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론
일반적으로 짐승막이담(シシ垣)은 거의 무명이다. 알고 있는 분은 꽤 정통한 셈이다. 도대체 짐승막이담이란 무엇인가?
짐승막이담은 한자로 '저원猪垣', '녹원鹿垣', '저록원猪鹿垣'이라고 쓴다. 일본에서는 예로부터 멧돼지, 사슴, 산양 같은 고기를 얻는 짐승류를 시시シシ라고 했다. 이들 짐승은 산간 주민에게 귀중한 단백질원이었는데, 한편으로 멧돼지나 사슴은 논밭의 작물에 다대한 피해를 가져오는 짐승이었다. 짐승막이담(猪垣, 鹿垣, 猪鹿垣)은 이들 짐승이 논밭에 침입하지 못하도록 쌓은 담이다.
짐승막이담에는 나무나 대나무 등을 엮은 것, 돌을 쌓아올린 것, 흙을 쌓아올린 것, 자연의 지형을 이용한 것, 함정을 설치한 것 등이 있고, 에도 시대에는 길이가 1Okm를 넘는 대규모가 구축되었다. 그와 같은 짐승막이담은 마치 '만리장성'이다.
대규모이고 항구적인 짐승막이담은 돌을 쌓거나 흙을 쌓아 만들었다. 돌이 많은 곳에서는 화강암, 안산암, 석회암, 사암 등 각각의 장소에서 구할 수 있는 돌을 사용했다. 오키나와에서는 산호도 활용됐다. 돌쌓기 다음으로 항구적인 것은 흙을 쌓은 짐승막이담이다.
주로 에도 시대에 축조된 대규모 항구적인 돌담이나 흙담의 짐승막이담은 지금도 그 유구를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대규모 이외에 나무나 대나무 등을 엮은 비교적 간이한 짐승막이담도 예로부터 곳곳에 설치되어 왔다. 그것들은 지금 썩어 없어져 남아 있지 않을 뿐이다.
이들 모든 짐승막이담에 당시 사람들의 짐승과의 공방이 생생히 새겨져 있다. 그리고 그곳에서 당시 사람들의 생생한 삶의 숨결을 들을 수 있다.짐승막이담에는 짐승 피해에 대처한 농민의 생활사가 깊이 새겨져 있으며, 지역의 재산으로서 매우 귀중하다. 역사적·문화적으로 귀중함과 함께, 지역의 아이들에게 향토 학습, 종합 학습, 환경 학습의 교제이기도 하다. 또한 오늘날의 멧돼지나 사슴 등의 농작물 피해 대책에서 짐승막이담에서 볼 수 있는 선인의 지혜나 단결력을 배우는 일도 많다. 생태 박물관이나 생태 투어의 대상이기도 하다. 지역 주민에게도 방문자에게도, 짐승막이담이 있는 장소는 귀중한 배움의 장, 감동의 장이다. "지금까지 일반에게는 주목도가 낮았던 짐승막이담이지만, 짐승막이담은 가장 주목받을 필요가 있다. 각지에 잠자는 짐승막이담의 역사 자료를 정리해, 짐승막이담의 보존과 활용을 진전시키고자 한다." 나는 이처럼 생각하여 '짐승막이담 네트워크'를 설립해 각지의 짐승막이담 관계자를 참가시켜 짐승막이담의 연구와 그 보존과 활용을 추진하고 있다. 짐승막이담 네트워크는 매년 각지의 짐승막이담 유구가 남아 있는 곳에서 '짐승막이담 서밋트'를 개최하고 있다. 제1회는 시가현(2008년), 제2회는 카가와현 쇼우도시마小豆島(2009년), 제3회는 히로시마현 야스우라쵸安浦町(2010년), 제4회는 후쿠이현 카츠야마시勝山市(2011년 예정)로, 나아가 큐슈, 오키나와, 츄우부中部, 칸토우関東 등에서도 전개할 예정이다. 이 책은 이와 같은 짐승막이담 네트워크의 활동을 통해 기획되었다. 일본 최초의 짐승막이담 서적인 이 책을 통해 짐승막이담이 많은 분들의 관심사가 되기를 바란다.
이 책의 출판에는 고금서원古今書院 사장인 하시모토 토시스케橋本寿資 씨와 편집을 담당해주신 세키 히데아키関秀明 씨에게 많은 신세를 졌다. 마음으로부터 감사의 뜻을 표하고자 한다.
2010년 10월 타카하시 하루나리高橋春成
목 차
서론...... 타카하시 하루나리
제1부 선인의 유산 '짐승막이담'
제1장 짐승막이담의 분포와 구조......矢ヶ崎孝雄
제2장 짐승막이담 유구를 남기고 전하기 위하여
-카가와현 쇼우도시마를 둘러싼 짐승막이담 집단의 답사와 실측 기록......港誠吾
제3장 농민의 고투를 이야기하는 보루......中野朝生
제4장 아열대의 숲에 잠자는 짐승막이담
-오키나와현 이리오모테섬西表島 짐승막읻담의 배치 형태와 구조......蜷原一平
제5장 오우미에 축조된 짐승막이담
-시가현 타카시마시高島市의 유구......白井忠雄・石庭孫義
제6장 아키安芸의 짐승막이담과 지역의 역사......佐竹昭
'농담 > 농-문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짐승막이담 -1장 짐승막이담의 분포과 구조 (0) | 2025.04.14 |
---|---|
농민들의 수자원 전쟁 -4장 마을들은 '강'을 어떻게 활용했는가? (0) | 2025.04.12 |
농민들의 수자원 전쟁 -3장 용수 조합의 실태와 물을 둘러싼 다툼 (0) | 2025.04.10 |
농민들의 수자원 전쟁 -2장 용수로의 지혜와 서로 협력하는 마을들 (0) | 2025.04.08 |
농민들의 수자원 전쟁 -1장 논을 홍수로부터 지키는 지혜 (0) | 2025.04.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