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농사354

2003년 8월 13일, 텃밭일기 부시시한 얼굴로 일어나 늦은 아침을 먹었다. 오늘은 아무 연락이 없어 텃밭 모임은 어떻게 되는 것인지 궁금한 마음이 한구석에 계속 남아 있었다. 11시쯤이었나 회장님에게서 연락이 왔다. "지금 출발하니 두시간쯤 걸릴 것 같다." 얼추 시간을 계산해보니 좀 더 게으름을 피워도 될 것 .. 2008. 9. 13.
섞어짓기 작물 1. 섞어짓기나 사이짓기를 하면 해충 발생을 줄여주는 식물 * 감자 ; 강낭콩, 양배추, 옥수수, 금잔화 * 강낭콩 ; 당근, 샐러리, 오이, 꽃양배추, 감자, 옥수수, 딸기 * 당근 ; 파, 상추, 양파, 완두콩, 로즈메리, 부추, 토마토 * 딸기 ; 강낭콩, 상추, 시금치, 백리향 * 무 ; 오이, 상추, 한련화, 완두콩 * 상추 ; 당근, 무, 딸기, 양파 * 시금치 ; 딸기 * 양배추 ; 샐러리, 토마토, 양파 * 양파 ; 상추, 딸기, 토마토 * 오이 ; 강낭콩, 완두콩, 무, 해바라기 * 완두콩 ; 당근, 강낭콩, 오이, 순무 * 토마토 ; 당근, 파 2. 해충을 물리치는 혼작, 간작 작물 식물은 자기 몸을 지키기 위해 식물체나 뿌리로부터 분비물을 내어, 나쁨 균이 붙지 못 하게 하는 힘을 가.. 2008. 9. 13.
전통농업 벽제와 안산 취재 벽제 동광원 저희는 ‘전통농법에서 배우자.’ 라는 취지로 취재를 다니고 있습니다. 여기는 무척 넓어 보이는데 지금 농사짓는 평수가 얼마나 되나요? 처음에는 저 위하고 여기하고 8천 평 됐어요. 그러다 저 위 4천 평은 나라 땅이라고 해서 다 나무 심어서 돌려주고, 몇 년 전에 1500평 팔고 지금은 한 .. 2008. 9. 13.
우리말로 농사짓자! -2편 씨뿌리기 바야흐로 새들이 우짖고 푸른 새싹이 돋는 따뜻한 봄날입니다. 하루가 다르게 바뀌는 자연에 맞춰 우리네 몸도 겨우내 묵은 때를 털고 봄기운을 맞이하느라 찌뿌드드하고 졸음이 쏟아집니다. 그와 함께 슬슬 본격적인 농사철이 다가옵니다. 부지런한 농부는 이미 준비를 다 끝냈지만 게으른 농부는 .. 2008. 9. 4.
우리말로 농사짓자 -흙살림 신문용 이번호에서는 어렵고 낯선 농사 용어 대신 우리말로 농사짓는 문제를 제기하려고 합니다. 범람하는 외국어의 홍수와 그 잔재 속에서 우리말로 농사짓는 것도 전통을 지키는 한 방안입니다. 토종과 전통 농업을 되살리는 일만큼 우리말을 되살리는 일도 중요한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우리.. 2008. 8. 22.
한정록에 나오는 농사 관련 기사 “곡식의 씨앗을 심는 일은 각기 차례가 있으니, 시기의 적합함을 잘 알아서 선후의 차례를 어기지 않는다면, 서로 이어서 생장하고 서로 힘입어 유리하게 사용될 것인데, 곡식이 어찌 결핍되는 일이 있겠는가. 1월에는 삼을 심고, 2월에는 조를 심고, 참깨 중에는 조생종과 만생종 두 종류가 있으니 3월.. 2008. 8. 1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