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44 마을의 작은 정미소가 구하는 아시아, 아프리카의 쌀농사 - 맺음말을 대신해 맺음말을 대신해 '기술'이란 물질이 아니다사회관계를 무시한 '기술적 해결'이란 있을 수 없다 2차대전 패전 이후 많은 일본인은 이제부터는 세계 사람들의 평화적 발전을 위해 공헌하는 것이 그 살아가는 길이라 말하고, 해외 여러 나라의 사람들과 함께 발전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로 협력해 왔다. 선진국으로부터 도상국으로는 여러 가지 경제적 원조가 행해졌지만, 이윽고 "배고픈 자에게 주어야 할 것은 물고기가 아니라, 낚시 도구와 낚시 기술이다"라고 주창하며 "technology transfer"라는 것이 국제적으로 널리 강조되었다.이것을 일본에서는 '기술 이전'이라고 번역되었다. 기술이란 '전하고' '배우는' 것이지, 건물이나 물품처럼 한 지점에서 다른 장소로 '이동되'거나, 또는 사람에게서 사람으로 단순히.. 2025. 4. 1. 마을의 작은 정미소가 구하는 아시아, 아프리카의 쌀농사 -5장 5장 아시아, 아프리카의 쌀 증산과 농촌 정미소 농촌 정미소의 출현에 따른 인도네시아의 기적적인 쌀 증산 쌀농사로 농민이 얻는 이익은 매우 낮았다일찍이 인도네시아는 세계 최대의 쌀 수입국으로, 세계의 식량 안정 공급이란 측면에서 일대 불안 요인이었다. 그래서 1945년 독립 이후, 이 나라에서는 쌀의 증산이 지상명령이었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쌀 생산 증가의 발걸음은 더디기만 했다. 당시, 이 나라의 정미소는 화교의 소유·운영되는 소수의 상업 정미소밖에 없고, 그 총 정미 능력은 생산 나락의 10~20% 정도밖에 되지 않았다. 그렇다면 정미소가 신설·증설되어도 좋을 것 같지만, 거기에는 정부의 '허가'가 필요하고 그 허가를 얻을 수 있는 건 쌀의 집하·가공·판매·수입 등을 도맡아 하고 있는 화.. 2025. 3. 26. 마을의 작은 정미소가 구하는 아시아, 아프리카의 쌀농사 -4장 4장 농촌 정미소의 파급 효과 농촌 정미소는 그걸 쓰지 않는 농민에게도 도움이 된다 쌀농사 역사가 긴 아시아 여러 나라에서는 오늘날 농촌의 곳곳에 농촌 정미소가 있어서 농민이 널리 이용하고 있다. 아시아의 쌀농사 농민에게는 "나락으로 파는 건 손해, 백미로 만들어 팔면 돈벌이가 된다"는 것은 당연한 상식이 되고 있다. 그래서 그들의 대부분은 "가능하다면 나락으로가 아니라 백미로 만들어 팔고 싶다"고 염원한다. 그러나 빚에 쫓기고 있는 많은 소농민은 연간 수십 퍼센트에 이르는 고리의 빚을 서둘러 변제할 필요에 쫓기고 있기에, 나락 가격이 가장 싼 수확 직후의 시기에 손해를 감수하고 대부분의 나락을 그대로 집하업자에게 팔아 치울 수밖에 없는 일이 많다. 비록 나락 채로 팔더라도 그것을 좀 더 저장했다가 .. 2025. 3. 20. 김포의 농기구와 생활도구 해당 자료의 원문을 볼 수 있음 https://memory.library.kr/items/show/210028400 김포의 농기구와 생활도구 | 경기도메모리 디지털 아카이브 2009년 11월부터 12월까지 시행한 김포지역 근.현대 역사자료 조사 및 수집사업의 결과물로 농기구와 생활도구를 중심으로 함 memory.library.kr 2024. 3. 20. 농업용 로봇이 농업노동자와 농촌 사회에 미치는 영향 TX Harvesters from advanced.farm it’s a misty morning near Salinas, California and the advanced.farm TX harvester—a lightweight, driverless tractor covered in canvas—is picking strawberries. Like a dot-matrix printer moving along a page, the harvester’s robotic hands move back and forth along the beds, scanning for signs of red. When it identifies a ripe berry, it dives down, gently plucks it fr.. 2020. 10. 5. 농촌에서 식료품점을 개업하다 미국의 농촌도 인구 고령화와 감소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그와 관련해 지역사회에서 식료품점이 사라지고 있는 게 농촌 지역 주민의 복지에 심각한 악영향을 미치고 있어 그에 대한 대책을 강구하고 있는가 보다.한국도 마찬가지이지. 물론 땅이 넓은 만큼 우리와 비교할 수 없는 물리적.. 2020. 1. 10. 이전 1 2 3 4 ··· 8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