된다. 이러한 벼논양어 사회에 초점을 맞춘 사례연구는 베트남의 Hoa Binh과 Son La, Lai Chau 성 등과 라오스의 Xieng Khouang과 Houa Phanh 성에서 시작되었다.

연구들의 목적은 살아 있는 수생 자원의 유용성과 벼농사 농민의 활용 방법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기록하는 것이다. 특정 지역에서 농민의 전통지식에 관하여 기술을 배우고 참여하는 방법을 적용하려고 특별한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연구 보고서는 비슷한 패턴을 따를 것으로 예상된다. 수생 종들은 농민들의 도구와 기술에 의해 수집된다. 또한 농민들은 지역의 언어로 종을 구분하고 이름을 기록한다. 작은 종은 보호하고 큰 종은 참조 목적으로 사진을 찍었다. 모든 종이 표본추출에 대한 지역적/과학적 이름과 정보, 수집과 활용을 위한 특별한 관찰 및 가능하면 소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데이터베이스에 목록화되었다. 

이 논문을 준비하는 시기에(2002년 1월), 중국과 캄보디아의 사례 연구가 막 끝났다. 라오스와 베트남의 사례연구는 각각 2001년 12월과 2002년 1월에 시작되었다.

연구 결과의 초기 분석은 연구 지역에서 논 생태계가 지역 사람들에 의해 널리 활용되는 풍부한 수생생물다양성을 지니고 있다는 것을 밝혔다. 종 다양성과 지역 사람들에 대한 중요성 측면에서 가장 중요한 집단은 물고기이다. 캄보디아와 중국에서는 60~70종의 물고기 종이 발견되었는데, 대부분 신선한 상태나 발효시킨 젓갈로 소비했다. 몇 가지 종은 뼈를 발라내거나 작은 조각으로 발효시켜, 굽고 소금에 절이고 훈제하거나 물고기 국을 준비하는 데 쓰였다. 신선하거나 가공된 물고기는 보통 매끼에서 주요한 단백질 공급원이 되었다. 

물고기의 자가 소비와 판매에 관해서는, 캄보디아의 사례 연구에 따르면 물고기 철에는 5인가구에서 날마다 평균 약 1kg의 신선한 물고기를 소비한다. 이 가구에서 건기에는 발효시킨 젓갈 약 20kg이 필요하다. 이외에 잡힌 모든 것은 시장에 내다팔 것이다. 사용하는 어로 도구에 따라서, 농민은 하루에 잘하면 15~20kg의 물고기를 잡을 수 있는데, 물고기 철에는 하루에 평균 10kg 미만을 잡는다. 중국에 대한 연구에서도 벼농사에 기반하는 곳에서 일용식의 일부로 물고기와 다른 수생 생물의 중요성에 대해 강조한다. 특히 시솽반나에 사는 타이족의 벼농사가 그러하다. 수생 생물을 소비하는 수준은 아마 꾸준히 유지되었을 텐데, 오늘날 소비량의 1/5에서 1/3이 벼농사에 기반한 포획에서 오며 10년 전에는 물고기 요구량의 절반을 공급했을 것이라 추정한다.

또한 갑각류, 연체류, 양서류, 곤충, 파충류와 수생 생물 여러 종을 직접적으로 인간의 먹을거리로 가공되거나 동물의 사료, 미끼 또는 약으로 활용된다. 

캄보디아 연구에서 나온 사례는 부록에 실었다. 접근법을 보여주고 예비 연구결과를 제공한다. 



전망


There are indications that the availability of these aquatic resources is declining. Farmers in Xishuangbanna claim that fish are becoming less abundant and that the quantity of aquatic organisms collected in one day is the equivalent of what was collected in just one hour a decade ago. Similarly, the Cambodian study indicates that fish catches have greatly decreased over the past two decades. While the growing human population and the consequent increased fishing pressure on aquatic resources play an important role, management strategies are thought to bear the main part of the blame: pesticide use, destruction of fish breeding grounds and illegal fishing practices, such as electrofishing or chemical poisoning. Future development must address these threats, and in rice management particular attention should be paid to pesticide use and habitat destruction.

The Chinese and Cambodian studies have so far yielded very interesting results and insights. Further analysis and follow-up are now required, as the studies are limited to certain areas and time spans. The Vietnamese and the Laotian studies are expected to be completed in 2002, and this type of study will then be expanded to other countries in the region. Findings are furthermore expected to serve as important background information for activities in other regions such as West Africa, where a joint FAO/WARDA Workshop on Integrated Irrigation and Aquaculture is planned to be held in July 2002 in Bouaké, Côte d’Ivoire.

The initial goal of these studies - i.e. to document the availability and use of aquatic organisms in rice-based farming and to raise awareness of all stakeholders about the aquatic biodiversity in rice - has been partially achieved through the participatory process followed in the studies. However, further activities are planned in the form of documentation and workshops so as to make a larger audience aware of the results.

Studies in this integrated area of rice farming and fisheries require cooperation and exchange between the different disciplines. Close collaboration within FAO is expected to continue, particularly among the Agricultural Divisions dealing with plant production and protection and with land and water use. The findings are expected to be important for upcoming meetings, such as the newly established intergovernmental Sub-Committee on Aquaculture of the Committee on Fisheries (which will meet for the first time in April 2002 in Beijing), and for external partnerships and collaborative programmes, in particular for a recently initiated joint activity between FAO, DFID (Department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UK), VSO (Voluntary Service Overseas) and NACA (Network of Aquaculture Centres in Asia-Pacific), entitled Support to Regional Aquatic Resource Management (STREAM).



참고자료


Aarnink, W., Bunning, S., Collette, L. & Mulvany, P. 1999. Sustaining agricultural biodiversity and agro-ecosystem functions - opportunities, incentives and approaches for the conservation and sustainable use of agricultural biodiversity in agro-ecosystems and production systems. In Proceedings of a FAO/CBD International Technical Workshop, 2-4 Dec. 1998, FAO, Rome.

Demaine, H. & Halwart, M. 2001. An overview of rice-based small-scale aquaculture. In IIRR, IDRC, FAO, NACA& ICLARM. Utilizing different aquatic resources for livelihoods in Asia: a resource book, p. 189-197. International Institute of Rural Reconstruction, International Development Research Centre,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Network of Aquaculture Centers in Asia-Pacific and International Center for Living Aquatic Resources Management. 416 pp.

Gregory, R. & Guttman, H. 1996. Capture and culture ricefield fisheries in Cambodia. In Nesbitt, H.J. ed. Rice production in Cambodia, p. 159-173. Cambodia-IRRI-Australia Project, Phnom Penh, Cambodia.

Halwart, M. 1999. Fish in rice-based farming systems Trends and prospects. In Tran, D.V. ed. Proceedings of the 19th Session of the International Rice Commission, 7-9 September 1998, Cairo, Egypt. FAO, Rome.

Appendix - Traditional use and availability of aquatic organisms in rice field ecosystems of Kampong Thom Province, Kingdom of Cambodia









들어가며



거대한 호수의 생태계


The Tonle Sap, also known as the Great Lake in central Cambodia is the heart of Cambodia’s fresh water fisheries. It is the largest fresh water lake in Southeast Asia and one of the richest freshwater fishing grounds in the world. Its hydrological characteristics are mainly influenced by the Mekong River who fills the lake during the rainy season through the Tonle Sap River, reversing its flow to the sea for several months. In the dry season, the lake covers an area of 2’500 - 3’000 square kilometers at an average depth of only one to two meters. In the rainy season the area increases to 9’000 -14’000 square kilometers and the depth reaches 9 - 11 meters.

Abelt of freshwater mangroves known as the flooded forest surrounds the lake. This gradually changes to bushes and finally grassland with increasing distance from the lake. The floodplains are surrounded by low hills, which are naturally covered with evergreen or deciduous dry Dipterocarp forest. The figures below show a transect from the lake to the hills at the end of the wet and the dry season respectively.

The flooded forest and the surrounding floodplain are of great importance for Cambodia’s fresh water fisheries. At the beginning of the flooding, many fish species leave the lake and the larger ponds for the forest to spawn. The young fish then move out into the floodplains to feed. At the end of the flooding, the fish follow the receding waters back to the lake and through the Tonle Sap River to the Mekong.



캄보디아의 벼논어업


Traditionally the people living around the lake were planting rice varieties in those areas subject to deep flooding that could cope with the high water levels by elongating their stems up to five meters with a maximum growth of ten centimeters per day. This floating rice was broadcast at the start of the rainy season on previously ploughed fields in areas naturally covered with bushes or grass. At greater distance to the lake were the flooding is not as deep, normal wet rice varieties are transplanted into the fields once the flood has reached them.

At the end of the flooding, rice is planted in the receding water, which is sometimes held back by dams for that purpose. The water present in the soil has to be enough for the development of this so-called “receding rice”. Controlled irrigation, which in Cambodia was present during the Angkorian period, is nowadays the exception. While pesticide and fertilizer use plays a minor role in the traditional floating rice varieties, it is more common in transplanted receding rice with modern varieties.



As a saying goes in Cambodia “once there is water, there is also fish” and this is especially true for the different rice field ecosystems of the country. The importance of the rice field fisheries however is often underestimated. The Cambodian Office of Fisheries has in the past mainly concentrated on the management of the fishing lots in the great lake. This is due to the revenues generated through the auctioning of these lots for a period of three to five years to business people for commercial exploitation.

Statistics on the productivity of these commercial lots are available and fairly accurate. Instead, for rice field fisheries the figures available differ widely, depending on the area where and the year when the respective study has been conducted. Figures vary from as low as 25 kg (Spiller, 1985) through 100 kg (Gregory et al.) up to 150 kg per ha and year (Ali, 1990). Ahmed et al. (1998) use figures from 25 - 61 kg per hectare and year to estimate the annual production of Cambodia’s rice field fisheries. Multiplied with the 1.8 million hectares of Cambodian rice fields they reach an annual production of 45’000 to 110’000 tons, amounting to 15 - 25 percent of Cambodia’s total annual fish catch. This extrapolation however is a rather unreliable method of assessment, since the heterogeneity in agro-ecological conditions and differences in the microenvironments of rice fields result in a variable productivity (Little et al., 1996). Generally speaking, there is a tendency to underestimate the importance of rice field fisheries since they tend to yield only small amounts of fish at a time, but on a regular basis and for many people involved.

Also the diversity of aquatic organisms found in the rice field ecosystem varies according to the place where and the year when the respective study was conducted. Shams and Hong find 35 fish species in a study conducted in Kampong Thom Province in 1998, Gum finds 39 fish species during a survey in Battambang 1997. Not restricted to rice field ecosystems, Rainboth (1996) reports 500 species of fish for Cambodia, stating that the real number is certainly greater and perhaps even much greater.



연구


연구의 범위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the middle of September to the middle of December 2001 in Kampong Thom Province, Cambodia. Samples of fish and other organisms from the rice field ecosystems have been taken at eight different locations in three of the eight districts of Kampong Thom Province: Stoung, Stueng Saen and Santuk. Two of the places were located closer to the Great Lake with direct access to the flood plain, the other ones at various distances from it along highway No. 6.

Along with the samples, information has been collected on the availability, the tools used for collecting and the ultimate use of each species along with the peoples’ preferences among the different species. Any additional information found has been added under the heading of traditional knowledge and observations.



연구의 한계


Due to the start in the middle of September, the beginning of the fishing season has been missed. No attempt has been made to measure the weight of fish caught by the fisher-folks involved in the study, since the day to day variability of the fish catches was too great and the scope of the study limited to a short time and a few places only.

Certain groups of animals are underrepresented here, since according to the local people their season is either before the start or after the end of the study. Important here are water insects, crabs, and frogs. And while the study was started focussing on aquatic animals collected from the rice fields, aquatic plants were added to the scope only later.



사용한 방법


To collect information from the local people, several different methods have been used in a time sequence. The start was made by Participatory Rural Appraisals (PRA’s) in three villages. With the initial information collected in this way, the second step was the collection of species caught by the local people. At the end of the season, single and group interviews were used to verify the information previously collected.


PRA

As the first step, PRA’s were conducted in three villages of Kampong Thom Province: Doun L’a in Stoung District, Panha Chi in Stueng Saen District and Tboung Krapeu in Santuk District. In this warming up exercise, the people were asked during a village meeting to enumerate the aquatic animals they collect from their rice fields, their uses etc. At the same time it served as an introduction to the people to ensure that they know what the purpose of the following regular visits in their village would be.


Species collection

During the time from the end of September 2001 to the beginning of December 2001, the researchers went to the field almost every day. The maps in the annex show the villages were the collections were made. The collection points were the sites where people went to fish in or near the rice field ecosystems. The drawing below shows a typical situation in Kampong Thom: the road is built on a dam. Soil for it has been excavated on both sides, forming canals left and right of the road. During the rainy season these canals are filled with water and directly connected to the surrounding rice fields. People gather to catch fish near bridges and culverts, which are like a bottleneck for water, and fish.

At points like this as well as within the rice fields specimens were collected and pictures of the various species encountered were taken. Samples of every organism smaller then 15 cm were collected and preserved. The pictures taken were developed locally and then scanned and processed with the computer.


While collecting the specimen, the fisher-folks were asked to give information on the availability of the species found as well as on their uses and the preferences of the people for them. At the same time the various fishing tools used were documented.


Interviews

At the end of the fishing season, the information collected previously was consolidated and verified in single and group interviews conducted in the villages were the collections were made. Since the people were by then already familiar with the researchers, no initial shyness had to be overcome. People were talking freely about the aquatic animals they used to collect and also about the difficulties and problems they encounter.



결과


Species found


The species found have been categorized into seven groups: fishes, reptiles, crustaceans, amphibians, mollusks, insects and plants. They are discussed separately below.


Fishes: they are by far the most important group, both in species diversity and in importance for the local population. For most Khmer people fish is the primary source of protein and fish either fresh or processed is part of every meal. The fishing season for rice field fisheries in Kampong Thom starts in August and ends in December when the water recedes and leaves the fields dry.

In the course of this study 70 different species have been found in the rice field ecosystem. They were identified as far as possible, using Rainboth’s field guide. Of these 70 species, 25 were abundant and another 12 species were still commonly seen in the catches. As most favored rated were 24 species, however only four of them were abundant as well: the chevron snakehead, broad-headed and walking catfishes and the swamp eel. Eleven of the most favored species are considered rare. The availability of the fishes changed in the course of the fishing season, some were more common at its beginning, others were found rather later. Some fishes came in waves, abundant one day and rare the next. The local people claim, that they have seen the eggs of four species within the rice fields, three of them among the most favored fish: the two catfishes mentioned above and the chevron snakehead. The fourth species is the climbing perch, found abundantly but not as well liked as the other three.

Most fish is eaten fresh, but there are a number of ways to preserve fish. Atypical Khmer fish preserve is Prahoc, fermented fish paste. It is made from the least favored fish or from those left over that cannot be sold as fresh any more. Other ways to preserve fish it to place it in salt, to dry it or to smoke it over wood fire. The latter results in a highly priced product, which is seen less and less due to the lack of firewood needed for the processing. Two other types of processed fish command high prices in the markets: mam and trey ngiat. Both are made from the filet of large fishes like the snakeheads, marble fishes, catfishes and other favored species. Mam is made by fermenting the filet while trey ngiat is sun dried.


Reptiles: Seven snakes and one turtle were found during this study. Since no literature on reptiles is locally available, no proper identification could be made. Snakes are well liked for food and in some areas have been seriously reduced through over-collection for sale to the cities. From the seven snakes found only one was found in abundance, two more were commonly seen, especially in the deep water rice fields of Roluos. Snakes are usually eaten fresh, only one snake has been reportedly used as a traditional medicine: preserved in alcohol it is said to enhance the appetite. Snakes can be found in the rice fields throughout the year.

The turtle found is considered uncommon, it has been seen only twice within the course of the study and only in Roluos. It is considered a delicacy and it is also reportedly used as a traditional medicine. A very destructive way of hunting turtles has been described for the dry season: the flooded forest - then dry - is set to fire and the turtles would come out of their hiding places to escape. In the rice fields, turtles can only be found in the months from August to December, during the rest of the year they are found in the flooded forest.


Crustaceans: Five species of crabs and one shrimp have been collected during the study. In his study on rice field crabs van Amerongen stated that the rice field crabs found by him all belong to the same genus Somanniathelphusa. He writes, that morphological differences could not be observed, only color and size vary. For the crabs found during this study at least some morphological differences can be seen, thus a question mark has been added to the generic name. All but one of the crabs are abundant, however, they are not well liked. Commonly used as bait or as feeds for pigs, people would eat them in time of scarcity. They are generally considered a pest in the rice fields were they feed on the rice plants and can do considerable damage to a newly planted field. They are chiefly collected from June to December.

Also the shrimp is found in abundance, it is used for food either fresh or dried or processed into shrimp sauce. Shrimps can be found in the rice fields from September to December.


Amphibians: Only two amphibians were found in the course of the study, one toad and one frog. Since literature on amphibians is not available locally, no identification could be made. Both species are reportedly abundant, however, they are found chiefly early in the rainy season from June to September. The frog is very much liked for food and during the season commonly seen in the markets. The toad is used as an anthelmintic for cattle but it is also eaten. It is sometimes exported to China.


Molluscs: One snail was found within the rice field ecosystem, other snails and also shells were only collected from the rivers and the lakes in the study area. While it is liked better then crabs it cannot compete with the fish that can be found in the rice fields. It is then rather used as bait to catch fish or fed to the pigs. Also for the snail, no identification could be made because of the lack in literature available locally. It is collected in the rice fields from June to December.


Insects: Two water insects were found to be of importance for the local people during this study: a giant water bug from the Belostomatid family and a water beetle probably from the Dytiscid family. Both of them are used as finger foods and both command good prices in the markets during their season which follows the season for frogs: from September to October. The giant water bug is also used as traditional medicine: mixed with alcohol it is given to women after birth. The water beetle is abundantly available; the giant water bug is still considered common.


Plants: Apart from the rice itself there are a number of other plants found within the rice field ecosystem, which are utilized by the people. In the course of this study, 13 species have been recorded, six of which are marketed. The other seven species are chiefly used as feeds or consumed locally they have no market value. All plants recorded were found in abundance, some during the time of the flood, others more towards its end.

The plants could be identified using Dy Phon’s Dictionary of plants used in Cambodia and the handbooks of the PROSEA series.



사용한 수집 방법


Farmers and fisher-folks of Kampong Thom Province use a wide variety of different implements and techniques to collect fishes and other aquatic organisms from the rice field ecosystem. In the course of this study, 26 techniques to catch fish have been recorded. They can be subdivided into four main categories:


Implements that catch fish with baited hooks: they are rather selective in the species caught with them since some species are more attracted to a certain kind of bait then others. Four different types can be distinguished here, two of which are used actively, the other two are attached to shrubs or sticks and checked at regular intervals.


Traps: these are usually less selective and apart from fish a variety of other aquatic animals like frogs, snakes, crabs and shrimps can be caught with them. Often made from woven bamboo the selectivity is defined by the distance between the bamboo strips. However, also traps for specific fish exist like the different eel traps. All together, six different types of traps can be distinguished.


Nets: like the traps, nets are little selective concerning the species caught; the main selectivity is given by the size of the mesh. Six different types of net were observed during the study. Also here a distinction can be made between nets used actively like a cast net and nets placed and left like the gill nets. It could be observed, that for the gill nets used in Roluos larger mesh sizes were preferred since in this area plenty of fish is still available. In areas further away from the flooded plains like Tboung Krapeu or Tuol Vihear smaller mesh sizes were employed to catch all but the smallest fish. In these areas, fishes are not as abundant as in the other areas and many juveniles have been seen in the catches, a clear indicator for over-use of the resource. Another particular problem is that old unusable gill nets are not collected and destroyed but left at their position in or near the water. They are a hazard to many water birds, which get caught and die in them.


Others: Here all techniques and implements that do not fit into the three categories above have been lumped together. They are usually characterized as active techniques such as digging, emptying depressions and catching fish with a spear or by hand.

An additional, illegal and very destructive, unfortunately by now widespread, technique has established during the last decade, the electro shock fishing. It is the least selective method of all, killing every organism wherever it is used. It is blamed along with the destruction of the flooded forest for the great reduction of the fish catches during the last years.

The implements used to catch aquatic animals can also be grouped according to their use in either shallow or deep water. They can thus also be assigned to periods of time when they are commonly used: a succession of different fishing tools could be observed along with the changing levels of the flood waters in the area.

Most of the implements used to catch fish are traditionally used either by men or women. The elder children, mostly the boys would already support their father in the use of typical male implements, smaller children and girls would accompany the mother in her collecting activities. While both men and women catch fish and crustaceans, plants, snails and insects are rather collected by women and children. Since reptiles and amphibians are typically caught with fish traps, men are the ones collecting them.

Some farmers have established ponds in or near their rice fields. These are not usually stocked actively with fish but the fish withdraw into them from the surrounding rice fields when those are drying up. Some farmers would also place small fish caught during the end of the flooding into their pond to allow them to grow bigger. Most farmers however do not have such a pond, some claim, that the soil in their area is not suitable, others explained that they cannot afford the time needed to dig such a pond deep enough to retain water throughout the year. They declared that if an organization would support them they would readily agree to have a pond.



전통지식과 관찰


People have accumulated over time a profound knowledge about fishes and their behavior. They have very accurate ideas about where what kind of fish can be found. A common observation is, that many fishes lay their eggs in the flooded forest or in the flooded shrubs surrounding their rice fields. The young fish then come to look for food in the rice fields and the flooded grasslands. once the trees and shrubs are gone in an area, the fishes are getting less.

It has been observed by the local people that the fish catches have been greatly reduced over the last two decades. Some fish species have disappeared all together. This is blamed partly on the increasing use of illegal fishing tools like electro shock but also on the destruction of the flooded forests surrounding Tonle Sap Lake. Also the increasing number of people living in the area is given as a reason for the smaller fish catches every year: more people have to share a resource that is getting less. And while the farmer fishermen of old caught fish mainly for home consumption nowadays a more market-oriented approach drives people to catch more fish for sale on the markets.

An average family of five persons would consume about one kilogram of fresh fish every day during the fishing season. The same family would need about 20 kg of Prahoc to eat in the dry season. Everything caught above this would be sold in the market. Depending on the fishing tool employed, a farmer-fisherman can catch 15 to 20 kg of fish on a good day. The average fish catch during the fishing season is less than 10 kg per day. For comparison: a commercial operator blocking - illegally - a medium sized river to the migrating fish can catch about twelve kilogram of fish in less then ten minutes.

Since the beginning of the 1990s a fish disease called Dambao is reported to occur every year with varying strength. Starting in January until March the fishes in the ponds and lakes start dying, smelling worse then ordinary dead fish. The people say that these fish cannot even be used to make Prahoc. The worst year when this disease has hit the area until now was in 1995 when most lakes were transformed into stinking pits. once the rains start, the disease disappears. The people claim, that the increasing use of fertilizer and pesticides in the receding rice cultivation is to blame for this phenomenon. Local people believe that on Buddhist prayer days many fish can be caught. Since Buddhist prayer days coincide with the phases of the moon, this is supported by another observation: fish like the moonlight, they are playful in moonlight and are easily caught with the gillnet at the time of the full moon. When rain is coming up however no fish can be caught. only when the rain starts falling the fish would come out of their hiding places.

During certain times of the day, very little fish is caught. Asked for the reason, a fisherman told that the fishes are now in the rice fields looking for food. They would come out later to play in the canal where they can be caught with the cast-net.



결론


The rice field ecosystem is of major importance for the supply not only of rice but also of protein and of vegetables for the local population. one-sided development towards increasing yields of rice through intensification and the use of chemical fertilizers and pesticides will give the people more rice to eat, but it will take them the fish and the vegetables to go along with. The introduction of fishponds stocked with introduced fishes, as a remedy against the loss of the naturally available fish is not likely to have great success at the sites where this study took place. It is at best difficult to maintain a fishpond during the flooding period when most of the area surrounding the great lake actually becomes part of it. And especially the poorest people living around the lake have to rely on wild capture fisheries since they do not have rice fields of their own - and thus also no land to establish an own fishpond.

A more promising approach seems to be a participatory development approach that addresses all the needs of the local people through locally developed natural resources management plans and a more holistic view of a system that has catered the needs of the people for many generations.



참고문헌


Ahmed et al1998. Socio economic assessment of freshwater capture fisheries of Cambodia. Report on a household survey, MRC/DANIDA/DoF. Management of the freshwater capture fisheries of Cambodia.

Ali. 1990. Some ecological aspects of fish population in tropical ricefields. Hydrobiologia, 190: 215-222.

Dy Phon. 2000. Dictionary of plants utilized in Cambodia. Imprimerie Olympic, Phnom Penh.

Gregory et al. 199?. Poor in all but fish. AIT Aquaculture working paper No. 4, Cambodia, Asian Institute of Technology, Bangkok.

Gum. 1997. Consultancy report on fisheries development in Northwest Cambodia, Cambodia Rehabilitation and Regeneration, CARERE UNDP/RGC.

Little et al. 1996. In Wild fish component of AIT Aqua Outreach. AIT Aquaculture Aquaculture Section, Asian Institute of Technology, 1998.

Rainboth. 1996. FAO species identification field guide for fishery purposes. Fishes of the Cambodian Mekong. FAO Rome.

Shams & Hong. 1998. Rice field ecosystem biodiversity - Resources and benefits. Deutsche Gesellschaft fuer technische Zusammenarbeit (GTZ).

Spiller. 1985. Rice cum fish culture: Environmental aspects of rice and fish production in Asia. Report FAP/WP-15. FAO Office for Asia and the Pacific, Bangkok.

van Amerongen. 1999. The rice field crab - a short study on its role as a pest to rice culture. FAO Rome.


728x90
728x90



수세식 변기가 편리하긴 하지만, 농토에 공급할 중요한 영양분을 차단시켜 식량 생산을 화석연료에 의존하게 만들기에 생태적 파괴를 불러온다. 그러나 한국과 중국, 일본 등 동아시아에서는 4000년 동안 인간의 똥오줌을 매우 소중한 자원으로 활용했다. 특히 중국에서는 사람 똥을 특별히 설계한 수로망을 통해  배로 운송했다. 인간의 "폐기물"을 농토에 거름으로 활용한 덕에 동아시아에서는 음용수를 오염시키지 않고 많은 인구를 먹여살릴 수 있었다. 한편 중세 유럽의 도시들은 개방형 하수로를 선택했다. 그 개념은 19세기 말 네덜란드의 Charles Liernur가 고안한 정교한 진공하수처리 체계로 현대화되었다. 


그러나 겉보기에는 깨끗해 보이는 수세식 변기는 우리의 식량체계에서 자연의 순환을 박살내 버렸고, 매우 소중한 자원이 단지 폐기물로 전락하게 되었다. 우리가 작물을 재배하면 흙에서 필수 영양분을 빼먹게 된다. 그때 가장 중요한 삼요소가 바로 질소, 칼륨, 인이라 부르는 것들이다. 인간의 역사 대부분 동안 우리는 이러한 영양분을 배설물이나 음식물찌꺼기, 시신의 매장 등 우리의 몸에서 생산되는 것들을 순환시켜 흙에 되돌려주었다. 오늘날 우리는 그것을 대부분 바다에 버린다. (아래 그림은 Humanure Handbook에서 인용).





이것은 세 가지 이유에서 문제가 있으며 전혀 지속가능하지 않다. 


첫째, 강과 호수, 바다에 하수를 투기하면 물고기를 죽이고, 신선한 물을 마실 수 없게 만든다. 이것은 오직 수세식 변기와 값비싼 하수처리망 및 하수처리시설을 확장해야만 피할 수 있다(생명수에 대한 유해한 영향은 완벽히 제거되지 않음).


둘째, 토양비옥도를 유지하기 위해서 인공 화학비료가 필요하게 되었다. 2008년, 세계에서 거의 1억6000만 톤의 무기질비료가 사용되었다(1 & 2). 이것 없이 우리의 농토는 단 몇 년 안에 비옥도를 상실할 것이고, 그에 따라 식량 생산과 인구의 붕괴를 피할 수 없을 것이다. 


세 번째 문제는 수세식 변기로 모든 것을 "쓸어버리기" 위하여 훨씬 더 많은 양의 물을 소비한다는 점이다. 




수세식 변기는 에너지 집약적이다


담수의 생산, 하수처리시설의 건설과 유지 및 보수, 하수오물의 처리(슬러지), 무기비료의 생산은 모두 에너지 집약적이다. 질소(전체 화학비료 소비량의 절반 이상을 차지)는 원래 대기 중에 차고 넘치지만, 그것을 유용한 형태로 전환하려면 고온, 고압으로 가열과 가압이 필요하다. 이러한 (오염) 과정에 쓰이는 에너지는 천연가스나 중국의 경우에는 석탄발전소에서 얻는다. 


칼륨과 인은 채굴(수십 킬로미터의 깊이까지)하여 운송해야만 한다. 우리가 현재 1년에 소비하는 3700만 톤의 인 비료를 공급하려면 1억5000톤 이상의 인 광석이 필요하고, 2500만 톤의 칼륨 비료를 위해서는 4500만 톤의 칼륨 광석이 필요하다. 두 과정 모두 에너지 집약적이고 환경을 오염시킨다. 




중세의 변기


그나마 칼륨은 널리 분포하여 풍부하게 이용할 수 있지만(현재의 소비율에 비추어 보면, 약 700년 동안 경제적으로 활용할 수 있음), 인은 그렇지 않다(1 & 2). 세계 인 재고량의 90%가 소수의 국가에만 존재하고, 농업에서의 수요를 충족시킬 만큼 경제적으로 생산가능한 재고량은 단 30~100년치의 분량뿐이다. 해저에서 채굴하는 인을 포함하면 재고량이 훨씬 많아지지만, 이건 훨씬 더 에너지 집약적인 데다가 식량과 하수처리 체계의 지속가능성을 악화시킬 우려가 있다. 


바다에서 육지로 영양분을 가져오는 유일한 방법은 물고기나 해초를 먹은 바다새의 똥뿐이다. 물론 이 양은 매우 적다. 또한 이것은 우리가 음식을 먹고 하수오물을 바다에 투기하여 걸러진 것이기도 하다. 




문명의 상징


수세식 변기와 함께 하수처리 체계의 존재에 대해서는 아무도 의문을 제기하지 않는다. 그저 과학기술로 여기거나 문명의 상징이라 생각할 뿐이다 —오늘날 그러한 체계가 없는 국가들은 후진국이거나 시대에 뒤떨어졌다고 여겨진다. 그 까닭은 악취와 질병을 막는 유일한 대안이 수세식 변기와 하수처리 체계라고 믿기 때문이다. 


초기의 하수도와 수세식 변기를 발명한 로마제국이 붕괴한 뒤 19세기 말 직전까지, 서구의 사회에서는 지하수에 인간의 똥을 집중적으로 버리면서 도시의 수로와 강이 콜레라와 장티푸스 같은 치명적인 전염병을 발생시키는 근원이 되었다. 이는 똥오줌으로 오염된 물을 마심으로써 야기되었다. 사람들은 생리적 욕구를 거리나 뒤뜰 및 뻥 뚫린 정원에서 요강에 해결하거나, 심하게는 꽉 막힌 오수구덩이 등에서 해소했다 —인구밀도가 높은 도시에서는 절대 건강하게 생활할 수 없는 방법이다. 수세식 변기와 하수처리 체계는 적어도 선진국에서는 그러한 문제를 해결해 주었고, 아무도 다시는 그 비참한 위생 상태의 시대로 돌아가고 싶어 하지 않는다.




중국의 농업



그러나 오늘날에는 절대적인 수세식 변기가 위생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아니다. 인간의 똥오줌을 음용수에서 분리시키는 더 지속가능한 방법도 존재한다. 중세와 초기 산업혁명 시기의 비참한 위생 상태는 순전히 서구사회의 현상일 뿐이다. 중국에서는 20세기에도 강물을 사람이 마셔도 안전했다. 


중국인들은 당시 유럽인과 미국인 들만큼 엄청난 수가 있었으며, 인구밀도가 높은 대도시도 있었다. 차이점이라면 그들이 농업 체계를 유지하기 위하여 인간의 "폐기물"을 거름으로 활용했다는 것이다. 똥과 오줌을 신경써서 소중하게 모았고, 때로는 꽤 먼 거리까지 운반했다. 그들은 다른 유기물과 함께 똥오줌을 섞어서 거름으로 만든 다음 농지에다 사용했다(위의 삽화처럼). 


그 방법은 일석이조의 효과가 있다: 음용수를 오염시키지 않을 뿐만 아니라, 농업을 영원히 이어갈 수 있다. 실제로 현재 가장 풍부한 자원인 칼륨의 재고량이 700년인데, 그보다 훨씬 긴 4000년 동안 계속 농사를 지어 왔지 않은가. 

그러한 중국의 방법은 한국과 일본에서도 마찬가지였다. 이는 미국 토양학자 프랭클린 하람 킹이 쓴 <4천년의 농부 http://goo.gl/iY7Pc>에 잘 나와 있다. 이 책은 값싼 인공 질소비료의 생산으로 이어진 하버-보쉬법이 고안된 무렵인 1911년에 출간되었다. 저자는 아시아인이 '인간거름'을 수집하고 활용하는 모습에 대해 모든 지면을 할애했다. 조지프 니덤Joseph Needham도 <중국의 과학과 문명 http://goo.gl/g4gnB>에서 여러 초기 자료를 인용하며 그 방법을 다루었다. Duncan Brown은 자신의 책에서 중국의 방법을 “Feed or Feedback: Agriculture, Population Dynamics and the State of the Planet“이라고 했다.




똥 장사꾼


<4천년의 농부> 저자인 킹이 중국을 방문했을 때, 중국의 성인 인구는 약 4억으로 추정된다. 이는 유럽의 전체 인구 약 4억과 미국의 1억에 비교된다. 4억 명이 싸는 똥과 오줌은 밀폐된 똥장군에 수거되었다. 각각의 집에서, 농촌의 마을에서 대도시로 그걸 한데 모았다. 몇몇 도시에서는 특별한 수로망과 배가 이를 위해서 건설되고 만들어졌다(아래 사진). 이것으로 중국이 서구와는 다르지만 비슷한 형태의 수상운송 하수처리망을 가지고 있었다고 주장할 수도 있겠다. 




킹이 중국을 방문했을 무렵, 중국에서는 매년 약 1억8200만 톤 이상의 똥오줌이 도시와 마을에서 수거되었다 — 성인 1명에 연간 450kg. 여기에는 흙으로 돌아갈 총 116만 톤의 질소, 37만6000천 톤의 칼륨과 15만 톤의 인이 함유되어 있다. 1908년 일본에서는 2385만295톤의  “인간거름”이 수거되어 흙으로 돌아갔다. 





상하이는 수백 척의 배(앞의 사진처럼)를 활용하여 특별히 설계된 수로망을 통해 사람들의 '생산물'을 거래하고 유통시켰다. 그 거래량은 연간 10만 달러에 이르렀다. 인간거름은 귀중한 상품으로 여겨졌다. 1908년 어느 중국의 사업가는 연간 7만8000톤에 달하는 인간거름의 수거권을 얻기 위하여 3만1000달러(오늘날의 70만 달러 이상일 수 있음)를 지불했다. 이건 다시 농촌 지역의 농민들에게 판매되었다. 


중국보다 훨씬 도시화가 이루어진 일본에서는 세입자가 양질의 똥을 주인에게 남기면 임대료를 덜 내도 되었다. 킹은 도쿄와 요코하마에서 가져온 인간의 똥짐을 나르는 인부들의 모습을 묘사하기도 했다(<4천년의 농부> 380쪽을 참조). 일본의 농촌에서는 손님이 방문한 집에서 똥을 누는 일을 반겼다고 한다. 농민들은 그 생산물(?)을 자신의 농지에 거름으로 주었다. 


동아시아에서 인간의 똥을 재활용하는 방법은 어떤 방문객들에게는 혐오감을 불러일으켰다. 포르투칼의 탐험가 Fernam Mendez Pinto가 1583년 작성한 글을 참조하라.1


4000년 동안 유지되던 체계가 20세기 초반 서구에서 수입된 인공 화학비료가 도착하면서 사라졌다. 오늘날 중국은 전 세계 무기비료 소비량의 28%를 담당하는 가장 큰 소비자이다. 현재 동아시아 전체는 세계의 인공 화학비료 가운데 절반 이상을 사용한다. 




유럽의 야간 분뇨(Night Soil) 수거


유럽에서도 인간의 "폐기물"을 수거했지만, 그 역사는 훨씬 짧고 규모도 작았다. 유럽에서는 주로 19세기 중반쯤 농업의 시대가 끝났다고 본다. 이 당시부터 도시로의 이주가 가속화되고, 그에 따라 하수처리 문제가 매우 악화되었다. 




그와 함께, 건강 전문가들이 콜레라와 장티푸스의 원인이 오염된 물을 마신 결과라는 것을 알아냈다. 농업에서 동물의 분뇨가 점점 줄어들면서 한번에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 나타났다. 몇몇 국가와 도시에서 마련한 첫 번째 체계는 흔히 "야간 분뇨" 수거로 알려진 동아시아와 비슷한 방법이다. 


똥과 오줌이 옥외 변기 아래에 놓인 운반이 가능한 목제 용기에 차곡차곡 모였고, 여기에서 악취가 나는 걸 막고자 흙과 재, 숯 등을 섞었다. 야간 분뇨 수거꾼이 정기적으로 방문하여(이름처럼 주로 밤에) 그 용기를 가져갔다. 위의 사진(출처)과 아래 사진(출처)이 그 모습이다. 


이렇게 가득찬 용기를 수레나 마차의 큰 통에 비우고는 곧바로 돌아가거나(통 청소는 사용하는 사람들이 담당), 가득 찬 통을 마차에 싣고 대신 빈 통을 주고 가기도 했다(이때는 청소부가 통을 청소함). 빈 용기를 다시 옥외 변기 아래에 놓고, 수거된 용기는 마차나 수레에 실어 도시 밖의 어느 지점까지 운반되었다. 그곳에서 똥오줌은 농업에 사용할 거름으로 만들어졌다. 




안타깝게도 폐기물의 수거와 운송이 한국이나 중국, 일본만큼 깔끔하고 효율적이며 위생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밀폐 용기를 사용하면 괜찮았지만 늘 그렇지는 못했다. 개방형 용기를 사용해서 악취가 풍기고 똥물이 튀었다(아래의 19세기 삽화, 출처). 용기를 나르고 수레에 비우는 동안 오물이 바닥으로 떨어졌다. 게다가 수거가 제때 이루어지지도 않았다. 특히 가난한 동네에서는 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목제 용기는 유럽의 야간 분뇨 수거가 지닌 문제점을 해결하면서 개선되었다. 중세 시대에는 이른바 '똥 농부'가 거리와 뒤뜰, 오수구덩이에서 사람과 동물의 똥을 모아 자신의 농지에 활용하려는 농민에게 팔았다. 문제는 이들이 짐수레 한 대 분량의 똥을 팔려면 충분한 똥을 수거해야 한다는 점이었다. Duncan Brown은 이 상황을 간결하게 묘사한 Cipolla를 인용한다:


이 사업의 가장 우습고 비참한 측면은 가난한 사람들이 판매하기에 충분한 양의 똥이 쌓일 때까지 그걸 집에서 보관하다가 거리에 내놓아 수거해야 한다는 점이었다. 


중세 시대에 중국의 방법이 연상되는 야간 분뇨 수거법이 조직된 곳은 플랑드르 지역이다. 앤트워프의 마을 주변에서는 유기폐기물(인간의 똥, 도시 안의 말똥, 비둘기 똥, 운하의 오수와 음식물찌꺼기)의 관리가 16세기까지 중요한 산업의 한 분야였다. 18세기까지 스헬데 강을 따라서 네덜란드의 마을들에서 나온 똥을 바지선으로 운송해서 부리는 커다란 저장소들이 즐비했다.




Charles Liernur의 진공하수처리





두 번째 수거 방법은 네덜란드의 공학자 Charles Liernur이 1866년에 고안했다(특허권). 그의 진공 하수처리 체계는 초기의 하수처리 방법이 지닌 생태적이고 거름을 만드는 장점에다 오늘날과 같은 유수식 하수처리망의 편안함을 결합했다. 모든 집의 변기가 지하의 작은 수송관 구조로 연결되었고, 똥과 오줌이 즉시 집에서 내보내져 퇴적되었다. 


그러나 오늘날의 기술과 가장 큰 차이는 Liernur의 체계는 운송수단으로 물을 사용하지 않고 대기압을 활용한다는 점이다. 이는 똥을 물로 희석시키지 않음으로써 거름의 가치를 그대로 보존시켰다 —Liernur가 일부러 의도한 바이다. 한편 진공하수처리 체계는 각각의 집을 방문하고, 똥오줌이 찬 용기를 운반하고, 모든 사람의 잠을 방해할 필요가 없도록 만들었다. 그 방법은 아시아에서 사용하던 방법을 포함하여 야간 분뇨 체계를 확실하게 개선한 것이다.

 

몇몇 네덜란드의 도시들은 Liernur 체계를 갖추었다. 1871년에는 레이덴, 1872년에는 암스테르담, 1874년에는 도르트레히트. 처음에는 몇 천 가구만 진공하수처리망으로 연결되었는데, 암스테르담에서는 꽤 확대되었다. 19세기 말 암스테르담의 주민 약 9만 명이 Liernur 하수처리망으로 연결되었다. 이는 당시 암스테르담 인구의 약 20%이다. 암스테르담과 레이덴에서 그 체계는 거의 40년 동안 운영되었다. 또한 Liernur 체계는 체코의 프라하와 프랑스의 투르빌 쉬르 메르, 독일의 하나우, 영국의 스텐스테드에도 소규모로 도입되었다. 1892년에 설치된 투르빌의 체계는 1987년까지 운영되었다(출처). 오늘날 그 방법은 선박과 열차, 항공기에서 여전히 사용되고 있다. 


Liernur 체계의 프랑스 판은 Berlier 체계이다. 1880년 리옹에 시범적으로 도입되어 성공적으로 4km 거리의 하수오물을 처리했다. 1881년 5km의 연결망이 파리에서 시범적으로 도입되었다. 프랑스는 매우 진지하게 실험을 진행했다. 하수오물을 다양한 지점에서 유리로 된 수송관을 통해 관찰되었다. 기술적으로 Liernur 체계보다 우수한 Berlier 체계는 흠잡을 데 없이 작동했다. 그 시설로 신병훈련소의 많은 병사들이 파리에 주둔하면서 전혀 장티푸스가 만연하지 않았다. 




수세식 변기의 등장


기술적 성공에도 Berlier 체계는 실험단계 이상으로 나아가지 못했다. 네덜란드 건강자문위원회는 암스테르담에서의 성공을 바탕으로 1873년 Liernur 체계를 전국에 도입하자고 권고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Liernur는 유럽의 여러 도시(파리, 베를린, 스톡홀름, 뮌헨, 슈트트가르트, 취리히)와 미국(볼티모어)를 위한 계획을 설계했지만, 결코 실현되지 않았다. 


기압을 활용한 이 체계가 오늘날의 표준적인 하수처리 체계가 되지 못한 데에는 몇 가지 이유가 있다. 먼저, 수세식 변기와 상수도의 등장이 있다. 네덜란드에서는 Liernur 체계를 수세식 변기에 연결하는 사람들이 늘어나며 똥과 오줌이 희석되어 농업에서의 가치가 상당히 떨어졌다.

 

이 일이 발생하기 전에도 거름으로 활용하기 위한 하수오물의 판매는 기대하는 것만큼 이윤을 발생시키지 못했다. 건강 전문가들은 이윤이 위생 체계의 첫째 목표는 아니라고 했지만, 문제는 Liernur 스스로 자신이 개발한 체계의 중요한 이점이 경제적 이윤이라고 강조했다는 점이다. 이것이 투자자들을 유혹했고, 손해를 보기 시작하자 그들은 곧바로 등을 돌려 버렸다. 


네덜란드만이 아니라 서구 사회의 중요한 문제는 도시 규모의 성장이었다. 야간 분뇨 체계와 더 정교한 방법 모두는 결국 거대 도시를 유지하며 멀리 있는 농장들을 지원하는 데에 실패했다. 진공하수처리 체계에 대한 결정타는 1910년 값싼 생산법을 알아낸 무기비료의 등장이었다. 그것이 거름 부족 문제를 해결했다.


도시에서 오물을 처리하기 위하여 유수식 하수처리 체계를 구축하기 시작했기 때문에, 논리적으로 다음 단계는 하수오물을 똑같은 방법으로 처리하는 것이었다. 기본적으로 이것은 후진적인 것이다. 똥은 다시 지표수에 방출되어 쓸모없이 하류로 떠내려갔다. 선진국에서 하수처리시설이 일반화되기 전까지 70년 동안 그러했다. 




세 가지 미래의 가능성


우리가 식량 공급의 자연적인 순환을 회복하고자 한다면, 세 가지 기술적 가능성이 존재한다. 각각의 집에서 똥을 다른 유기물과 함께 모아 퇴비화 화장실을 활용하여 하수오물을 처리하는 현대적 방식을 개발할 수 있다. 오줌은 별도의 통으로 흘러가게 하여 1년에 한 번 치운다(이 방법은 이른바 오줌 분리 변기라 하여 일부 네덜란드와 스웨덴의 거주 지역에 존재함). 또는 똥이 물에 희석되지 않고 자동적으로 모이는 Liernur이나 Berlier 체계를 현대적으로 변용하여 개발할 수 있다.


진공하수처리 체계는 1960~1970년대 이후 일부 새로운 주택단지에 제한적으로 적용되었다. 미국, 영국, 호주, 독일, 몰디브, 아프리카 남부, 중동의 수백 채의 집에서 운영된다(개관). 진공하수처리 체계의 설치는 기존 하수처리 체계보다 2배 정도 싸다. 또한 진공 체계는 더 빨리 만들고 유지하기도 쉽다. 땅속 깊이 파묻지 않아도 되는 더 작은 튜브로 구성된다 –도로 표층에 좁은 도랑만으로도 충분하다.


세 번째 기술은 다른 두 가지 방식보다 몇 배 많은 비용이 든다. 현재의 유수식 하수처리 체계의 희석된 하수오물을 거름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기본적으로 이 방식은 이미 비싸고 복잡한 시설에 값비싼 시설과 복잡한 공정이 추가로 필요하다. 희석된 하수오물을 말려야 할 뿐만 아니라 정화해야 한다. 이는 하수오물 슬러지가 인간의 폐기물만이 아니라 가정과 공장에서 나온 많은 다른 폐기물(독성을 포함)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흥미롭게도 우리가 하수처리 체계에서 똥과 오줌을 제거하면, 유수식 하수처리 체계를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상당한 비용과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 빗물을 활용하고(기본적으로 포장된 표면을 제거) 지역에서 생활하수를 재사용하는 대안을 실행할 수 있다.




거름 만들기


인간의 똥오줌은 처리를 거쳐 거름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는 이미 처리되지 않은 똥이 "식물을 태워나 죽이고, 싹을 썩게 하며 인간의 손과 발에 해를 끼친다"며 위험을 경고한 중국의 농서를 통해서도 잘 알려져 있다. 오늘날에는 건강에 위험을 끼친다는 것까지 알고 있다. 프랭클린 하람 킹과 조지프 니덤은 통시(아래의 그림처럼)를 결합시킨 중국인의 지혜에 찬사를 보냈다. 그러나 Duncan Brown은 그들의 퇴비화 기술에 비판적이다. 중국인들이 음용수를 깨끗하게 유지함으로써 얻는 혜택이 작물을 통해 발생하는 질병으로 상쇄될 수 있다는 것이다. 


위장 질환이 그 지역에 만연했다. 한국과 일본에서는 흡충병이 일반적이었다. 거름으로 준 인간의 똥이 흘러들어간 연못ㅇ서 잡은 날생선을 먹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러한 질병들은 그들의 자연과 전염되는 방법을 이해하면 피할 수 있었다. 상대적으로 현대적인 탱크나 산화탱크, 이른바 퇴비화 화장실과 같은 장치를 제대로 사용했다면 인간의 똥을 거름으로 사용함으로써 야기되는 위장 질환의 위험을 피할 수 있었을 것이다.



퇴비화 과정은 늘 최우선이고, 이는 두 가지 방식으로 할 수 있다. 첫 번째는 저온 발효이다. 그 기술은 “Humanure Handbook“에 설명되어 있다. 저온 발효는 저온에서 이루어지고 적당한 기후에서 1년이 걸린다. 안전을 위하여 대부분 무취의 퇴비를 먹는 부분과 거름이 직접적으로 닿지 않게 재배하는 작물(과일처럼)이나 먹지 않는 식물(꽃과 화분 등)에 사용한다.


두 번째 방법은 고온 발효이다. 더 빨리 거름으로 만들 수 있고, 먹으려고 하는 작물에 사용할 수 있다. 몇몇 국가에서는 몇 년에 걸쳐 산업화에 성공했다. 흥미롭게도 이 과정의 첫 번째 단계는 전기를 발생시키고, 더 나아가 전체 체계의 지속가능성을 개선한다. 2005년 이후 네덜란드의 Orgaworld라는 기업의 공장은 여러 유기물과 함께 아기와 노인들의 기저귀를 통해 퇴비를 만든다. 그를 통하여 약 6주 걸려서 병원균이나 호르몬이 없는 고품질 퇴비를 만드는 최첨단 공정이다. 그 기업은 또한 캐나다와 영국에 공장을 세웠다. 




인간거름을 사용하여 세계를 먹여살릴 수 있을까?


우리는 인공적인 질소와 채굴하는 칼륨과 인을 대체하여 자연적인 거름을 충분히 생산할 수 있을까? 프랭클린 하람 킹이 수집한 자료에 따르면, 성인 1인당 하루에 평균 1135그램의 똥오줌을 싼다. 여기에 얼마나 많은 질소, 칼륨, 인이 함유되어 있을까? 무엇을 먹느냐에 따라 달라진다.


100년 전 킹은 중국에서 다양한 연구결과를 인용하는데,  1인당 연간 질소는 2.9~6kg, 칼륨은 0.9~2kg, 인은 0.4~1.5kg의 범위라고 한다.

 

현재 세계의 인구는 약 70억으로 추산된다. 그들이 20세기 킹이 조사한 중국인들과 비슷하게 먹는다고 가정하자. 이렇게 하면 세계의 인구가 질소 4200만 톤, 칼륨 1400톤, 인 1050만 톤을 생산할 수 있다. 이것으로 인공 화학비료를 쓰지 않아도 충분할까? 한눈에 보아도 아니다. 오늘날 인공 화학비료의 생산은 다음과 같다.

  • 질소 9990톤으로 모든 사람이 생산할 수 있는 양의 2배 이상(4200만 톤)
  • 칼륨 3700톤으로 사람들이 생산할 수 있는 양의 약 4배(1400톤)
  • 인 2580톤으로 사람들이 생산할 수 있는 양의 1.8배 이상(1050만 톤)


가축


그러나 인간은 똥 생산을 외주로 해결할 수 있는 가축이 있다. 인공 화학비료의 엄청난 양이 가축의 사료를 생산하는 데 쓰인다. 이러한 동물들은 지구의 모든 인간보다 더 많은 양의 거름을 생산한다. 2004년 가축의 배설물은 1억2500만 톤의 질소와 5800만 톤의 인을 함유하고 있다고 추산된다(칼륨 함유량에 대한 자료는 없어 넘어감). 인간거름으로 생산할 수 있는 양보다 질소는 3배, 인은 6배 이상이다. 

 

동물은 중국의 인간거름에 기반한 농업에서는 덜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지만, 중세 시대의 유럽에서는 가축의 똥이 중요한 거름원 역할을 수행했다. 동물은 똥은 절대 그냥 버려지지 않았다. 조지프 니덤은 Fussell을 인용한다.


15~17세기 유럽의 농민들은 크고 작은 고민거리가 있었다. 그것은 거름이다. 그들은 어떠한 공급원도 소홀히 하지 않았다. 그들이 재배하는 모든 작물의 성공은 그들이 모아서 사용할 수 있는 양에 의존했다. 그들은 충분한 퇴비를 만들기 위해서라면 헤라클레서의 노역이라도 떠맡을 의지가 있었다. 


우리의 건강과 환경을 위하여 고기 소비를 줄여야 할 여러 가지 좋은 이유가 있다 —가축 생산은 삼림 파괴의 주요한 원인이다(이는 토양 악화의 주요한 원인이 됨).


그러나 우리가 지나친 고기 소비를 포기하고 싶지 않다면, 최소한 “충분한 퇴비 생산을 위하여 헤라클레서의 노역을 떠맡을” 각오가 되어 있어야 한다.  


그것이 인공 화학비료의 사용량을 증가시키는 것을 막는 것은 물론, 매년 환경에 9100만 톤의 질소와 4900만 톤의 인을 폐기하여 생태계를 파괴하는 것도 막을 수 있다. 이 대부분이 어떠한 처리도 없이 비용 효율적인 폐기물 관리방법으로 도시 인근의 농지에 과다 사용됨으로써 불법적 또는 합법적으로 행해진다.  






음식물찌꺼기와 관리 기술


그냥 버려지는 또 다른 자연 거름 물질원이 있다. 그것은 바로 음식물찌꺼기이다. 이 경우 역시 소중한 자원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음식물찌꺼기는 고기 생산의 지속가능성을 향상시키도록 돼지의 먹이로 쓸 수도 있다. 그 대신 우린 돼지에게 곡물을 먹인다. 미국에서 발생하는 음식물찌꺼기 전체의 단 3%만이 재활용된다. 나무지는 매립되어 엄청난 양의 온실가스를 배출하고 있다. 


거기에는 수요를 낮출 수 있다는 잠재성도 가지고 있다. 오늘날 화학비료를 사용하는 주요한 원인 가운데 하나는 과소비 때문이다. 인공 화학비료는 값이 싸고 그 결과 농민들은 작물을 재배하며 너무 많은 양의 화학비료를 쓰는 경향이 있다. 이는 많은 영양분이 토양침식과 빗물에 쓸려가고 침출되어 상실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영양분이 하수처리시설을 통하지 않고 흘러가 지하수와 강, 바다가 오염된다. 


이는 초기 중국의 농업과 유럽의 중세 시대와 큰 차이가 나는 점이다. 당시에는 거름이 남아돌지 않았기에 농민들은 신중하게 시비를 했다. 오늘날의 농민들은 철저한 기술을 통하여 더 적은 양의 화학비료를 사용하여 비슷한 수준의 수확량을 올릴 수 있다. 오늘날 유기농업에서 적용되고 있는 역사적으로 중요한 기술인 작물의 돌려짓기와 사이짓기, 풋거름작물의 사용이 그것이다. 이를 통해 화학비료에 대한 수요를 줄일 수 있다. 




영양 균형


잠시 이 모든 정보를 이해해 보자. 1억6600만 톤의 질소와 7200만 톤의 인을 생산할 수 있는 가축과 사람이 존재한다. 이 대부분은 버려지고, 생태계 파괴를 일으키고 있다. 


이와 함께 공장에서는 9990만 톤의 인공 질소비료와 3700만 톤의 인 비료를 생산한다. 지나치게 남용되어 오염을 증가시키고 막대한 양의 에너지를 낭비한다. 인구와 가축의 성장이 예상되면서 생물학적, 인공적으로 생물연료를 만드는 에너지 작물에 대한 수요가 증가할 것이고 상황은 더욱 악화될 것이다. 



인류는 이미 무기비료 없이 지속할 수 있는 단계를 훌쩍 지나 버렸다. 20세기의 인구 폭발은 결국 인공 화학비료 덕이었다. 그러나 이는 문제가 되지 않을 것이다. 인간과 동물의 막대한 양의 똥이 무기비료에서 유래한 영양분을 포함하고 있으며, 우리는 주로 무기비료로 재배된 음식을 먹기 때문이다. 인간은 이미 지구 생태계에서 영양분의 양을 2배로 만들었다고 추산된다. 따라서 중요한 문제는 무기비료를 생산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그것들을 재활용하지 않는다는 데에 있다.




물류 문제


가축의 똥만 고려해도 70억 인구가 먹고살기 위해 이용할 수 있는 충분한 자연 거름이 있다. 동물의 똥을 사용하는 데에는 아무런 금기도 없는데 왜 그걸 사용하지 않는가? 동물의 똥으로 농지에 적용된 영양분은 1996년 세계적으로 질소 3400만 톤(전체의 28%)과 인 880톤(전체의 15%)에 지나지 않는다고 추산된다. 따라서 버려지는 양이 인공 화학비료 생산과 같거나(질소는) 초과한다(인의 경우).


이는 지구적 규모로 운영되는 공장식 집중형 고기와 유제품 생산 체계 때문이다. 많은 국가에서 소들이 세계의 반대편에서 생산된 사료를 먹는다. 그래서 순환 고리를 닫기 위하여 사료가 온 곳으로 다시 똥을 실어 보내야 한다. FAO는 다음과 같이 이야기한다.


사료가 재배된 같은 대륙에서 사육된 가축이더라도, 그 공업형 사료 생산의 규모와 지리적 집중은 똥을 재활용할 방법을 방해하여 전체적 불균형을 야기한다. 많은 노동력과 운송비용은 생산시설의 바로 인근에서 유기비료로 똥을 사용하는 일을 제한하곤 한다.


물론 인간의 똥도 마찬가지일 수 있다. 가축과 같이 인간은 농지가 보이지 않는 대도시에 지리적으로 집중되어 있다. 가축과 같이 인간은 자신이 살고 있는 곳에서 멀리 떨어진 지역에서 생산된 먹을거리를 먹는다. 이는 인간거름을 수거하려고 한다면, 식량이 소비되는 곳에서 식량이 생산되는 곳으로 운송해야 한다는 것을 뜻한다. 결과적으로 영양 요소를 재활용하려면 전 세게에 트럭이나 선박, 기차(또는 하수처리 수송관)처럼 똥을 운송하는 대규모 물류 체계가 필요해진다.




우리는 모든 똥이 먹을거리가 재배된 곳으로 다시 보내져야 한다고 말하지는 않는다. 그건 불가능하고 터무니없다. 영양의 수입과 수출 사이의 균형을 계산하자는 것이다. 먹을거리를 수출하는 국가들은 다른 먹을거리를 수입하는 대신 똑같은 수확량을 올리고 음식의 다양성을 증가시키는 똥을 선택하는 것이다. 우리에게 기본적으로 필요한 것은 복잡한 영양분을 계산하는 체계이다.




인구의 분산


물론 근본적인 해결책은 지역에서 먹을거리를 생산하는 것이다. 이는 똥을 수송할 필요도 없앨 뿐만 아니라, 식량은 운송할 필요도 없앤다. 가축 생산이 지리적으로 더욱 다양화되고 농사와 복합적인 방식으로 바뀌면, 모든 동물의 똥이 사용되어 인공적인 화학비료가 불필요해질 것이다. 


도시가 더 작아지고 농촌 지역으로 균일하게 분산된다면, 농지에 인간거름을 돌려주기 위한 물류는 매우 단순해질 것이다. 물론 이것은 인간 인구의 ‘지방 분산’은 인구가 밀집된 도시가 더 균일하게 분산된 인구보다 더 지속가능하다는 개념에 반대되는 것이다. 그 과제는 교외 지역을 폐기시키지 않을 것이고, 오히려 더 자립적으로 만들 것이다. 





출처


읽을거리:


  1. "You must know that in this country there are many of such as make a trade of buying and selling mens Excrements, which is not so mean a commerce among them, but that there are many of them grow rich by it, and are held in good account. They which make a trade of buying it go up and down the streets with certain Clappers, like our Spittle men, whereby they give to understand what they desire without publishing of it otherwise to people, in regard the thing is filthy of itself; whereunto I will adde thus much, that this commodity is so much esteemed among them, and so great a trade driven of it, that into one sea port, sometimes there comes in one tyde two or three hundred Sayls laden with it." [본문으로]
728x90
728x90

This summer, record temperatures and limited rainfall parched vast areas of U.S. cropland, and with Earth’s surface air temperature projected to rise 0.69 degrees Celsius by 2030, global food production will be even more unpredictable, according to new researchconducted by the Worldwatch Institute. Although agriculture is a major driver of human-caused climate change, contributing an estimated 25 to 30 percent of global greenhouse gas emissions, when done sustainably it can be an important key to mitigating climate change, write report authors Danielle Nierenberg and Laura Reynolds.

Because of its reliance on healthy soil, adequate water and a delicate balance of gases such as carbon dioxide and methane in the atmosphere, farming is the human endeavor most vulnerable to the effects of climate change. But agriculture’s strong interrelationships with both climatic and environmental variables also make it a significant player in reducing climate-altering emissions as well as helping the world adapt to the realities of a warming planet.

“The good news is that agriculture can hold an important key to mitigating climate change,” said Reynolds, Worldwatch’s food and agriculture research associate. “Practices such as using animal manure rather than artificial fertilizer, planting trees on farms to reduce soil erosion and sequester carbon, and growing food in cities all hold huge potential for reducing agriculture’s environmental footprint.”

The United Nations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estimates that the global agricultural sector could potentially reduce and remove 80 to 88 percent of the carbon dioxide that it currently emits. By adopting more-sustainable approaches, small-scale agriculture in developing countries has the potential to contribute 70 percent of agriculture’s global mitigation of climate change. And many of these innovations have the potential to be replicated, adapted, and scaled up for application on larger farms, helping to improve water availability, increase diversity, and improve soil quality, as well as mitigate climate change.

This report, Innovations in Sustainable Agriculture: Supporting Climate-Friendly Food Production,discusses six sustainable approaches to land and water use, in both rural and urban areas, that are helping farmers and other food producers mitigate or adapt to climate change—and often both. They are:

  • Building Soil Fertility: Alternatives to heavy chemical use in agriculture, such as avoiding unnecessary tilling or raising both crops and livestock on the same land, can help to drastically reduce the total amount of energy expended to produce a crop or animal, reducing overall emissions.
  • Agroforestry: Because trees remove carbon dioxide from the atmosphere, keeping them on farms whenever possible can help mitigate climate change. Agroforestry also keeps the soil healthier and more resilient by maximizing the amount of organic matter, microorganisms, and moisture held within it. Agroforestry also provides shade for livestock and certain crops, and creates habitats for animals and insects, such as bees, that pollinate many crops.  
  • Urban Farming: Growing food in cities can mitigate the greenhouse gas emissions released from the transport, processing, and storage of food destined for urban populations. Urban agriculture also increases the total area of non-paved land in cities, making urban landscapes more resilient to flooding and other weather shocks, while improving the aesthetic value of these landscapes.
  • Cover Cropping/Green Manure: Cover cropping, also known as green manure, is the practice of strategically planting crops that will deliver a range of benefits to a farming system, and often plowing these crops into the soil instead of harvesting their organic matter. Planting cover crops improves soil fertility and moisture by making soil less vulnerable to drought or heat waves. Cover crops also serve as a critical deterrent against pests and diseases that affect crops or livestock, such as corn root worm or Rift Valley fever, particularly as warmer temperatures enable these organisms to survive in environments that were previously too cold for them.
  • Improving Water Conservation and Recycling: Innovations in water conservation, including recycling wastewater in cities, using precise watering techniques such as drip irrigation rather than sprinklers, and catching and storing rainwater, all help to reduce the global strain on already-scarce water resources.
  • Preserving Biodiversity and Indigenous Breeds: Growing diverse and locally adapted indigenous crops, such as yams, quinoa, and cassava, can provide a source of income and improve farmers’ chances of withstanding the effects of climate change, such as heat stress, drought, and the expansion of disease and pest populations. Preserving plant and animal biodiversity also reduces farmers’ overreliance on a small number of commodity crops that make them vulnerable to shifts in global markets.

By tapping into the multitude of climate-friendly farming practices that already exist, agriculture can continue to provide food for the world’s population, as well as be a source of livelihood for the 1.3 billion people who rely on farming for income and sustenance. If agriculture is to play a positive role in the global fight against climate change, however, agricultural practices that mitigate or adapt to climate change will need to receive increased research, attention, and investment in the coming years.




climate and ag_FINAL.pdf


climate and ag_FINAL.pdf
1.3MB
728x90
728x90


learning-module7-preview.pdf



For small-scale farmers, knowledge is a key ingredient for production and for improving livelihoods. Knowledge helps farmers to live and farm in a sustainable way, allowing them to adapt to changing conditions. Farmers not only learn from external sources, by the means of extension, education or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but a large part of knowledge for sustainable small-scale farming is generated on the farm itself.

Indigenous or local knowledge, generated and shared by farmers, plays a crucial role in small-scale agriculture. As is increasingly recognised, innovation by small-scale farmers is of great importance to deal with changes in the environment, like climate change, globalisation and urbanisation. However, systems of agricultural knowledge are not always well equipped to incorporate farmers’ knowledge.

Formal education and extension are still too often organised within a top-down model, where there is little space for farmers’ input. Participatory approaches have been taking farmers’ own knowledge much more seriously. Also, they have helped to build capacities of farmers and other actors involved in the process of innovation and learning.

All these issues, and more, are explored in Module 7. The different Learning Blocks examine various aspects of knowledge in small-scale agriculture at farm level, in the wider context, and at the level of governing institutions. Throughout the module, this material is linked to several educational resources, including games and exercises, articles, videos, photos and ideas for field visits, in order to stimulate discussion and reflection on knowledge issues in small-scale agriculture.


learning-module7-preview.pdf
2.31MB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