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농촌44

농촌은 소멸될까? 농촌에서 초등학교 입학생이 사라지고 있다는 건 하루 이틀 일이 아니지만, 그 속도가 더욱 가속되고 있는가 보다. https://www.nongmin.com/news/NEWS/POL/ETC/308300/view?fbclid=IwAR2NIhLZLjxq41vFNnjgEDRe0_gS8Vhuihn_GNjwcUsFqAD2mAN494vw6ug 입학생이 없다는 건 아이를 낳아 키우는, 즉 경제활동의 가장 주축이 되는 연.. 2019. 3. 8.
농촌지도? 말에는 생각이 담겨 있다. 영어로 된 자료를 볼 때마다 한번씩 마주치는 단어가 있다. 바로 agricultural extension service이다. 단어만 놓고 보면, 농업의+연장+서비스 인가? 이게 도대체 무슨 말인가 싶어서 한번씩 찾아보는데, 그럴 때마다 한국의 사회와 역사가 고스란히 드러나서 씁쓸한 웃음.. 2019. 1. 29.
남성들이 농촌을 떠나면 남아 있는 여성에겐 어떤 일이 생기는가 네팔과 세네갈의 사례 공유 네팔의 여성 소농. 네팔 정부의 빈곤 경감 펀드 II 프로젝트 코피 아난Kofi Annan 씨는‘여성의 권한을 강화하는 것보다 효과적인 도구가 없다.’고 말한 바 있다. 이는 농업 부문에서는 분명 사실이다. 권한이 강화된 여성은 지속가능한 농업 성장과 평등한 농촌.. 2019. 1. 29.
소농과 농촌에서 일하는 사람들의 권리 선언 덧붙임 최신 개정판(2015년판)에서는 3개 조항이 더해져 모두 30개의 조항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걸 찾아 한국어로 옮기는 건 다음으로 미루겠다. https://www.cetim.ch/wp-content/uploads/newDraft.pdf 선언의 구성 서문 제1조 소농과 농촌에서 일하는 사람에 대한 정의 제2조 당사국의 .. 2018. 3. 15.
타이완의 독특한 중소기업 문화와 농업 재밌다. 타이완의 중소기업 문화가 궁금하여 찾았더니 <대만 중소기업의 신화의 오해와 진실>이란 보고서가 나왔다. http://saesayon.org/AttachFiles/1289207604063_1.pdf 요약 부분만 보자면 이렇다. 타이완이 처음부터 중소기업을 육성한 게 아니라, 나라에서 국공영 부문만 신경을 쓰다보니 자연.. 2017. 11. 21.
농사는 누가 짓는가? 저출산 대책을 세워서 시행해 보았자 사람들이 60-70년대처럼 애를 낳지는 않을 테니, 천상 이주민들을 대상으로 한 정책을 잘 짜야 하지 않을까 싶다. 최근 일본도 그런 방향으로 돌아섰더만.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6/06/09/2016060902265.html 아무리 월급을 많이 준다고 해도 농업 부.. 2017. 2. 1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