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농법106

무경운 농법이 폭염의 기세를 꺾는다 Soybean plants emerge from the residue of the preceding year's wheat crop in this Arkansas field. ‘No-till’ farming — in which seeds are sown into fields without first ploughing them — could help to lower temperatures near croplands by up to 2 °C, researchers report in the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1. The effect is driven by the increased .. 2014. 6. 25.
생태계를 복원하고, 홍수를 막고, 토양을 비옥하게 John D. Liu is an environmental film maker, travelling the world exploring how countries follow natures systems to find solutions to droughts and flooding. Ranging from China to Rwanda, communities are feeling the effects of a changing climate. Along with intensive agriculture that depletes the soils, farmers are losing livestock and crops due to excessive weather, lack of soi.. 2014. 3. 24.
덮개작물은 무엇인가? Cover crops can improve soil quality, add nitrogen and reduce weeds, but how can they fit into a conventional rotation? Will Wilson reports from a Controlled Traffic Farming meeting on the topic On paper, cover crops sound appealing for arable growers: they can help improve soil structure and quality, provide a source of nitrogen, and potentially suppress weeds and pests. But .. 2014. 3. 24.
토지 이용 강도와 생물다양성에 대한 유기농업의 영향 Sean L. Tuck1,*, Camilla Winqvist2, Flávia Mota3, Johan Ahnström2, Lindsay A. Turnbull1,3,†, Janne Bengtsson2,†Article first published online: 7 FEB 2014 DOI: 10.1111/1365-2664.12219 Keywords:agricultural management;diversity;farming systems;landscape complexity;species richnessSummaryThe benefits of organic farming to biodiversity in agricultural landscapes cont.. 2014. 2. 23.
전통농법이 꽤 좋은 농법이란 사실이 밝혀지고 있다 물고기와 벼농사를 지으려면 옛날 방식이 좋다. 새로운 종류의 신기술이 나타나기 전 과거 수천 년 동안 인간이 먹고살아 왔던 방법을 기억하는가? 옛날 방식을 한번 돌아볼 필요가 있다. 유엔은 최근 여러 생물의 멸종 속도를 늦추기 위하여 115개국과 함께 생물다양성과 생태계 서비스.. 2013. 12. 11.
유전자변형 작물의 재배를 그만두고 있는 미국 농부들의 이야기 유전자변형 작물의 본산인 미국에서 이러저러한 이유로 유전자변형 작물이 아닌 기존의 종자를 선택해서 심는 사람들이 조금씩 늘고 있다는 소식이다. 그 배경에는 역시 유전자변형 식품표시제가 놓여 있다. 그로 인해 소비자의 수요가 변화하고, 그 변화에 맞추어 농민들이 움직이고 .. 2013. 12. 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