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지30 농업 붐이 일고 있는 미국 미국에서는 최근 다시 농업이 주목을 받고 있다. 식량이나 에너지 문제가 불궈질수록 그러한 경향이 강해진다고 하는데, 이를 뒷받침하는 것이 바로 부동산이다. 아래 지도를 보면 어디가 요즘 땅값이 비싼지 확인할 수 있다. 이를 보면 특히 농업지대의 땅값이 오르고 있는 걸 볼 수 있.. 2014. 1. 2. 충남, 밭토양 비옥도 '양호' 기사의 제목과 달리 석회 같은 중화제를 사용하여 토양의 산성도만 낮추었을 뿐, 정작 중요한 토양의 유기물 함량은 2%대로 좋은 토양이라고 부르는 5%대에 절반 수준밖에 안 된다. 이래서야 계속해서 화학비료에 의존할 수밖에 없지 않을까. 그런데도 토양 비옥도가 양호하다는 건 기자.. 2013. 10. 21. 도시농업 활성화를 위한 캘리포니아의 새로운 법안 토지 소유자가 적어도 5년 동안 농사를 짓는다면 지방자치단체에서 3600평 미만의 토지에 대한 재산세를 낮춰주어서 지역사회 텃밭과 소농을 촉진하는 새로운 법안. 샌프란시스코 주거지 근처에서 소규모 상업적 농장을 운영하는 Caitlyn Galloway 씨는 캘리포니아주의 많은 도시농업 종사자.. 2013. 10. 10. 농민, 30년만에 전체인구 28.9%에서 6.4%로 급감 잊혀진 존재, 농민-(상) 경기화성 충북청원 전남광양 경남의창 감소 폭 커 중간규모 농가 몰락하고 소규모 농가 늘어 양극화 흔히 가을은 수확의 계절이라고 한다. 하지만 온 국민의 90%가 넘는 도시민들에게 이 말은 그저 상징에 불과하다. “수확”을 체감할 수 없는 세상이 되면서, 함께.. 2013. 10. 8. 수확량을 확 올리고 싶다고? 땅에 휴식을 줘라 전통농업의 방법에 대한 글인 줄 알고 덤볐다가 뒤로 갈수록 경제적인 측면에 대한 이야기로 흘러버린다. 그만큼 이해하기 어려웠던 내용이라 번역도 엉망이다. 정확한 내용이 궁금한 분은 원문을 참고하시길 바란다. 나는 그저 '히마'라는 전통적인 농법이 있다는 사실에 만족하련다. .. 2013. 9. 25. 중국의 팽창과 농지 확보전쟁 작년 우크라이나에서는 외국인의 토지취득 금지법이 해제되었다. 그러고 난 뒤 며칠 전, 중국이 50년 동안 최대 300만 헥타르에 달하는 우쿠라이나의 농지를 구입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2008년 식량 위기를 겪은 뒤 한국에서도 더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해외농업개발사업의 일환으로 .. 2013. 9. 24. 이전 1 2 3 4 5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