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살충제14 유전자변형 작물의 재배를 반대하는 근거는 무엇인가? 한국의 경우 5대 식량작물인 벼, 보리, 콩, 옥수수, 감자는 정부에서 육종을 주도하여 생산과 보급까지 책임진다. 세계의 2대 유전자변형 작물인 콩과 옥수수가 한국 시장에서 재배되지 못한 까닭 -곡물사료와 식용원료로 대량으로 수입되기는 하지만- 이 여기에도 있을 것이다.그런데 정.. 2016. 9. 19. 2015년 4월 16일, 그로부터 1년 발단은 이 글이었다. 세계의 살충제 사용량이 예상보다 수질을 심하게 오염시키고 있다는 관련 논문이다. http://www.sciencedaily.com/releases/2015/04/150414083714.htm 이를 보다가 문득 이런 생각이 들었다. '분명 한국에서도 농민들이 무식하게 농약을 팍팍 치니까 그렇다고 할 사람이 있겠지...' 그래.. 2015. 4. 16. 농약이 생물다양성을 대폭 감소시킨다 새로운 두 연구논문에서 농약이 무척추동물의 광범위한 생물다양성 상실에 연결된다고 한다. 농약 사용이 유럽과 호주에서 하루살이와 잠자리 같은 하천에 사는 무척추동물의 지역적 생물다양성을 급격히 감소시켰다는 연구 전미과학아카데미의 논문으로 출간되었다. 선행연구는 개별.. 2013. 6. 20. 농경지 토양 중 농약의 잔류 1. 토양 중 농약잔류 1980년대 초까지는 환경 중 생물농축성이 큰 유기염소계 농약이 극미량이나마 검출되었으나 1990년 이후에는 검출되지 않았으며, 환경 중 잔류 우려가 없는 유기인계 농약이 낮은 검출빈도로 극미량 검출되었다. 표 1. 논토양 중 농약 잔류량의 변화 (농약연 : 1982, 농과.. 2013. 1. 22. 환경을 파괴하지 않고 충해를 줄이기 By Mara Schechter 살충제는 비싸고 종종 인간의 건강과 환경에 해를 끼친다. 개발도상국에서 농민들은 때로 보호장구 없이 독성 화학물질을 사용하다가 건강문제를 일으킨다. 그리고 때로는 해충이 살충제에 내성을 갖게 되어 더 많은 양의 —그리고 효과가 떨어지는— 살충제를 쓰게 .. 2012. 12. 27. <침묵의 봄> 이후 50년, 과학에 대한 비난은 계속된다 When Silent Spring was published in 1962, author Rachel Carson was subjected to vicious personal assaults that had nothing do with the science or the merits of pesticide use. Those attacks find a troubling parallel today in the campaigns against climate scientists who point to evidence of a rapidly warming world.by frank graham jr.Yes, the more things change, the more they sta.. 2012. 7. 4. 이전 1 2 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