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토양 중 농약잔류 |
1980년대 초까지는 환경 중 생물농축성이 큰 유기염소계 농약이 극미량이나마 검출되었으나 1990년 이후에는 검출되지 않았으며, 환경 중 잔류 우려가 없는
유기인계 농약이 낮은 검출빈도로 극미량 검출되었다.
|
표 1. 논토양 중 농약 잔류량의 변화 (농약연 : 1982, 농과원 : 1995)
|
농 약
|
1982
|
1999
|
검출빈도(%)
|
잔류량(ppm)
|
검출빈도(%)
|
잔류량(ppm)
|
BHC
DDT
Heptachlor
Iprobenfos
Diazinon
Phenthoate
|
100
58
89
56
70
2
|
0.003
0.003
0.001
0.019
0.013
0.003
|
0
0
0
20
12
0
|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0.129
0.002
불검출
|
|
표 2. 시설재배지 토양 중 농약잔류 실태 (농과원 : 1996)
|
구 분
|
농 약
|
검출빈도(%)
|
검출범위(ppm)
|
불검출 성분
|
살균제
|
Fenarimol
Vinclozolin
Hexaconazole 등 5종
|
7.9
5.0
0.7~4.3
|
0.007~0.770
0.001~0.214
0.003~0.512
|
Cyproconazole등 6종
|
살충제
|
Ethoprophos
Endosulfan
Bifenthrin 등 11종
|
10.0
9.3
0.7~0.6
|
0.003~0.295
0.002~0.147
0.009~0.141
|
DDT등 13종
|
제초제
|
Butachlor
Alachlor 등 3종
|
10.0
0.7
|
0.005~0.198
0.013~0.053
|
Bromacil등 7종
|
주) Captafol, Chlorpyrifos, Diazinon,
Dichlofluanid, Dieldrin, Endosulfan, Ethoprophos, Fenobucarb,
Iprobenfos, Isoprocarb,
Fonofos, Parathion, Phenthoate, Pirimicarb, Pirimiphos-ethyl,
Pirimiphos-methyl
및
Terbufos는 낮은 검출빈도로 극미량이 검출되었음
|
|
표 3. 농약의 토양 중 최장 반감기
(단위 : 성분수)
|
구 분
|
토양중 최장 반감기(일)
|
계
|
〈 15
|
16~30
|
31~60
|
61~120
|
121~180
|
〉181
|
살 균 제
살 충 제
제 초 제
생장조정제
|
37
45
33
8
|
31
43
30
6
|
21
26
25
1
|
15
14
4
1
|
1
2
1
1
|
-
-
-
-
|
105
130
93
17
|
계
|
123
(35.6%)
|
110
(31.9)
|
73
(21.2)
|
34
(9.9)
|
5
(1.4)
|
-
(0.0)
|
345
(100)
|
|
가. 토양 중 잔류농약의 안전성 여부는 농약의 토양 중 반감기로
평가하고 있으며 경작지 토양 중 반감기가 6개월
이상인 농약으로 후작물에 영향이 있는 농약을 토양잔류성
농약으로 구분하고 있다.
나. 현재 국내에서 사용중인 농약의 대부분(98% 이상)이 토양 중 반감기가
120일 미만으로 잔류기간이 짧아
토양 중 농약의 잔류 우려가 없다. 또한 토양잔류성 농약은 앞으로도 계속하여 등록이 보류된다.
다. 미국, 일본 등
선진국에서는 농약의 토양 중 반감기가 1년 이상인 농약을 토양잔류성 농약으로 분류하고 있다.
|
2. 농약사용과 토양의 특성 변화
|
|
가. 농약사용과 토양의
pH 변화
|
|
농약은 일반 유기물과 같이 탄소와 수소가 주축이 되고 그 외에 질소,
인산, 유황 등의 원소가 결합되어 있는 유기화합물로서 토양중의 미생물에 의해서 최종적으로
물과 탄산가스로 분해되어 소실되므로 토양을 산성화시킬 우려할 만한 요인을 가지고 있지 않다.
|
|
표 4. 농약 종류별 토양 pH에 미치는 영향 (농기연 :
1979)
|
구 분
|
무 처 리
|
농 약 처 리(표준량 살포)
|
살 균 제
(아이비입제)
|
살 충 제
(카보입제)
|
제 초 제
(부타입제)
|
토양 pH
|
6.22
|
6.44
|
6.36
|
6.40
|
|
|
나. 농약사용과 토양미생물의 활성
|
|
(1) 농약도 탄수화물과 같은 유기화합물이므로 농약의 종류에 따라서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토양미생물이
농약을 분해하여 자체의 영양원으로 이용하기도
한다.
(2) 농약사용으로 질소 고정량이 증가하는 것은 토양중 유용미생물인 질소고정균이 농약을 분해하여
영양분으로 이용하므로 활력이 증대되기 때문이다.
|
|
표 5. 농약이 토양미생물에 미치는 영향 (농기연 : 1980)
|
|
처리농약
|
토양 미생물수(토양g당)
|
질소 고정량
(mg/100g 토양/38일)
|
세균
|
곰 팡 이
|
방 선 균
|
무 처 리
살균제 (아이비입제)
살충제 (카 보 입 제)
제초제 (부 타 입 제)
|
x 106
5.4
5.9
4.1
6.9
|
x 103
7
11
12
6
|
x 106
3.0
1.7
4.0
10.3
|
0.045
3.171
7.205
2.898
|
|
3. 토양중 농약의 잔류대책
|
가. 토양 중 잔류농약의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한 잔류허용기준을
설정한다.
나. 토양 중 농약의 분해, 대사산물의
생물활성 및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 잔류농약 경감대책을 수립한다.
다. PIC(Prior Informed Consent)제도 적극
수용, 잔류성 농약의 국내 사용을 근본적으로 방지한다.
|
표 6. 잔류성 농약의 생산, 사용 금지 상황
|
구 분
|
농 약
|
생산 및 사용금지농약
|
살균제
살충제
|
유기수은계 농약
유기염소계 농약
|
세레산석회(1969), 메르크롱(1978)
알드린·디엘드린(1971), 엔드린(1979), 디디티 (1979)
비에치씨(1979), 헵타크롤(1979)
|
|
잔류기간이 긴 유기수은계 및 유기염소계 농약 15종은 이미
생산, 사용을 금지시켰으며, 앞으로도 잔류성 농약은 계속하여
사용이 규제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