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https://www.bloomberg.com/graphics/2018-us-land-use/










728x90
728x90

유럽연합 법원에서 중요한 판결이 내려졌습니다. 유전자 가위 등이라 불리는 유전자 편집 기술로 개발한 동식물은 기존의 유전자변형 생물체(GMO)와 같은 것이라는 판결입니다. 

이로써 유전자 편집 기술은 기존의 유전자변형 기술과 다른 것으로서, 그것과 마찬가지의 규제와 비판에서 자유로우며 그 기술을 활용해 새로운 동식물 품종을 개발해 인류의 이익에 이바지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은 반발하겠네요. 그들이 어떤 반박을 내놓을지 궁금합니다. 



 에딘버러Edinburgh 대학 로슬린Roslin 연구소의 과학자들이 세계에서 가장 흔한 동물 질병에 면역이 생기도록 유전자 변형한 돼지이다.  사진: Murdo Macleod for the Guardian




최첨단 유전자 편집 기술로 만들어진 식물과 동물은 유전적으로 변형된 것으로 규제되어야 한다고 유럽연합 최고법원이 판결했다.  

획기적 판결은 무엇이 유전자변형 식품이고 무엇이 아닌지에 대한 유럽에서의 10년에 걸친 논쟁에 종지부를 찍어, 환경론자들에게는 승리를, 유럽의 생명공학 산업에는 큰 타격을 준다.

또한 오메가-3 어유가 증가된 유전자 편집 기름냉이 작물의 포장 시험을 시작하려고 합법적인 애매한 지역을 이용하던 영국의 과학자들에게 좌절을 안긴다.

그린피스의 대변인은 이 판결로 인해 영국 -및 벨기에와 스웨덴, 핀란드- 정부는 적절한 예방조치가 취해질 때까지 시험을 위한 허가를 철회해야 한다고 논평했다.

그 판결에서 유럽연합의 판사들은 이렇게 이야기했다. “돌연변이를 유발하여 획득한 유기체는 유전자변형 유기체(GMO)이다. … 그러한 유기체는 원칙적으로 유전자변형 유기체의 지령 범위 안에서 발생하며,(그 안에) 정해진 의무가 적용된다.”

법원은 새롭고 비관행적인 시험관내 돌연변이 유발 기술이 잠재적으로 건강에 위험을 지닌 제초제 저항성 식물을 생산하는 데 사용될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하며 이 소송을 제기한 프랑스 농산물 무역연맹 콘페데라치욘 페이장Confédération Paysanne의 편을 들었다. 

지난주 Nature에 발표된 한 연구에 의하면, 유전자 편집기술인 Crispr-Cas9이 잠재적으로 “질병의 원인이 되는 결과”와 함께 예상보다 훨씬 큰 유전적 왜곡을 일으킬 수 있다고 한다. 

유전자 편집은 외부의 DNA를 삽입하지 않고, 바라지 않는 특성을 제거하기 위해 게놈 가닥을 잘라내 살아 있는 종의 게놈을 변경한다.   

미국의 생명공학 기업 Cibus는  정보법의 자유에 따라발표된 문서에 의하면,  시장에 제초제 저항성 ODM  유료종자 유채를 출시하기 위하여 이미 유럽연합의 의사결정 과정을 우회하고자 했다.

그러나 로담스테드Rothamsted 연구소에서 영국의 유전자가위 편집 식물의 현지시험을 이끈 Johnathan Napier 교수는 법원의 판결을 “진보가 아니라 후퇴”라며 비난했다.

그는 이야기했다. “이것은 매우 실망스러운 결과이며, 유럽의 혁신과 영향력, 과학적 진전을 저해하는 요인이 될 것이다. 게놈이 편집된 유기체를 GMO 지침으로 분류하는 건 이 혁명적인 기술의 문을 닫아 버릴 수 있다.”

유기체의 세포가 복구될 때, 그들의 DNA는 어떤 방식으로든 재정렬된다. 예를 들어, 생명공학 업계는 작물이 가뭄 저항성 특성을 갖도록 안전하게 개발할 수 있고, 따라서 혁신과 일자리, 무역을 증진시킬 것이라 믿는다.   

다우, 듀폰, 몬산토 같은 기업을 대표하는 EuropaBio의  그린 디렉터 Beat Späth 씨는 이야기했다. “납세자와 산업계를 막론하고 수십억 유로가 게놈 편집의 연구와 개발에 들어갔다. 큰 위험은 이제 이 비용이 모두 유럽 농민들의 농산물로 옮겨가지 않을 것이란 점이다.”

로담스테드 연구소의 대변인은 “우리가 유전자 편집 기술에 얼마나 많은 돈을 썼는지 말할 수 없다”고 이야기했다. 

그린피스 유럽의 식량정책 디렉터 Franziska Achterberg 씨는 법원의 판결은 인간의 건강과 환경의 보호를 우선시하는 것이라고 이야기했다. 

그녀는 “특히 유전자 편집이 의도하지 않은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할 때, 적절한 안전조치 없이 새로운 유전자변형 생물체를 환경에 내보내는 건 불법이며 무책임하다. 유럽연합의 집행위원회와 정부는 이제 모든 새로운 유전자변형 생물체가 완전히 시험하여 라벨을 붙여야 하고, 어떤 현지시험이라도 GMO 규정에 따라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고 이야기했다.



https://www.theguardian.com/environment/2018/jul/25/gene-editing-is-gm-europes-highest-court-rules?CMP=share_btn_tw




728x90
728x90

Archaeologists have found tiny pieces of ancient bread from hunter-gatherers that predate agriculture by about 4,000 years



The world’s oldest bread crumbs found to date were excavated from the stone-lined fireplace in the center of this photo. Credit: Alexis Pantos




It’s mid-August in 2013, and we are working in the dry heat of the Jordanian Harra basalt desert. It is the last week of our second season of excavations at the 14,500-year-old archaeological site called Shubayqa 1. We have just finished exposing the stone floor of a Paleolithic house, and we are elated—it took six weeks of digging to get to this point. Our next target is to reach a circular, stone-lined fireplace, measuring about a meter across, that is set into the floor of the building. Careful excavation over the course of the next two days produces excitement among the team members: We have unearthed tens of thousands of charred plant remains preserved in the ashy sediment. This is an unprecedented find because plant remains from this timeframe in southwest Asia are exceptionally rare. And to uncover thousands in one spot is an archaeobotanist’s dream. Little did we know that further analysis would reveal something even more shocking: We had happened upon the earliest known crumbs of bread.


Bread is the most common staple food in most parts of the world, apart from some areas of Asia where rice is king. It is also one of the most diverse food products: Each region makes its own distinct varieties using doughs made from water mixed with wheat, rye, corn, or other common plant-derived ingredients. Bread also has significant cultural, even national, connotations: What would France be without its baguette and croissant? Denmark without its rugbrød (rye bread) and smørrebrød (open-faced sandwiches)? The Arab world without pita? Every culture has developed its own types of bread that have, in many cases, become a culinary expression of identity. Baguettes, rye breads, tortillas, bagels, pitas, chapatis, focaccia, malooga (a flatbread found in Yemen), or nan—if you live in Europe, the Americas, Africa, or most parts of Asia, there’s a good chance that you’ll eat bread on any given day.


Yet the origins of bread, and why and how it became such a popular and versatile staple food, have been shrouded in something of a mystery.


Although labor intensive, making simple bread is relatively straightforward: one only needs water, flour, and a suitable place to bake—something as simple as a hot, flat stone will work. Archaeologists have detected traces of starch on grinding tools dating to the Upper Paleolithic (11,500–50,000 years ago) at a number of archaeological sites in modern-day Russia, Italy, the Czech Republic, and Israel. Although some archaeologists think this means that humans started producing flour quite early on, these tools could have been used to squash or pound starchy plants for other reasons, such as to make gruel or porridge. Grinding tools are also quite rare in the Upper Paleolithic, so even if these tools were used only for making flour, it doesn’t appear to have been a very common activity.



A high-resolution image of a piece of bread from Shubayqa 1. The bread remains were analyzed using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to reveal the microtexture of the finds, which allowed them to be compared with modern analogues. Credit: Tobias Richter and Amaia Arranz-Otaegui




Most archaeologists put the beginning of bread making in the Neolithic era, which first began around 11,500 years ago in southwest Asia. In the Fertile Crescent—an arch-shaped region stretching from the Nile Valley through the Levant into Anatolia and Mesopotamia—charred plant remains excavated from archaeological sites, along with abundant grinding tools, flint sickles blades, and storage facilities, suggest that people had begun to cultivate wild wheat, rye, and barley, as well as legumes. But what they produced from these plants has also been long debated. Some archaeologists assume it was bread, but other suggestions include porridge or beer.


Conclusive evidence has been hard to come by—until now.


Stretching from the Jebel Druze in southern Syria through eastern Jordan and into Saudi Arabia, the Black Desert got its name from its extensive black basalt boulder fields, which are only occasionally interrupted by a Qa’ (Arabic for a playa or mudflat) and wadis (a seasonal river). Archaeologists had long assumed that this semi-arid region played only a peripheral role in history. As a result, few scholars had looked at this area in any detail.


One exception is the Australian archaeologist Alison Betts, whose pioneering search for archaeological sites in this area turned up a number of settlements dating to the so-called Natufian period. The Natufian, dated to 11,700–15,000 years ago, is often described as an important cultural precursor to the Neolithic era. During the Natufian, the world’s earliest stone houses, grinding tools, and sickle blades appear in large numbers in the Levant, suggesting that the hunter-gatherers here included plants, cereals amongst them, more frequently in their everyday diet. Natufian hunter-gatherers were also more sedentary than preceding Paleolithic societies, which may have pushed them onto a road of no return toward plant cultivation and agriculture.


One of the sites that Betts excavated in the Black Desert in 1996 is the Natufian site Shubayqa 1, named after the nearby Qa’ Shubayqa. Although she briefly carried out excavations at this site, no further work was conducted at Shubayqa 1 until 2012, when our team from the University of Copenhagen launched a new series of excavations that continued until 2015. Our work revealed two impressively well-constructed circular buildings with cobbled stone floors dated to between 11,700 and 14,500 years ago—some of the earliest buildings known. This is where we found a surprising cache of more than 60,000 charred plant remains. This discovery in itself was extraordinary because, with the exception of Tell Abu Hureyra, a site situated on the Euphrates River in modern-day Syria, plant remains are so rare in this period—often just a handful or sometimes a few hundred.


Analyzing ancient plant remains is a time-consuming, laborious process: To start, 10- or 20-liter samples of sediment have to be taken from different archaeological deposits and preferably dry-screened to pick out the most fragile remains. The remaining material is then run through a “flotation tank”—essentially a water-filled drum with a water pump and a series of meshes and fine screens. The previously screened sediment is loaded into a fine mesh affixed to the top of the drum. Water is then pumped up from the bottom of the barrel, dissolving the sediment. Light charred plant particles then float to the surface and are caught in a series of fine-meshed sieves at the top of the barrel. once dried, the collected material must then be sorted under the microscope into different categories: wood charcoal, seeds, fruits, nuts, unidentifiable charred material, and dirt.


Then the real work begins: the identification of the different species of plant materials, separating out, for example, wild from domestic types of barley. To do this, archaeobotanists use a reference collection—a library of known, charred seeds and other plant parts—against which the ancient material is compared using a standard microscope. We used the archaeobotanical reference collection at the Institute of Archaeology at the University College London (UCL) to help us with our identifications, since it is one of the best in the world. This, as it turned out, was a fortuitous decision.


Lara González Carretero is a Ph.D. student at the UCL who studies archaeobotanical remains from the important late Neolithic site Çatalhöyük in Anatolia, Turkey, dating to about 9,000 years old. Using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a powerful tool that has a resolution of up to 1 nanometer—last year she discovered that many charred particles that were previously grouped under the catchall category of “unidentifiable” sediment in samples from Çatalhöyük were in fact microscopic particles of bread and porridge. That was perhaps the oldest evidence for bread. But around the same time, Amaia Arranz-Otaegui, the University of Copenhagen project’s archaeobotanist and a co-author of this article, peered into a microscope in the UCL archaeobotany lab and noticed a number of pieces of microscopic lumps of charred material that she just could not identify. So Arranz-Otaegui asked Carretero to take a look, and she was shocked when Carretero said, “Yes, this looks like what I have from Çatalhöyük. Where is that from?”


When Arranz-Otaegui told her that it was from a 14,500-year-old hunter-gatherer site in Jordan, it was Carretero’s turn to be stunned. The site was thousands of years older than Çatalhöyük.


Together with Carretero’s supervisor, Dorian Fuller, we then set out to confirm this initial suspicion, using the methodology Carretero had developed for Çatalhöyük. Over the course of two weeks, Carretero took hundreds of images with the SEM to compare the Shubayqa 1 samples with reference samples, and she confirmed that the charred particles from Shubayqa 1 were in fact tiny pieces of bread. To be sure, we then invited another specialist, Monica Nicolaides Ramsey at the University of Cambridge, to try and extract starch from the particles we had found. She found starch, confirming our finds.


Our results, published today in the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also allowed us to reconstruct the ingredients that went into this hunter-gatherer bread. The bread makers used flour ground from wild barley, einkorn, and oat. But we also found an unexpected type of plant: tubers. Club-rush tubers, an aquatic plant of the family of papyrus (Cyperaceae), was frequently present in the archaeobotanical assemblage from Shubayqa 1. These tubers were ground into flour, mixed with cereal flour, and likely baked on a hot stone to produce a flatbread product. The hunter-gatherer bread from Jordan was a multigrain and tuber bread—not necessarily what you might expect purely in terms of maximizing calories for the labor involved. (The plant remains in the fireplace also contained a surprisingly wide variety: from tubers to grasses, seeds, and fruit.)


What does this mean for our understanding of the processes that led to the appearance of agricultural economies in southwest Asia about 10,000 years ago? The transition from the hunting and gathering lifestyle of the Paleolithic to the agricultural economies of the Neolithic has long been seen as a fundamental step in world history. Archaeologists have debated when, where, and why this transition occurred, but given the long timespans involved, details have been elusive. It can be argued that the transition from hunting and gathering to agriculture was, at its heart, not an economic or symbolic “revolution,” as has often been posited, but rather a food revolution—a matter of taste. What has been lacking so far is a better understanding of what people actually ate and how they obtained and made their food.


With the discovery of bread at Shubayqa 1, we now know a little bit more about past foodways in southwest Asia. But this just leads us to ask new questions. Was bread already a staple food during the Natufian—or perhaps even earlier? Or was it a rare treat? Did people fall in love with bread, and did this spark their interest in producing more flour, perhaps incentivizing them to start cultivating plants? What were the effects of bread making and its consumption on Natufian and Neolithic societies?

Thinking about what kind of foods people actually made in the past, how they obtained the necessary ingredients, and in what settings this food was consumed introduces a very human perspective on past food cultures. It is astonishing to think of the people who were able to make bread long before they had cultivated crops; bread is not the product of a “civilized society” but perhaps a precursor to it.


So, next time you slide your toast into the toaster, pick up your croissant from the bakery, or dip nan into your curry, spare a thought for our Paleolithic forbearers who first came up with the idea of mixing flours of different plants together to come up with your daily bread.

This work first appeared on SAPIENS under a CC BY-ND 4.0 license. Read the original here.


https://www.scientificamerican.com/article/following-a-new-trail-of-crumbs-to-agricultures-origins/?sf194089971=1

728x90
728x90

 

 

오늘까지 폭염으로 110만 마리의 가축이 죽었다고 한다.

이와 관련하여 연합뉴스에서 나온 기사가 아주 흥미롭다.

http://v.media.daum.net/v/20180720053006134?f=m


일반 산란계 농장과 동물복지 농장을 비교한 내용이다.

동물복지 농장은 일반 농장과 달리 닭 1마리당 사육면적이 넓어 이번 폭염에도 죽어나가는 닭이 없다는 보고이다.

어디에서 자란 닭이 더 건강하고, 어디에서 낳은 알이 더 건강할까?

그리고 어떤 닭과 달걀을 먹은 사람이 더 건강할까?

또, 어떤 방식이 사육 농민에게 더 유익할까?

마지막으로 어떤 방식이 지구 환경에 더 이로울까?

 

하나는 확실하겠다. 일반 농장에서 쥐어짜는 방식으로 생산한 닭과 달걀이 더 쌀 것이다.

사람도 똑같지 않은가? 쥐어짬을 당하는 지위에 있는 사람일수록 고강도 노동환경에서 저임금에 시달리니 말이다.

728x90
728x90

"난 일찍 일어나서 하루종일 농장에서 지내며 열심히 일하고, 노동자와 파종, 수확, 판매, 교육을 관리합니다. 난 이 모든 일을 사랑한다."


쿠바에서 여성은 국가에서 먹을거리를 재배하고 분배하는 방식에 혁명을 일으키는 데 없어서는 안 되는 존재이다.  Photo by Sarah L. Voisin/The Washington Post via Getty Images




쿠바의 옛 농업 체계—규모화, 기계화, "현대화"— 는 소련에서 꾸준히 공급되는 자원에 의존했다. 1989년 이전, 소련은 석유와 비료, 농약, 가축 백신을 포함해 막대한 양의 농업 보급품을 보내, 사탕수수와 담배, 커피, 바나나 같은 쿠바의 환금작물 생산에 연료를 공급했다.  쿠바 정부는 환금작물의 수출을 우선시하고, 국가에서 소비하는 쌀, 콩, 곡물, 채소 같은 농산물의 80%를 수입했다. 북쪽으로, 미국은 1960년에 처음 수립된 쿠바에 대한 경제봉쇄인 엘 볼로케오el bloqueo를 시행하여 식량과 의약품을 포함한 상품이 사회주의의 섬으로 이동하는 걸 금지했다.  1989년 식량과 농자재의 공급원이던 소련이 붕괴했을 때,  쿠바는 큰 경제위기에 정신이 번쩍 났다. 식료품점의 선반에 들여놓을 식품 수입 없이 어떻게 1100만의 쿠바 인민을 먹여살릴 것인가? 어떻게 디젤 없이 트랙터를 운전해서 땅을 갈아엎는가? 어떻게 농민들이 화학비료 없이 수확량을 높일 것인가?  농업 생산은 급격히 감소했다. 국가의 농장과 공장 들은 폐쇄되었다. 가축은 죽어나갔다. 예전의 환금작물은 들에서 썩었고, 그 결과 수출을 통한 소득은 급락했다. 


공산주의 국가의 독재자 피델 카스트로Fidel Castro는 경제 위기를 엘 페리도 에스페셜El Período Especial 또는 평화의 시간 중 특별 기간이라 지칭했다. 그는 쿠바의 인민에게 자신이 가진 빈약한 공급품을 가지고 능동적으로 일하자고 축구했다. 놀랍게도 사람들은 다음과 같이 일했다. 그들은 화분과 옥상 등에서 채소와 허브를 재배하고, 뒤뜰에서 아보카도와 망고를 심고, 토끼와 기니피그 같이 작고 효율적인 육류 공급원을 키우기 시작했다. 쿠바 정부는 사탕수수와 커피같은 호화로운 환금작물 대신 식량작물에 우선권을 부여함으로써 국내의 식량위기에 대응했다. 토양을 갈아엎을 중장비가 없어 정부는 긴 뿔이 달린 황소를 이용해 땅을 갈아엎기 위해 젊은 세대의 구아히로와 소농이 필요했고, 이 오래된 기술을 가르치기 위해 공립학교를 설립했다. 


1989-1994년, 대안적인 농업은 쿠바에서 비주류의 이념에서 현실로 변형되었다.  쿠바 정부는 국가의 학자, 연구원, 지속가능한 농업기술자 들에게 농촌 지역만이 아니라 도시와 근교에서도 식량을 재배할 수 있는 지역적이고 유기적이며유용한 방법에 대한 전문지식을 제공하라고 촉구했다. 1990년대 후반 —정부의 정책의 노력과 더 중요하게는 기존 농민과 신규 농민의 누적된 작업 덕분에— 식량 생산은 점차 증가했고, 인민의 영양 섭취가 개선되며, 식량위기가 완화되었다. 


도시농업을 처음부터 시작한 에디스Edith 같은 여성들은 국가에서 식량이 재배되고 분배되는 방식에 혁명을 일으키는데 빼놓을 수 없는 부분이었다. 


난 상크티스피리투스Sancti Spíritus의 길모퉁이에서 택시를 불렀다. “워, 워, 워!” 운전기사가 끙끙 거리며 가죽 고삐를 뒤로 당겨 엔진을 감속시켰다. 나무 벤치 둘과 노란 플라스틱 지붕을 씌운 승객칸을 끄는 밤나무 빛깔의 말이 멈추었다.  소련의 붕괴와 석유 위기 이후, 말 택시는 접근성 좋은 운송수단이 되었다. 자동차보다 연료와 유지 비용이 적게 들고, 유기 폐기물을 생산한다는 이점이 있다.  말의 엉덩이에 쌀자루를 접어놓고 똥이 길에 떨어지기 전에 담는다.  하루에 두 번, 운전기사는 상크티스피리투스에 건립된 퇴비 수집장소에 말똥을 부려 놓는다. 내가 승객칸에 탔을 때, 낭만적인 바차타 음악이 라디오에서 흘러나왔다. 운전기사가 고삐를 가볍게 치자 거리를 따라 승객칸이 튀어오르고, 말발굽 소리는 음악에 맞춰 율동적으로 울렸다.  


운전기사는 자신의 택시에 소곤거리며 중앙광장에서 불과 10분 거리에 있는 아파트가 경계를 이루고 있는 도시농장 옆에 멈추었다.  Linda Flor, Beautiful Flower라는 커다란 간판 앞에는 에디스Edith라는 이름의 여성농민이 길가에서 기다리다 나에게 다정하게 손을 흔들었다.  에디스의 친구들은 그녀가 150cm가 조금 넘기에 라치키타La Chiquita, 즉 꼬마라고 불렀다. 50세의 농부는 세련된 옷을 입고 몸에 딱 붙는 검은 장화를 신고 작은 손에는 목장갑을 끼고 있었다. 그녀는 나중에 고백했는데, 농사일 말고는 춤을 좋아한단다. 그녀는 한번에 두 가지를 다 할 수 있는 옷을 입고 있는 것처럼 보였다. 김을 매고, 가지를 치고, 심고, 바차타와 살사, 머랭, 룸바를 추며 엉덩이를 흔들었다. 난 그녀의 따뜻함에 기대었다. 그녀는 내 어깨를 움켜잡고 인사하며 두 뺨에 입을 맞추었다. 그녀는 “Bienvenido, mi vida, 환영합니다”라 하고 “나의 삶”이란 쿠바의 애정을 표시하는 단어를 사용하여 말했다.  솜사탕 색깔의 주거용 건물 사이에 자리를 잡은 에디스의 도시농장은 2400평 규모이고, 길고 콘크리트로 바른 두둑에 꽃과 채소, 허브, 약초를 함께 재배한다. 그녀는 꽃을 재배해 증식하고 실험하는 걸 전문으로 했다.  “꽃이 내 영혼을 살려요!” 하고 열정적으로 노래했다. “영양은 위만 채워서 될 일이 아니라 영혼도 먹여살려야 해요.” 50가지의 꽃이 두둑의 가장자리를 따라 늘어서 있다. 분홍색 히비스커스, 큰 꽃의 해바라기, 장미와 카네이션의 다양한 색조 등. 농장은 균일한 소련의 건축양식으로 지어진 입방체의 아파트 건물과 매우 대조적이었는데, 쿠바 사람들은 카나리아 황색과 청록색, 라임빛 녹색 페인트를 칠해 놓았다.  주민들은 햇볕에 말리려고 발코니에 빨래를 널어 놓아, 에디스의 작물과 꽃을 바라보고 있었다.  


“여기가 20년 전에는 쓰레기장이었다는 걸 믿을 수 있나요?” 하고 에디스가 물었다.  “우린 무에서부터 농장을 시작했다. 무얼 재배할 흙도 없었다! 사람들은 이 땅에 쓰레기를 버리고 소각했다. 지금은 그들이 나에게 ‘어떻게 여기를 작물과 꽃으로 바꿀 생각을 했나요?’라고 묻는다.” 1980년대 에디스는 상크티스피리투스의 고등학교에서 생물교사로 일했다. 그녀는 1989년 소련의 붕괴로 인한 시련을 기억했다. 식품 시장의 선반은 텅 비고, 식량배급소에서 줄지어 기다리는 사람들, 도시민들은 채소나 곡물 같은 걸 광적으로 찾아다녔다. 에디스는 전쟁을 겪고 있는 것처럼 느꼈다. 긴 정전 사태를 견디거나 택시를 타려고 몇 시간씩 기다렸다. 그녀는 대량 생산이 중단된 이후 육류와 우유, 계란이 없어진 상태에 익숙해졌다. 정부는 배급제를 축소했다. 사람들은 돼지고기 대신 뿌리채소를 튀기고, 사용할 수 있는 커피의 양이제한되어 쪼개 말린 완두를 갈아 넣는 식으로 혁신했다.  특별 기간 동안, 쿠바의 성인은 몸무게가 4-14kg이 줄었다. 1990년대 영양 위기에 대응해 쿠바 정부는 에디스와 전국의 교사들에게 식량 생산을 위한 일련의 워크샵에 참가하라고 초청했다.  “그런 워크샵에서 난 농사를 좋아하게 되었다”고 에디스는 재잘거렸다.  “난 상크티스피리투스에 있는 정부의 채소농장에 파트타임으로 자원봉사를 시작했다. 거기에서 씨앗 갈무리 방법과 증식 기술을 배웠다. 난 가장 힘든 채소 씨앗을 선발하고 다양한 꽃 품종을 육종하는 일에 도전하는 걸 좋아했다.”


1994년, 쿠바의 농업부 장관 라울 카스트로Raúl Castro는 국가 전역의 도시에서 식량생산을 제도화하는 것에 대한 잠재력을 인정했다. 특별 기간 동안 정부는 옛 국영 농장과 플랜테이션에서 대량의 식량을 재배하고, 도시로 농산물을 운송하는 데 필요한 연료비를 충당하기 위해 애를 썼다.  식량위기의 해결책으로 카스트로는 국가의 도시농업 프로그램을 설립해, 쿠바인들이 마을과 도시에서 비어 있거나 방치된 공간을 식별하여 오르가노포니코organopónicos 또는 도시농장으로 변형할 수 있게 했다. 카스트로는 도시의 충분한 땅을 개조해 모든 도시민에게 5평방미터의 농지를 제공하고, 매일 300그램의 채소를 생산하게 하려 결심했다. 교사와 변호사, 간호사를 포함해 다양한 직업을 가진 쿠바 사람들은 하룻밤새 농부가 되어 뿌리채소와 잎채소, 과일, 약초, 사료를 재배하고, 육류와 달걀, 우유, 벌꿀을 생산하기 시작했다.도시농장에는 작은 판매대가 포함되어 있어, 농민들이 정부에게 많은 보조금을 받는 자신들의 농산물을 주변 지역의 사람들에게 판매할 수 있었다.   


상크티스피리투스에서 에디스는 버려진 땅을 찾기 위해 인근을 걸어다녔다. 그녀는  “왠지”라고 하며 궁금함에 머리를 갸웃거리고 “어떻게든 이 버려지고 방치된 곳을 언젠가 바꿀 수 있다고 꿈꿨다!” 쿠바 정부의 승인을 받은 뒤, 에디스는 혁명을 위해 싸운 반란군 전사였던 아버지와 은퇴한 쿠바 남성들의 작은 모임의 지원을 받았다.  “그들이 나를 도우려 한 유일한 사람들이었다”고 회상한다. “내 아들과 딸을 포함해 모든 사람들이 내가 미쳤다고 여겼다. 나한테 이렇게 말했다. ‘아오, 엄마. 중노동 때문에 다칠 거예요. 손 좀 봐요, 머리는 어떻고! 무얼 하고 있는지 좀 보세요!’ 하지만 난 그 일을 하기로 결심했다.” 생물 교사는 처음부터 다시 구축하고, 자신의 유기적 토양을 만들어야 한다는 걸 깨달았다. 그녀는 이웃 주민들의 지지를 얻고자 농지를 둘러싼 주거용 건물의 모든 문을 두드렸다. 에디스가 자신들의 주변에서 먹을거리를 키우겠다는 결심에 자극을 받은 사람들은 음식폐기물과 종이 등의 유기 폐기물을 그녀에게 주었다. 상크티스피리투스에 있는 분뇨 퇴비센터에서, 그녀는 택시 운전기사들에게서 말똥 자루를 수집했다. 그녀는 엄청난 양의 재료들을 쌓아 올렸다. 천천히 미생물들이 유기물을 분해해 폐기물을 검은 빛깔의 양분이 풍부한 부식질로 전환시켰다. 그녀는 퇴비를 두둑의 토양에 뿌리고, 새싹이 녹색의 머리를 흙에서 내밀어 빛나는 색이 펼쳐지는 광경을 지켜보았다.  Linda Flor는 점점 생산적이 되었다. 그녀의 직원들은 시내 전역에 먹을거리와 꽃바구니 리어카를 밀고 다니거나 거리의 작은 판매대에서 사람들과 직거래를 했다. 그녀는 농장일을 돕게 하려고 은퇴한 이웃들을 더 많이 고용했다. 1999년 상크티스피리투스에서 에디스와 다른 농민들이 지역민을 위해 약 50메트릭톤의 과일과 채소를 생산하여, 카스트로가 목표로 했던 매일 1인당 300그램을 초과했다.  


그 도시의 도시농부 대다수는 남성이지만, 에디스의 먹을거리에 대한 열정과 강한 직업윤리는 동료들 사이에서 존경을 받았다.  “때때로 여성이 농업에 종사하지 않는다거나 농업 리더십이 부족하다는 편견에 맞서며 일해야 했다.”고 에디스는 인정했다.  “그러나 나는 그런 잘못된 생각에 계속 맞서 싸우며 일해 왔다. 난 결정을 내리고 모범으로 이끈다. 난 나의 사회와 심지어 정부에게도 인정을 받았다.” Linda Flor에서 농사지은 지 5년 째, 에디스는  Edith에게 농업부 대표단이 공식적으로 찾아왔다. 그녀는 퇴비를 만드는 폐기물을 모으려고 지역사회와 함께 일한 방법을 관계자에게 설명하고, 씨앗을 선발하고 갈무리하며 파종하는 작은 작업 공간을 보여주었다. 그녀의 독창성과 수완에 감명을 받은 관료는 현재의 농지에 인접한 1200평의 토지를 추가로 수여했다.  2004년, 에디스는 상크티스피리투스의 지역 문화와 환경 재단이 주최한 워크샵에 참여했다. 이 워크샵은 지속가능하게 설계된 체계인 퍼머컬쳐를 쿠바의 도시와 농장 및 도시농업에 적용하는 데 중점을 둔 모임이었다. 그녀는 낭비를 최소화하고, 지역의 자원을 활용하며, 다양성을 증진하고,효율을 높이는 이론에 푹 빠졌다. 에디스는 농촌과 기타 도시 지역에 살고 있는 쿠바 사람들과 정보를 공유하고자 자발적으로 자원봉사를 하면서 현지의 조직에 기술을 교육하여 전수하기 시작했다. 쿠바와 멕시코, 에콰도르, 캐나다, 영국, 프랑스, 스웨덴 출신의 학생들 수백 명이 상크티스피리투스를 방문해, 에디스의 멋진 농장을 둘러보고 유기적 퇴비 만들기 기술을 배운다.  “난 교실에서 가르치는 일이 갑갑하다고 느끼곤 했다. 그러나 지금 밖으로 나와 농장에서 가르치니 더 살아 있다는 느낌이 들고, 학생들도 생동감을 느낀다. 나는 그들이 정보를 듣고, 배우고, 흡수하는 데 더 잘 적응한다고 생각한다”고 신중하게 에디스는 말했다.  “텃밭이 진정한 교실이기도 하다. 나는 쿠바의 여성, 농민, 교사가 되어서 매우 감사하다. 나는 일찍 일어나 하루종일 농장에서 지내며 열심히 일하고, 노동자와 파종, 수확, 판매, 교육을 관리한다. 난 이 모든 일을 사랑한다. 나의 일이 나의 삶이다.”




http://www.yesmagazine.org/planet/farming-and-food-for-the-soul-20180514/


728x90
728x90

김 위원장, 식물공장 말고 기본부터 착실하게 닦아 나아가는 게 좋을 거요.

여기에 마음을 빼앗기지 마시오.



728x90
728x90





미국 시간으로 6월 1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이런 트윗을 올렸다. https://twitter.com/realDonaldTrump/status/1003634405036961793


내용은 "미국 농민들은 지난 15년 동안 제대로 하지 못했다. 멕시코, 캐나다, 중국 및 기타 국가는 그들을 불공정하게 대했다. 내가 무역협상을 마무리하면 그런 것은 바뀔 것이다. 미국 농민과 다른 사업가들에 대한 거대한 장벽은 결국 없어질 것이다. 더 이상 무역 적자는 안 된다!"


그래서 미국 농민들 경제 상황이 어떤지 찾아보았다. 


먼저, 미국 농민의 농가소득을 아래와 같다. 

오바마 정권 후반기가 되며 감소세로 접어든다. 오바마 대통령은 기후변화 문제 등을 거론하며 바이오연료 확대 정책을 추진하며 덤으로 농산물 가격을 높이기 위해 애를 쓴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모르셨는가?


아무튼 정점을 찍은 농가소득이 오바마 정권 후반이 되며 급격히 떨어지다가 트럼프가 당선된 이후 보합세에 들어간다. 


여기까지만 보면 그렇게 나쁘지 않은데 무얼 그러는가 싶다.  






그러나 문제는 농가 부채에 있는 것 같다.

아래 그래프를 보면 1980년대 미국 농업 최대의 위기였다는 시기와 비슷한 수준으로 농가 부채가 심각하다. 최근 미국 농민의 자살율이 정말 심각한 수준으로 높아졌다고 하는 일과 같은 선상에 있을 것이다. 아무튼 잘은 모르지만, 미국 농민들이 트럼프를 지지한 이유의 하나가 여기에 있지 않을까 싶다. 정말 심각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서두에 인용한 트럼프의 농업 부문 불공정 무역에 대한 발언이나, 최근 승인을 받은 몬산토가 바이엘에 인수합병된 일이나 모두 이러한 맥락에 놓여 있는 사건들이라 생각된다. 


과연 미국의 농업은 이를 어떻게 타개해 나아갈까? 그 과정에서 한국 농업에 튈 불똥은 어떠할까?



728x90
728x90

조선시대에도 이런 일꾼들이 있었다. 

특히 벼농사와 관련하여 저 남쪽부터 시작해 점점 북상하며 모내기를 전문으로 하는 그런 일꾼들 말이다.


일본은 오키나와부터 홋카이도까지 올라가며 농사일 알바를 하는 청년들이 있단다. 한국에서도 이런 노동력을 조직하면 재미나겠다.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6/05/2018060500086.html

728x90
728x90

드디어 바이엘의 인수합병이 인정되어 몬산토가 사라지게 되었다.

바이엘이 몬산토를 흡수하며 그 사명을 더 이상 사용하지 않겠다고 한다. 단, 제품명은 그대로 사용할 예정이란다.


그동안 몬산토라는 이름으로 대표되는 행위에 반대하던 수많은 운동들도 이제 재정비해야 하게 생겼다.


그나저나 몬산토 같은 다국적 농기업도 사라지다니, 참으로 세월이 무상하구나. 

-----------------------------



'농업 왕국'으로 불리는 미국의 종자기업 몬산토(Monsanto)가 독일 기반의 다국적 화학·제약 기업인 바이엘(Bayer)에 매각된다. 총 인수대금은 630억 달러(67조4100억원)으로, 독일 역사상 가장 큰 규모의 인수합병(M&A)이다. 

4일 파이낸셜타임스(FT) 등 주요 외신에 따르면 바이엘은 미국 몬산토에 대한 인수 절차를 오는 7일 마무리 짓는다고 밝혔다. 앞서 미국과 유럽연합(EU) 등 주요 국가의 반(反)독점 당국은 이번 인수를 승인한 바 있다.

바이엘은 몬산토의 기업명을 앞으로 사용하지 않을 방침이다. 몬산토가 보유하고 있는 제품군은 모두 바이엘의 브랜드 포트폴리오 안에 수렴될 예정이다. 다만 그동안 몬산토가 출시했던 상품들의 브랜드는 그대로 유지될 전망이다.

몬산토는 지난 1902년 식품첨가물인 사카린을 생산해 코카콜라에 납품하는 기업으로 시작했다. 이후 카페인, 바닐린 등을 생산하면서 사업 규모를 늘렸고 1917년에는 아스피린 제조에도 뛰어들었다.

최초의 인공감미료인 식품첨가물 사카린을 생산하여 코카콜라에 납품하는 것으로 출발한 몬산토는 1902년부터는 카페인과 바닐린을 생산하면서 규모를 늘렸고, 축적된 기술력을 바탕으로 1917년부터는 아스피린 제조에도 뛰어들었다.

2차 세계대전을 거치면서 몬산토는 농업용 제품과 위생용품으로 사업 규모를 불렸다. 1980년대부터 식물 세포의 유전자 변형에 대한 연구개발을 본격화 했고 이후 GMO(유전자변형식물)가 주력 사업이 됐다. 현재 미국에서 생산되는 콩의 97%가 몬산토의 종자일 정도로 시장 지배력이 높다.

몬산토에 대한 논란도 많다. GMO가 과학적으로 안전성이 입증되지 않았다는 주장부터 GMO 그 자체가 '종의 경계'를 넘어서는 생태계 파괴 행위라는 논란도 있다. 몬산토의 제초제인 '글리포세이트'로, 일부 전문가들이 암을 유발하는 성분이라고 주장해 논란이 된 바 있다.

이같은 논란에 대해 베르너 바우만 바이엘 CEO는 "비판적 여론에 귀를 기울이고 농업 분야 선도 기업으로서 책임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원문보기: 
http://m.biz.chosun.com/svc/article.html?contid=2018060402978&www.google.com#csidx286755ba73a775f9a96fc5442e4032c 

728x90
728x90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나의 아빠는 중요 항목이자 고정관념이다. 그는 미국 아이오와에서 옥수수와 대두를 재배하며 사는 62세의 관행농 농민이고, 트럼프 지지자이며, —일부 가정 하에— 시대에 뒤지고, 무식한 백인 남성이다. 하지만 나에게 그는 가족과 자신을 위해 최선의 선택을 내리려 노력하는 상냥하고 믿음직한 남성이다.  

나는 디모인의 동쪽 도로에서 9마일 거리에 있는 미첼빌Mitchellville이라 부르는 마을에서 자랐다. 나의 부모님은 나를 우리의 4대째 농장과 조부모의 농장 사이에 난 길을 오가게 했다. 대부분의 농장과 마찬가지로, 우리는 농가외소득이 필요하여 나의 엄마는 듀폰 파이오니어를 위해 디모인에서 일했고, 나중에는 우리의 건강보험을 위해 웰스 파고Wells Fargo에서 일했다. 

나는 옥수수와 대두의 상승 시장에는 환호하고, 하락 시장에는 절망하는 부모님을 지켜보았다. 나의 부모는 1980대 농장의 위기가 시작될 때 결혼하여,  나는 대부분을 “좋은 시절” 동안 자랐지만 다음에 닥칠 위기에 대한 두려움은 여전히 나의 가족을 따라다녔다. 

몇 년 동안, 중서부 농민의 딸이란 나의 지위는 다양한 반응을 이끌어냈다. 자유로운 도시 공간에서 나는 보조금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과 나의 아버지가 "지구를 오염시키면서" 얼마나 많은 돈을 쓰는지에 관해 우려하는 사람들에게 농약과 육류 소비에 관한 끊임없는 질문을 받았다.  해안 지역에서 가장 흔한 반응은 "미안합니다"이다. 

중서부의 농촌과 교외의 사람들은 종종 아버지가 얼마나 많은 땅을 가지고 있는지 궁금해 한다. 그는 가축이 있나요? “난 정말로 몰라요”라고 답하도록 지도를 받았다.  면적의 정확한 숫자는 순자산에 대한 이해로 해석될 수 있는데, 나의 아버지가 나에게 일러준 건 상관할 바가 아니라는 것이었다. 그리고 그의 눈에, 내가 농사에 관해 덜 이해할수록 전문적 세계에 적응하기가 더 쉬울 것 같았나 보다. 

아버지는 나에게 기업에서 안정된 경력을 쌓으라고 권유했다. 그 대신 나는 자연보존과 농업 관련 비영리단체에서 일하기 시작했다. 난 가능하면 여러 관점에서 먹을거리 체계를 이해하고 싶었다. 처음에는 먹을거리 체계를 바꾸기 위한 최선의 방법으로 해안 지역의 먹을거리 운동을 통해 배웠다. 지역의 유기농민 지원, 관행농 농지를 유기농으로 전환, 꿀벌 살리기 등. 

모두 좋은 것들인데, 아버지에 관해 이야기할 때면 항상 운영상의 경제적 생존력에 대해 질문을 받았다. 나의 작업이 먹을거리 체계에 대해 더 깊게 들어가면서, 난 "더 나은" 농사를 짓는 많은 농부들도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먹을거리 체계가 얼마나 망가졌는지 보고 난 뒤, 난 그것을 바꾸고 싶었다. 내가 만났던 다른 농부의 딸들과 마찬가지로, 내 경험을 바탕으로 새롭고 더 나은 전망을 지닌 먹을거리 체계를 창출하고자 했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나의 아버지 같은 농민들을 뒷전으로 팽개친다고 생각한다는 의미는 아니다. 

그러한 투쟁에는 보충 영양 지원프로그램(Supplemental Nutrition Assistance Program)에 의존하는 농촌 가구의 높은 비율, 건강 관리 및 가까운 병원의 부재, 합성마취약 중독의 증가 속도 등이 포함된다. 이 모든 문제를 해결해야 하며, 농부의 딸로서 나는 그것이 인간보다 이윤을 우선시하는 고도로 통합되고 변동성이 큰 시장의 자비로 인해 생겨난 큰 상처의 증상이란 걸 안다. 

더 많은 농지의 주인이 바뀌고 가족농이 토지에서 밀려나면서, 농민의 딸은 우리의 먹을거리 체계를 형성하고 그 체계 안에서 우선순위를 정해야 하는 것에 관한 더 큰 담화를 바꾸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었다. 우리의 가족과 이웃들이 고군분투하며 번성하는 것을 지켜보면서, 우리는 먹을거리 체계에 난 구멍을 보았고 오늘날 일어나고 있는 불화를 일으키는 대화를 극복할 수 있는 도구와 변화의 이야기를 가지고 있다.  

독특한 역할

내가 아는 농민의 딸들은 그런 조건의 남성보다 농장에 남을 가능성이 적었다. 그리고 그런 이유로, 그들은 도시의 지역사회로 데려가는 교육 및 직업을 추구할 가능성이 더 높았다. 그들은 도시 또는 기업의 세계로 통합되면, 농장에 발을 들여놓은 적도 없는 사람들에게 농촌의 생활을 설명하고자 노력하곤 한다. 그리고 그들 중 많은 사람이 되돌아왔다.  

“난 결코 트랙터를 운전하거나 실제 농장의 자질구레한 일을 도와 달라고 요청을 받지 않았다. 나는 사업적인 면에 대해서 배운 적도 없고, 아무에게도 직접 농사짓겠냐는 질문을 받지 않았다”고 미네소타와 캘리포니아, 일본, 브라질에서 사진 스타일리스트로 일하며 10년을 보낸 뒤 가족의 토지로 되돌아온 아이오와의 유기농민 Wendy Johnson 씨는 말한다. 지난 8년 동안 그녀는 가족에게서 토지를 빌려 덮개작물, 꾸준한 무경운, 소규모 축산을 포함하여 점점 더 지속가능한 농법을 실천하려고 천천히 노력해 왔다. 

“난 농장이 재밌고 예뻐 보였다”고 Johnson 씨는 어린시절을 이야기한다. 그녀는 어른으로서 사업적인 면을 배웠고, 농사의 어려운 현실에 대해 많이 배웠다.  그러나 그녀가 어린시절 엿보았던 아름다운 삶을 재창조하는 일이 항상 그녀를 추동하는 요소의 일부였다. 

처음 몇 년 동안, Johnson 씨는 농장에 가본 적이 없는 캘리포니아의 친구들에게 자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었다. 그리고 그녀는 두 새로운 세계를 연결하려고 노력했다. 

그녀는 가족들과 좋은 관계였지만, Johnson 씨는 다른 농민의 딸들이 직면한 어려운 현실을 경험했다. 오늘날 대부분의 농업 지역사회는 고령화되어 젊은이들이 부족하다. 여러 곳에서 농사짓는 여성들은 그런 남성들보다 존경스러운 대우를 받지 못할 수도 있다. 그들의 형제나 사촌이 가족의 농장을 물려받으면, 이러한 여성들은 토지에 접근할 수 있는 가능성이 적어질 수도 있다.  

위스콘신 브로드헤드 출신의 Lauren Rudersdorf 씨처럼 어떤 사람은 독립해야 한다.  나처럼, 그녀는 부모님이 다각화된 가족농장을 시장의 변동성에 자산을 부속시키는 걸 지켜보았다. 그녀의 부모는 수입의 대부분을 농장 외부에서 일하여 벌었고, 농장을 포기하며 그들이 일군 삶에 분개했다. 

“나는 내면에서 망가짐과 균형잡힌 삶의 부재를 보았다”고 그녀는 최근 Midwest Environmental Advocates blog에 올렸다.  “난 그들이 사랑하는 무언가를 하며 그에 엄청난 자부심을 가진 걸 보았지만, 체계의 톱니처럼 느껴졌다. … 그것이 나의 마음을 아프게 했고, 난 더 나은 [무언가가] 있어야 한다는 걸 알았다.”

2013년, Rudersdorf 씨는  남편 Kyle과 함께 위스콘신 매디슨의 남쪽에서 유기농 인증, 지역사회 지원 농업 농장인 Raleigh의 산기슭 농장을 시작했다. 그녀는 또한 비영리 환경법률센터의 농장에서도 일한다. 그녀의 부모님은 농장에서 도움을 주고, 그녀는 자신들이 둘째 해에 수익을 냈을 때 부모님이 놀라고 자랑스러워했다고 말했다. 

통역하기

먹을거리와 농업에 대한 포괄적인 전망을 추진하는 건 쉽지 않다. —특히 아이오와 같은 농업 지자체의 사람들조차 농민과 농촌이 직면한 현실의 거의 모르는 것처럼 보인다. 

Rudersdorf 씨는 채소 생산과 농장의 재정에 관해 그녀의 고객들을 교육하는 블로그에서 농장의 생활에 관한 이야기와 조리법을 공유함으로써 이러한 흐름을 바꿀 수 있길 바란다. 많은 농민의 딸과 마찬가지로, 그녀는 농장 생활을 더 많은 청중에게 통역하는 역할을 하곤 한다. 

Kayla Koether 씨도 더 많은 청중을 대상으로 농촌의 문제를 통역한 경험이 있다. 그녀는 Iowa House District 55를 운영하고 있는 농민의 딸이다. Koether 씨는 아버지와 함께 가축 농장에서 일하고, Grinnell College에서 국제 농업과 농촌 개발을 공부했다.

Koether 씨가 도시에서 태어난 대학생 친구들을 농장에 데려와 그녀 가족의 가축 농장만이 아니라 해당 지역의다른 농장들을 보여줌으로써 그녀가 사는 지역의 농업에 대한 이해를 넓힐 수 있었다.

“때로는 농업을 전혀 이해하지 못하는 사람들에게 결국 농업을 통역하게 된다”고 Koether 씨는 말한다. “그들이 이해하고 싶어하지 않아서가 아니라, 그럴 기회가 없었다.”

통역자가 되려면  양쪽의 경계에 있는 청중들에게 접근할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그렇게 하는 사람은, 종종 도시의 소비자와 정치인들이 미국 농촌의 투쟁을 이해하도록 도우라고 강요를 받는다. 대부분의 도시민은 기본적인 필수품을 구하러 근처 도시로 가야 하지만, 도시민들은 농촌의 이웃과 상호작용 없이도 살 수 있기 때문이다. 

대학생 때, 내가 디모인에서 보낸 불량스런 십대 시절의 경험에 대한 에세이를 제출했을 때 작문 강사는, “난 네가 시골에서 자랐다고 생각했어?”라고 했다.

나는 “네. 이 두 가지 모두 사실이예요.”라고 했다.

각 가족마다 복잡한 역학관계가 있으며, 모든 농민의 딸이 농장을 서로 다르게 경험한다. 그러나 그건 틀림없이 독특한 성장 과정이다. 

Carolyn Van Meter 씨는 전화로 나에게 “나는 농장의 위기가 있던 1980년대 그 시기에 왔다”고 이야기했다. “아무도 아이오와에 머물 방법이 없었다. 농업과 관련이 없는 직업을 가지려 해도 일자리가 별로 없었다. 우린 모두 떠났다.”

Van Meter 씨는 결국 플로리다 주피터Jupiter에서 세금 준비, 부동산 및 재무 계획 사업을 했다. 61세의 Van Meter 씨는 5년 동안 아이오와의 농지를 소유했으며, 그녀의 어린시절 친구들이 가족 농장을 상속받고 구매하는 걸 보기 시작하고 있다.

Van Meter 씨가 가족에게서 토지를 상속받겠다는 걸 확인했을 때, 그녀는 자원을 찾았다. 그녀는 부모님과 상당히 공개적으로 농장의 전환을 논의했는데, 여전히 이해할 수 없는 것들이 있음을 발견했다. 12월에 그녀는 농업에 종사하거나 그만두거나, 농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도움을 주기 위해 노력하는 공인된 국제농장전환네트워크(IFTN)의 코디네이터가 되었다. 농민의 딸로서 깊은 고뇌나 조상의 유대 같은 농장 전환의 미묘한 차이를 이해할 수 있다. 그녀는 농장이 집일 뿐만 아니라 생계와 생활방식이란 사실을 알고 있다. 

동정과 공감

동시에 두 공간을 차지할 수 있는 농민의 딸이 지닌 능력은 정치 토론에서도 나타난다. 

난 최근 디모인의 술집에서 한 청년과 대화를 나누었다. 그는 변호사였고, 나처럼 버니 샌더스Bernie Sanders의 지지자였다. 그는 트럼프 지지자들에게 “통행증”을 주는 걸 좋아하지 않는다고 말하며, 나에게 트럼프 나라의사람들에 관한 여러 기사를 읽으라고 했다. 그는 그들과 그들의 투쟁은 이해할 수 있지만, 그들의 인종차별은 변명할 수 없다고 생각했다. 난 그에게 워싱턴 포스트에 있는 누군가에 관한 기사를 읽는 것과 당신에 동의하지 않는 사람들과 적극적으로 대화를 나누는 것 사이에는 큰 차이가 있다고 이야기했다. 그리고 그건 사실이다. —그것이 변화가 일어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다. 

우익 진영에서 자란 괴상한 여성으로서, 나는 서로에 대한 고정관념을 잘 알고 있다. 그 사람을 인간으로 이해하기보다 “트럼프를 지지하는, 인종차별적인 농민”이란 틀에 누군가를 맞추는 게 훨씬 쉽다. 우린 도시-농촌의 경계를 성장과 이해의 기회보다는 논쟁거리처럼 이야기한다. 사람들의 경계의 양쪽에 앉아 자신의 견해가 옳다고 가정할 때, 우리 모두는 고통을 겪는다. 

아무도 나의 아빠보다 비관행적인 사랑에 관해 가르쳐준 사람이 없다. 우린 항상 동의하지 않고 그에 감사드린다. 

난 지난 대선 때 부모님과 함께 살았고, 그와 나는 모든 토론을 함께 보았다. 분노, 좌절, 고함이 있었다. 웃음과 진심 어린 대화도 있었다. 우린 어떻게 먹을거리 체계가 먹을거리를 생산하는 노동자를 지원하지 않는지, 그리고 그가 어떻게 그 체계에서 필수적인 톱니바퀴가 되는지 논의했고, 나는 가슴이 아픈 답을 들었다.  “난 다른 식으로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른다. 난 너무 늙었다.”

내 책상 위에는 아버지의 사진이 있다. 거기에서 우린 콤바인에 앉아 있는데, 아마 내가 6살 때일 것이다. 아빠는파란색 플란넬 셔츠를 입고 있으며 콧수염을 길렀다. 아마 샤니아 트웨인의 노래가 라디오에서 흘러나오고, 나는 아빠의 운전석 옆에서 노래하며 춤추고 있었을 것이다. 아버지와 나는 소박한 관계였으며, 산업형 농업에 관한 그의 생각보다 나의 그림과 인형에 대한 그의 의견에 더 관심을 가졌다. 

우리는 농약 사용, 육류 소비, 농업보조금, 수질 같은 일들에 관해 늘 동의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우린 여전히 중요한 유대를 공유한다. 그리고 그의 이야기를 듣는 건 우리 모두를 억압하는 체계에 대한 나의 이해를 향상시켰고, 서로를 이해하기 시작할 수 있는 지점에 도달하게 만들었다.  



저자와 아버지. (Photo courtesy Ash Bruxvoort)



https://civileats.com/2018/05/07/i-am-the-daughter-of-a-conventional-farmer-and-a-sustainable-ag-advocate/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