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위 그림은 북미 대륙의 평원에 살고 있는 식물들의 뿌리 형태입니다.

뿌리의 세계를 직접 보니 어떻습니까? 어마어마하죠.

빙산의 일각이란 말이 있는데, 식물도 그와 마찬가지입니다.

뿌리가 제대로 발달하지 않으면 줄기와 잎도 형편없을 수밖에 없습니다.


식물의 뿌리에는 크게 세 가지 형태가 있다고 합니다. 

바로 아래와 같이, 왼쪽부터 천근, 심근, 직근이라고 합니다.

풀어 쓰면 얕은뿌리, 깊은뿌리, 곧은뿌리입니다.


이상적인 뿌리의 형태는 한눈에 보아도 알 수 있지 않으신가요?

식물은 잔뿌리를 발달시켜 양분과 물을 흡수하고, 길게 쭉 뻗은 뿌리를 발달시켜 자신의 몸을 지탱합니다.

그러니 얕은뿌리의 형태로 발달한 작물은 물과 양분을 쪽쪽 빨아먹고 몸체를 확확 키워 씨앗을 맺겠죠. 하지만 사상누각이란 말처럼 자신의 몸을 제대로 지탱하지 못하기에 약할 수밖에 없습니다. 그래서 지주나 끈을 묶어 쓰러지지 않게 도와야 하죠. 한편 곧은뿌리만 발달한 작물은 자신의 몸은 잘 버티고 서 있지만 물과 양분을 잘 흡수하지 못합니다. 그건 곧 작물을 재배하는 주목적을 달성할 수 없다는 뜻입니다. 수확량이 눈에 띄게 줄어듭니다.

그렇다면 답은 하나입니다. 식물이 곧은뿌리와 얕은뿌리를 골고루 발달시킬 수 있도록 도와야 합니다. 그건 결국 작물을 재배하는 사람에게 달려 있는 몫이겠죠.



728x90
728x90

도우미 식물을 활용해 해충을 통제하는 방법에 대한 글을 한국어로 옮겼다. 전문용어가 많이 나오고, 문장도 어려워서 애를 먹었다. 그저 무슨 이야기를 하고 있는지 대충 짐작해 볼 수 있는 정도로 의역과 오역을 남발할 수밖에 없었다.

아무튼 농업에서 사이짓기, 섞어짓기, 돌려짓기는 매우 중요한 방법임에 틀림없다. 특히나 농약과 화학비료 같은 화학적 외부투입재에 의존하지 않고 자연생태계의 원리를 활용해 농사를 짓는 사람에겐 더욱더 그러하다. 작부체계라 하는 이 방법을 통해서 해충과 풀을 억제하며 작물에, 즉 농사에 이로운 방식을 농지에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면 어떤 식물을 어떻게 활용해야 하는가? 나는 지금까지는 작물들을 조합하는 방법에만 주로 주목을 해 왔다. 이 글을 보니 그건 일부일 뿐이었다. 단지 작물만이 아니라 여러 가지 식물을 고려대상에 넣어야 한다는 사실을 깨닫게 되었다. 관건은 저마다 처한 환경과 조건이 다르니 정답은 없다는 점이겠다. 그러니 이러한 원리가 있다는 걸 염두에 두면서, 현장에서 직접 이런저런 조합을 적용하고 실험하면서 하나하나 답을 찾아나가는 수밖에 없다. 여기서 -그리고 농업 서적이나 박사들이라도- 제시하고 있는 사례들은 우리와는 살짝 조건이 다르기도 하니 말이다. 

이른바 도우미 식물을 작부체계와 결합하여 이로움을 가져오는 방법의 근간에는 크게 두 가지 원리가 숨어 있다고 한다. 하나, 식물의 화학적, 물리적 특성을 활용해 해충이 숙주를 찾지 못하게 하거나 도우미 식물로 꾀어내기. 둘, 천적에게 먹이와 서식처를 제공함으로써 생물학적 통제를 강화하기. 이 두 가지 원리를 활용하여 농약에 의존하지 않으면서 해충의 피해를 최소화하며 -농약과 달리 예방이나 박멸은 어렵다- 농사를 잘 짓는 것이 목적이다.

앞으로는 농지와 그를 둘러싼 자연환경에서 자라는 풀 하나, 꽃 한 송이 허투루 보면 안 되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들이 모두 농지를 중심으로 하나의 생태계를 이루면서 상호작용하고 있는 거대한 체계이니 말이다. 그 안에서 농부가 할일은 무엇일까? 외부에서 자원과 에너지 등을 끌어오거나, 심한 경운과 로터리질로 잘 완성되어 있는 닫힌 농업생태계의 구조와 기능을 해치는 일을 지양하고, 그것이 제대로 잘 작동하도록 돕는 역할을 수행할 뿐이지 않겠는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어떻게 보면 어렵고, 어떻게 보면 쉬운 그 일을 해낼 수 있을까. 상농부는 흙과 자연을 돌본다더니 딱 그런 경지인 듯하다. 무위지위 같은 이야기도 떠오르고 그런다.

--------------------------



출처 https://www.intechopen.com/books/weed-and-pest-control-conventional-and-new-challenges/companion-planting-and-insect-pest-control

728x90

'농담 > 농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랭지밭의 흙을 지켜라  (0) 2017.04.18
구한말 벼농사 관련 풍속화  (0) 2017.04.16
물 절약형 벼농사  (0) 2017.04.04
유기농업의 식물 번식  (0) 2017.03.30
유기농업의 양분 관리  (0) 2017.03.29
728x90

연구자들이 식물에서 프리온이란 단백질을 발견했는데, 이것이 '기억'과 유사한 역할을 한다고 한다. 


그러니까 식물도 나를 괴롭히거나 아프게 한 무언가에 대해서도 기록할 수 있는 셈인가... 흥미롭다.


http://scienceon.hani.co.kr/396357

728x90

'농담 > 농-생태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음식의 맛도 바꾸는 기후변화  (0) 2016.05.27
쥐를 잡자, 쥐를 잡자, 콩콩콩  (0) 2016.05.26
곤충을 불러오자  (0) 2016.05.24
바람아 멈추어 다오  (0) 2016.05.20
농약 살포의 위험성  (0) 2016.05.18
728x90

텃밭이든 생계로 농사를 짓든, 벌레 때문에 농사짓기 힘들다고 누구나 생각해 보았을 것이다.

이들을 해결하기 위해 손으로 잡든지, 농약을 치든지, 그것도 아니면 그냥 내버려두든지 하는 방법을 택하게 된다.

그런데 이이제이(오랑캐로 오랑캐를 제어한다)라는 방법을 활용할 수도 있다.

바로 곤충으로 곤충을 제어하는 것이다. 물론 그것이 농약을 치는 것만큼 벌레를 박멸시키지는 못할지 몰라도, 어쨌든 그냥 내버려두거나 손으로 잡는 것보다는 더 효과적일 것이다.


먼저 해충을 잡아먹거나 쫓아버리는 그러한 곤층들을 위한 공간을 마련해 주어야 한다. 사람도 집이 있어야 거주하면서 소비도 하고 재생산 활동도 하고 그러지 않는가. 곤충도 똑같다. 

논밭의 한켠에 아래와 같은 식물을 심어서 곤충에게 공간을 제공하자(미리 하나만 말씀드리자면, 외국자료를 보고 쓰는 글이다 보니 권하는 식물들이 한국의 환경에서도 그때 재배가 가능한지 어떤지 확인하지 못했다. 저 대신 시도해 보시고 결과를 알려주시면 고맙겠습니다).




봄철 곤충을 끌어오기 좋은 식물

Sweet Alyssum (Lobularia maritima)

Rosemary (Rosmarinus officianalis)

Thyme (Thymus vulgaris)

Crimson clover (Trifolium incarnatum)

Bugleweed (Ajuga reptans)



여름철 곤충을 끌어오기 좋은 식물

Lavender (Lavandula spp.)

Yarrow (Achillea millefolium)

Mint (Mentha spp.)

Queen Anne’s Lace (Daucus carota)

Roman chamomile (Chamaemelum nobile)



가을철 곤충을 끌어오기 좋은 꽃

Bee Balm (Monarda didmya)

Mullein (Verbascum thapsus)

Goldenrod (Solidago spp.)

Fennel (Foeniculum vulgare)A

ster (Aster chilensis)




모르는 사람은 무섭다고 비명을 지를지 모르지만 사마귀는 포식자, 즉 온갖 종류의 해충들을 통제할 수 있는 최고의 익충이다. 

728x90

'농담 > 농-생태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쥐를 잡자, 쥐를 잡자, 콩콩콩  (0) 2016.05.26
식물도 기억이 있는가?  (0) 2016.05.25
바람아 멈추어 다오  (0) 2016.05.20
농약 살포의 위험성  (0) 2016.05.18
땅을 갈아엎는 맥류의 뿌리  (0) 2016.05.14
728x90

식물에게 '똑똑하다'라는 인간의 개념을 대응시키기 어렵겠지만, 식물들이 나름 자신이 처한 환경과 조건에서 살아남기 위해 발달시켜 온 일들을 확인하면 정말 놀랍다는 말밖에 나오지 않는다.


너무 재밌는 기사이다. http://ecotopia.hani.co.kr/340506

728x90
728x90

대부분의 작물이 C3 광합성을 하는 식물이고, 대부분의 풀들이 C4 광합성을 하는 식물이라고 한다.

이 둘의 결정적 차이는 쉽게 이야기하자면(자세한 내용은 나도 잘 모르니 여기를 참조하시길... https://ko.wikipedia.org/wiki/C4_%EC%8B%9D%EB%AC%BC), 더 척박한 환경에서도 잘 자라느냐 아니냐라는 점이다. 그래서 풀이 더 어려운 조건에서도 작물보다 훨씬 더 잘 자란다는 것이다.


그런데 이런 프로젝트가 국제벼연구소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이름하여 "C4 벼" 프로젝트이다.

아래 링크로 들어가서 한번 보시길 바란다. 정말 흥미로운 일이다.


http://c4rice.irri.org/ 

728x90
728x90

우리가 옷을 발가벗고 맨몸으로 햇빛과 공기 중에 그대로 노출되어 있다면 어떻게 되겠는가? 

당연히 추위와 더위를 더 느끼고, 피부는 건조해질 것이다.


흙도 마찬가지이다.

흙을 우리의 피부라고 생각해 보자.

흙이 햇빛과 공기 중에 그대로 드러나 있다면 어떨까?

당연히 더 뜨겁거나 차가워지고, 또 증발량이 많아져 건조해질 것이다.


수분이 적당하지 않은 흙에서는 농사 또한 잘 되지 않는다.

흙을 맨살 그대로 노출시키지 않는 방법으로는 덮개식물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덮개작물이라 하지 않고 덮개식물이라 한 것은, 살아 있는 풀을 이용하는 방법과 베어낸 풀이나 짚을 활용하는 방법이 있기 때문에 그렇다.


다음 동영상을 보고 이제는 가급적 흙에 예쁘고 멋진 옷을 입혀주도록 하자.

내 옷만 살 일이 아니라 흙을 잘 가꾸고 꾸미는 일에도 신경을 써야 한다.





728x90

'농담 > 농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토양의 유형과 개량제  (0) 2015.02.03
무경운 이앙기  (0) 2015.01.28
왜 무경운이 중요한가  (0) 2015.01.25
전통 농법의 중요성  (0) 2015.01.25
녹비작물을 심자  (0) 2015.01.14
728x90



Eating a leaf off a plant may not kill it, but that doesn't mean the plant likes it. The newest study to examine the intelligence (or at least behavior) of plants finds that plants can tell when they're being eaten -- and send out defenses to stop it from happening.



We’ve been hearing for decades about the complex intelligence of plants; last year’s excellent New Yorker piece is a good place to start, if you want to learn more about the subject. But a new study, conducted by researchers at the University of Missouri, managed to figure out one new important element: plants can tell when they’re being eaten, and they don’t like it.


The word “intelligence,” when applied to any non-human animal or plant, is imprecise and sort of meaningless; research done to determine “intelligence” mostly just aims to learn how similar the inner workings of another organism is to a human thought process. There’s certainly nothing evolutionarily important about these sorts of intelligence studies; a chimp is not superior to a chicken just because chimps can use tools the same way humans do. But these studies are fascinating, and do give us insight into how other organisms think and behave, whatever “think” might mean.

This particular study was on the ever-popular Arabidopsis, specifically the thale cress, easily the most popular plant for experimentation. It’s in the brassica family, closely related to broccoli, kale, mustard greens, and cabbage, though unlike most of its cousins it isn’t very good to eat. This particular plant is so common for experiments because it was the first plant to have its genome sequenced, so scientists understand its inner workings better than almost any other plant.


The researchers were seeking to answer an unusual question: does a plant know when it’s being eaten? To do that, the researchers had to first make a precise audio version of the vibrations that a caterpillar makes as it eats leaves. The theory is that it’s these vibrations that the plant can somehow feel or hear. In addition, the researchers also came up with vibrations to mimic other natural vibrations the plant might experience, like wind noise.


Turns out, the thale cress actually produces some mustard oils and sends them through the leaves to deter predators (the oils are mildly toxic when ingested). And the study showed that when the plants felt or heard the caterpillar-munching vibrations, they sent out extra mustard oils into the leaves. When they felt or heard other vibrations? Nothing. It’s a far more dynamic defense than scientists had realized: the plant is more aware of its surroundings and able to respond than expected.


There’s more research to be done; nobody’s quite sure by what mechanism the plant can actually feel or hear these vibrations, and with so many plants out there, we’re not sure what kind of variation on this behavior there is. But it’s really promising research; there’s even talk of using sound waves to encourage crops to, say, grow faster, or send out specific defenses against attacks. Imagine knowing that a frost is coming, and being able to encourage plants to fruit faster by simply blasting them with music. That’s the kind of crazy sci-fi future this indicates.




(Image via Flickr user Carolyn Conner)

728x90
728x90

식물은 동물에 비해 열등한 생물인가? 그리고 동물은 인간에 비해 열등한 생물인가? 나는 아니라고 본다. 베르그송의 말에 따르면, 서로 방향을 달리하여 진화해 온 결과일 뿐, 거기에는 우등도 열등도 없는 모두 생명의 한 모습이다. 


아래 기사는 식물들 사이에서도 우리가 알지 못하는 '소통'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내용이다. 이 내용에 바질이 고추씨의 발아를 촉진한다는 것처럼, 옛날 우리의 할매들은 마늘밭에 상추씨를 함께 심어왔다. 내가 실제로 그렇게 심어서 실험해보니, 아무것도 없는 곳에 심었을 때보다 마늘밭에 심었을 때 훨씬 상추의 발아율도 높고 자람새도 좋았다. 

아마 예전부터 사이짓기나 섞어짓기를 하는 작물들 사이에는 이렇게 아직 우리가 알지 못하는 일종의 '궁합'이라는 것이 있을 것이다. 서로가 서로에게 좋은 영향을 미치든지, 아니면 또 다른 효과가 있으니 그런 작물들을 짝지워서 농사짓지 않았을까? 바보도 아니고 뭐하러 농지 아깝게 여러 가지를 섞어 심겠는가! 

또한 돌려짓기를 하면 각각의 작물과 공존하는 미생물의 종류가 달라져서 농사에 더 이롭다는 연구도 나온 바 있다. 


바질과 고추에 대해서는 여기를 참조하시길

---------




휘발성 화학물질, 균근 네트워크, 제3의 음향 신호 등으로 소통 밝혀져

동료에 위험 알리고, 천적 불러…곁에 좋은 이웃 있는지도 미리 알아채

 


» 식물은 발이 없지만 다양한 방어수단을 갖췄다. 진딧물의 습격에 대해 방출하는 화학물질을 바꿔 천적을 부른다. 사진=안드레아스 아이클러, 위키미디어 코먼스

 

식물은 초식 곤충의 습격을 받으면 휘발성 화학물질을 방출해 주위에 경보를 발령한다. 잔디를 깎을 때 나는 상큼한 냄새가 바로 이 물질이다. 그런데 식물의 소통방식이 이제껏 알던 것보다 훨씬 다양하고 우리의 상상을 넘어선다는 사실이 밝혀지고 있다.
 

진딧물이 날아와 수액을 빨아먹기 시작했다고 치자. 식물은 방출하던 화학물질 성분을 재빨리 초식 곤충이 싫어하는 성분으로 바꾼다. 이 화학물질은 진딧물에 기생하는 말벌을 끌어들이는 구실도 한다. 말하자면 공격을 당한 식물이 포식곤충에게 “도와줘요!”하고 외치는 꼴이다.
 

그런데 핀란드 연구자들은 참새 목의 작은 새들도 도움을 청하는 식물의 화학신호를 알아챈다는 사실을 실험을 통해 확인했다. 새들은 식물에 붙어있는 곤충 애벌레를 귀신같이 찾아내는데, 잎에 벌레가 갉아먹은 흔적이나 시든 잎 등 시각적 단서를 이용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 새들은 애벌레(A)나 그것이 갉아먹은 잎(B)의 시각적 화학적 단서로 먹이를 찾는다. 핀란드 연구진이 실험을 위해 만든 인공 애벌레(C)와 벌레가 쪼은 모습(D). 사진=엘리나 맨틸래 외, <플로스 원>

 

그러나 시각적 단서를 완전히 차단한 나무 안쪽에서 애벌레가 식물을 먹도록 했는데도 새들은 벌레를 정확히 찾아냈다. 식물이 초식 곤충의 공격을 당했을 때 내는 화학물질을 단서로 보이지 않는 곳의 벌레를 찾은 것이다.

 

물론 나무가 낸 이 화학물질이 새들만을 위한 신호는 아니고 기생 말벌과 포식성 진드기도 유인하는 것이지만, 식물이 무척추동물뿐 아니라 척추동물까지 끌어들이는 소통이 가능하다는 것이 이 연구로 드러났다.

 

» 뿌리와 균사가 형성하는 균근이 식물의 땅속 의사소통의 통로가 되는지를 실험한 영국 연구진의 실험 얼개. 그림=바비코바 외, <에콜로지 레터스>

 

식물은 잎뿐 아니라 뿌리를 통해서도 화학물질을 분비해 다른 식물과 곤충에게 신호를 보낸다. 그런데 단지 뿌리가 아닌 곰팡이의 균사를 통신망으로 활용한다는 사실이 최근 밝혀졌다.
 

곰팡이와 식물의 공생은 매우 널리 퍼져있는데, 가장 대표적인 것이 식물 뿌리와 곰팡이의 균사가 땅속에서 얽혀 균근을 이루는 것이다. 곰팡이는 유기물을 분해한 영양분을 제공하고 질병과 기생충도 막아준다. 식물은 곰팡이에게 광합성으로 만든 탄수화물로 보답한다.
 

영국 과학자들은 실험을 통해 균근이 영양분뿐 아니라 경고 신호를 전달하는 통로 구실도 한다는 사실을 밝혔다. 진딧물의 공격을 받은 식물의 신호물질이 균근을 통해 이웃 식물에 전달된다는 사실을 확인한 것이다.

 


» 식물이 내뿜은 도움 요청 화학신호를 받은 기생 말벌이 매미나방 애벌레 몸속에 알을 낳고 있다. 사진=스콧 바우어, 미국농림부, 위키미디어 코먼스

 

공기를 통한 화학물질 전달을 차단한 콩에 진딧물을 넣자 균근으로 연결된 콩은 진딧물에 대항하는 화학물질을 분비했지만, 균근을 차단한 식물은 아무런 대응도 하지 않았다. 
 
대부분의 식물은 땅속에서 균근으로 연결돼 있어 이런 네트워크를 통한 신호 전달은 큰 의미를 갖는다. 진딧물은 한 번 끼면 급속히 번창하기 때문에 감염을 예방하는 것이 식물에 큰 이득이 된다. 또 곰팡이도 자신에게 한 몫이 돌아올 탄수화물을 진딧물에게 빼앗기기는 싫을 것이다. ‘균근 통신망’은 이런 상호 이익을 선택하는 과정에서 진화했을 것으로 연구자들은 추정했다.
 

이 발견을 유기농에 응용할 수도 있다. 작물 사이사이에 진딧물에 아주 민감한 식물을 심어놓는다면, 이 식물은 일종의 조기경보 장치로 작동해 다른 식물이 진딧물을 퇴치하는 화학물질을 분비하도록 해 줄 것이다. 진딧물이 번진 뒤 허둥지둥 약을 칠 필요가 없어진다.


» 바실. 고추 씨의 발아를 돕는 것으로 드러났다. 사진=크리스천 바우어, 위키미디어 코먼스

 

유럽의 농부들은 고추밭에 바질을 함께 심는다. 토양의 습기를 지켜주는 천연 멀칭 기능을 한다는 것이다. 바질은 허브의 일종으로 다량의 휘발성 물질을 내보내 잡초를 억제하고 천연 살충제 구실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런 농부의 지혜가 옳았음이 호주의 생물학자가 수행한 정밀한 실험에서 밝혀졌다. 바질과 함께 심은 고추의 발아율은 그렇지 않은 고추보다 높았고, 반대로 또 다른 허브인 회향과 함께 심은 고추의 발아율은 떨어졌다.

 

고추는 누가 좋은 이웃이고 누가 나쁜 이웃인지 안다는 것인데, 눈길을 끄는 것은 이제까지 식물 사이의 소통을 매개하는 수단이던 빛, 화학물질, 물리적 접촉이 아닌 제 3의 신호를 통해 안다는 사실이다. 이러한 감각이 중요한 까닭은 곁에 누가 있는지 씨앗 때부터 알아내 싹틀지 말지, 빨리 자랄지 말지를 미리 정하는 것이 나중에 대응하는 것보다 훨씬 유리하기 때문이다.

 

연구자들은 이 새로운 매체가 음향 신호일 가능성을 제시했다. 우리 귀에는 들리지 않지만 세포내 생화학적 과정에서 발생하는 소리로서 세포 골격을 이루는 여러 부위가 "나노 기계적 진동"을 일으켜 만든다는 것이다.

 

식물이 우리가 몰랐던 미세한 음향 소통을 할 가능성을 제시한 것인데, 그래서 음악을 들려주면 식물이 열매를 잘 맺는지도 모를 일이다.

 

 기사가 인용한 논문 원문 정보:

 

Maentylae E, Alessio GA, Blande JD, Heijari J, Holopainen JK, et al. (2008) From Plants to Birds: Higher Avian Predation Rates in Trees Responding to Insect Herbivory. PLoS onE 3(7): e2832. doi:10.1371/journal.pone.0002832

 

Zdenka Babikova et. al., Underground signals carried through common mycelial networks warn neighbouring plants of aphid attack, Ecology Letters (2013) 16: 835.843

 

Gagliano and Renton: Love thy neighbour: facilitation through an alternative signalling modality in plants. BMC Ecology 2013 13:19. doi:10.1186/1472-6785-13-19

 

조홍섭 환경전문기자 ecothink@hani.co.kr


728x90
728x90

hrases like “lessons from the past” or “learning from ancient history” are apt to make our eyes glaze over, and we flash to memories of boring history classes or droning TV documentaries.  But in the case of aquaculture, a little historical knowledge can be both entertaining and enlightening.

Fish farming is not new; it has been practiced for centuries in many cultures.  Ancient Chinese societies fed silkworm feces and nymphs to carp raised in ponds on silkworm farms, Egyptians farmed tilapia as part of their elaborate irrigation technology, and Hawaiians were able to farm a multitude of species such as milkfish, mullet, prawns, and crab. Archaeologists have also found evidence for aquaculture in Mayan society and in the traditions of some North American native communities.

The award for oldest records about fish farming goes to China, where we know it was happening as early as 3500 BCE, and by 1400 BCE we can find records of criminal prosecutions of fish thieves.  In 475 BCE, a self-taught fish entrepreneur (and government bureaucrat) named Fan-Li wrote the first known textbook on fish farming, including coverage of pond construction, broodstock selection and pond maintenance. Given their long experience with aquaculture, it’s no surprise that China continues to be, by far, the largest producer of aquacultural products.

The original ecological Great Wall in Qianxi, Hebei China. Photograph from iStock

The original ecological Great Wall in Qianxi, Hebei China. Photograph from iStock

In Europe, elite Romans cultivated fish on their large plantations, so that they could continue to enjoy a rich and varied diet when they were not in Rome. Fish like mullet and trout were kept in ponds called “stews.”  The stew pond concept continued into the Middle Ages in Europe, particularly as part of the rich agricultural traditions at monasteries, and in later years, in castle moats. Monastic aquaculture was devised, at least in part, to supplement declining stocks of wild fish, a historical theme that resonates dramatically today, as we confront the effects of declining wild fishstocks around the world.

Societies have often used aquaculture to adapt to growing populations, changing climate and cultural diffusion, in sophisticated and sustainable ways. Historical examples can inspire us to encourage aquaculture which is environmentally sustainable and which discourages the use of antibiotics and the destruction of wild sea populations.

For example, taro fishponds in the uplands of Hawaii were used to grow a wide range of salt-tolerant and freshwater fish, such as mullet, silver perch, Hawaiian gobies, prawns and green algae.  The ponds were fed by runoff streams from irrigation as well as hand-made estuaries connected to the nearby sea. They were highly productive, thanks to the replenishing water sources as well as mounds of hand-planted taro plants around the edges, which attracted insects for fish to eat.

Terraced taro field along the hillside of Kauai island. Photograph by YinYang, iStock

Terraced taro field along the hillside of Kauai island. Photograph from iStock

Hawaiians also created more elaborate brackish-water aquaculture techniques as well as seawater ponds to farm ocean fish.  Seawater ponds were created by the construction of a seawall, often made up of coral or lava rock.  Coralline algae gathered from the sea were used to strengthen the walls, as they act as a natural cement.  The seawater ponds contained all of the biota of the original reef environment and supported 22 species.  Innovative canals constructed with wood and fern grates allowed water from the sea, as well as very small fish, to pass through the wall of the canal into the pond.  The grates would prevent mature fish from returning to the sea while at the same time allowing smaller fish into the system.  Fish were harvested at the grates by hand or with nets during the spring, when they would attempt to return to the sea for spawning. The grates allowed ponds to be continually re-stocked with fish from the sea and cleaned of sewage and waste using natural water currents, with very little human involvement.

Ancient Egyptians devised a land-reclamation method around 2000 BCE which is still highly productive, reclaiming over 50,000ha of saline soils and supporting over 10,000 families.  During the spring, large ponds are constructed in saline soils and flooded with fresh water for two weeks.  The water is then drained and flooding is repeated.  After the second flooding is discarded, the ponds are filled with 30cm of water and stocked with mullet fingerlings caught in the sea.  Fish farmers regulate the salinity by adding water throughout the season and there is no need for fertilizer.  About 300-500kg/ha/year of fish are harvested from December through April.  Diffusion takes place where the low salinity standing water forces the higher salinity groundwater downward.  Each year after the spring harvest the soil is checked by inserting a eucalyptus twig into the pond’s soil.  If the twig dies the land is used again for aquaculture for another season; if the twig survives farmers know the soil has been reclaimed and is ready to support crops. This aquaculture method reclaims soil in a three to four year period, compared to 10-year periods required by other practices used in the region.

Chinese fish farming

Floating set of cage farms operated by the Yangjiang Cage Culture Association
Photograph by Mark J. Spalding

Some of the ancient aquaculture in China and Thailand took advantage of what is now referred to as integrated multi-trophic aquaculture (IMTA).  IMTA systems allow the uneaten feed and waste products of a desirable, marketable species, such as shrimp or finfish, to be recaptured and converted into fertilizer, feed and energy for farmed plants and other farm animals.  IMTA systems are not only economically efficient; they also mitigate some of the most difficult aspects of aquaculture, such as waste, environmental harm and overcrowding. In ancient China and Thailand, a single farm might raise multiple species, such as ducks, chickens, pigs and fish while taking advantage of anaerobic (without oxygen) digestion and waste recycling to produce thriving terrestrial husbandry and farming that in turn supported thriving aquaculture farms.

Lessons We Can Learn from Ancient Aquaculture Technology

  • Use plant-based feeds instead of wild fish;
  • Use integrated polyculture practices such as IMTA;
  • Reduce nitrogen and chemical pollution through multi-trophic aquaculture;
  • Reduce escapes of farmed fish to the wild;
  • Protect local habitats;
  • Tighten regulations and increase transparency;
  • Re-introduce time-honored shifting and rotating aquaculture/agriculture practices (Egyptian Model).



http://ocean.nationalgeographic.com/ocean/photos/oceans-galleries-main/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