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농지30

개발 위협에 놓인 에티오피아의 부족들 이 아름답고도 슬픈 영상을 보셔요. 요즘 한국에서도 열심히 추진하고 있는 선진국들의 해외농업개발사업이 싸질러 놓는 결과입니다. 물론 해당 국가의 권력기관도 책임을 져야겠지요. --------- 에티오피아는 적극적인 해외농업 투자의 관심을 받으며 2008~2010년 상업농장 사업을 위해 약 3.. 2013. 6. 5.
미국의 황진지대 1900년대 초반, 미국의 농민들은 값싼 땅을 찾아서 남부의 평원으로 몰려들었다. 이 지역은 사실 강한 바람에 뜨거운 여름, 빈번한 가뭄으로 농사에 적합한 곳은 아니었다. 특히 1차대전 기간에 밀 가격이 폭등을 하면서 농민들의 이주를 부추겼다. 밀 가격의 폭등과 함께 토지 개발업자들.. 2013. 6. 3.
숲을 밀어버리고 농경지를 만들어요 해리슨 포드 씨가 끝내주는 목소리로 전합니다. "이 풍경은 단지 숲이 불타는 게 아닙니다. 이것은 기후변화의 문제입니다." 우리가 즐겨 먹는 라면을 튀기는 데 팜유를 쓰죠. 그 팜유는 이렇게 숲을 밀어버리고 생산됩니다. 예전에 보도가 된 사진입니다. 인도네시아에서 팜야자 농장의 .. 2013. 3. 22.
방글라데시가 미국 농업의 엉덩이를 걷어차다 A John Deere combine harvests corn.USDA/Wikimedia Commons매년 미국 농지의 약 30%에는 옥수수를 재배하고, 미국의 농민들은 매해 세계에서 생산되는 옥수수의 40% 가까이를 생산한다. 왜 미국은 이렇게 단일작물만 많이 재배하는가 —그리고 그 노력으로 얻는 것은 무엇인가? 8년 전 식량 정치에 관하.. 2013. 3. 13.
옥수수 왕이 미국의 초원을 점령하다 옥수수와 대두 밭이 서부 옥수수 곡창지대의 초원을 급속하게 삼키고 있다. 미국의 옥수수 벨트 지역을 급속도로 옥수수와 대두가 점령하고 있다. 점점 심해지는 기후변화의 영향을 생각하면 옥수수밭을 차라리 소를 위한 목초지로 전환하여 대비하는 것이 더 낫다. 그 발상은 그러한 움.. 2013. 3. 5.
세계의 곡물 생산과 토지 이용에 대해 먼저 아래는 1990~2012년 사이 세계의 곡물 생산량과 재고율을 보여주는 표이다. 이를 한눈에 알아보기 쉽도록 다른 그래프로 살펴보자. 위 그래프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세계의 곡물 생산량은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이나, 해에 따라 기후변화의 영향이 심해지면 생산량이 조금씩 감소하기.. 2013. 3. 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