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농법106

각 농법별 지속가능한 토양 관리 2015. 4. 3.
무경운 농법이 뜨고 있다. 한국에선 아직 무경운 농법이라 하면 이상하거나 독특한 사람이나 하는 일이라고 생각하지만, 미국에서는 요즘 무경운 농법이 뜨고 있는 것 같다. 철학이니 가치관이니 하는 걸 떠나 그것이 더 생산적인 농법이기 때문에 그러하다. 무경운과 풋거름, 덮개작물을 돌려짓기하여 흙을 살리.. 2015. 3. 10.
지렁이가 사라진 흙 한국의 농지에서 지렁이의 개체수를 조사한 자료에 의하면, 유기농지 약 75%, 시설재배 42%, 휴경지 33%, 관행농지 20%로 나타납니다. 즉 농지에서 숨은 일꾼인 지렁이가 사라지고 있는 것입니다.지렁이가 살 수 없는 흙에 여타 미생물이라고 온전히 살아갈 수 있겠습니까? 농지에서 작물만 .. 2015. 2. 6.
무경운 이앙기 오늘은 아는 분이 무경운 벼농사에 관해 부탁하신 일이 있어 인터넷을 뒤졌다. 실제로 본인이 시도해 보려고 하는데 농기계를 구할 수 없냐는 부탁이다. 그래서 일본 불경기재배보급회 홈페이지에 들어가 여기저기 뒤지던 중 농기계 관련한 게시물을 발견했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았다(.. 2015. 1. 28.
녹비작물을 심자 친환경농업이 바람을 타면서 여러 가지 농법들이 소개되고 있다. 어떠한 농법이든지 친환경이란 이름을 쓰려면 그 기본은 똑같을 것이다. 외부에서 가져오는 것을 최소화하며, 최대한 내부에서 자원을 순환시키라. 그러기 위해서는 농경지의 생태계를 살려서 활용하는 게 우선이다. 흙.. 2015. 1. 14.
통일벼와 농민 통일벼와 한국의 농업정책에 관한 좋은 글... 한가지 지적할 점은 통일벼를 둘러싼 논란의 궁극적 원인은 밥맛은 물론 농법에도 있다는 사실이다. 김태호 박사가 미처 그것까지는 조사하지 못했는가 보다. http://t.co/LyoQDbQe3S 통일벼는 그 육종계통상 추위에 약한 품종인데다 생육기간이 긴.. 2014. 8. 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