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식물34

식물들이 사는 방법 식물에게 '똑똑하다'라는 인간의 개념을 대응시키기 어렵겠지만, 식물들이 나름 자신이 처한 환경과 조건에서 살아남기 위해 발달시켜 온 일들을 확인하면 정말 놀랍다는 말밖에 나오지 않는다. 너무 재밌는 기사이다. http://ecotopia.hani.co.kr/340506 2016. 4. 23.
C4 벼 프로젝트 대부분의 작물이 C3 광합성을 하는 식물이고, 대부분의 풀들이 C4 광합성을 하는 식물이라고 한다. 이 둘의 결정적 차이는 쉽게 이야기하자면(자세한 내용은 나도 잘 모르니 여기를 참조하시길... https://ko.wikipedia.org/wiki/C4_%EC%8B%9D%EB%AC%BC), 더 척박한 환경에서도 잘 자라느냐 아니냐라는 점.. 2015. 11. 10.
가뭄을 이기는 한 방법 우리가 옷을 발가벗고 맨몸으로 햇빛과 공기 중에 그대로 노출되어 있다면 어떻게 되겠는가? 당연히 추위와 더위를 더 느끼고, 피부는 건조해질 것이다. 흙도 마찬가지이다. 흙을 우리의 피부라고 생각해 보자. 흙이 햇빛과 공기 중에 그대로 드러나 있다면 어떨까? 당연히 더 뜨겁거나 .. 2015. 1. 25.
식물도 위급함을 알린다 Eating a leaf off a plant may not kill it, but that doesn't mean the plant likes it. The newest study to examine the intelligence (or at least behavior) of plants finds that plants can tell when they're being eaten -- and send out defenses to stop it from happening. We’ve been hearing for decades about the complex intelligence of plants; last year’s excellent New Yorker pi.. 2014. 10. 22.
식물은 소통의 '달인' 식물은 동물에 비해 열등한 생물인가? 그리고 동물은 인간에 비해 열등한 생물인가? 나는 아니라고 본다. 베르그송의 말에 따르면, 서로 방향을 달리하여 진화해 온 결과일 뿐, 거기에는 우등도 열등도 없는 모두 생명의 한 모습이다. 아래 기사는 식물들 사이에서도 우리가 알지 못하는 '.. 2013. 7. 31.
지속가능한 고대의 양식업 hrases like “lessons from the past” or “learning from ancient history” are apt to make our eyes glaze over, and we flash to memories of boring history classes or droning TV documentaries. But in the case of aquaculture, a little historical knowledge can be both entertaining and enlightening. Fish farming is not new; it has been practiced for centuries in many cultures... 2013. 7. 1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