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농담/농업 전반

씨앗을 지배하면 식량을 지배한다.

by 石基 2011. 7. 29.
반응형

1901년에 설립된 몬산토는 유명한 화학회사였습니다. 큰 전쟁을 거치며 한몫을 단단히 쥐고, 1960년대부터는 농업을 핵심사업으로 주력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때가 마침 녹색혁명의 시기였지요. 이 회사는 1980년대부터는 생명공학에 집중하기 시작했습니다. 아마 그때부터였을 겁니다. 몬산토는 여러 종자회사들을 합병하면서 거대한 종자회사로 군림하기 시작했습니다. 특허권으로 다양한 종자를 농민의 손에서 회사의 보관소와 연구실로 빼앗아 갔습니다. 그 결과 지금은 식량 공급을 좌지우지하는 큰손이 되었습니다. 1년에 12억 달러라는 막대한 돈을 연구에 투입하고 있는 몬산토. 일개 농부의 힘으로 맞서기에는 너무나 힘에 부칩니다. 그래서 오늘도 농민들은 몬산토의 씨앗을 사서 심고, 몬산토의 제초제와 살충제를 뿌리고, 몬산토의 비료를 구입해 주고 있습니다.

지난 15년 동안 이른바 'Big Six'라 불리는 다국적 화학회사가 수많은 종자회사를 합병했습니다. 그 여섯은 몬산토, 듀폰, 신젠타, 바이에르, 다우, 바스프입니다. 이들 가운데 지배자는 단연 몬산토입니다. 


1997년 구제금융 사태가 터진 한국. 그걸 수습하는 과정에 거의 모든 종자회사가 이와 같은 다국적 기업의 손에 넘어갔습니다. 현재 한국 자본의 종묘회사 가운데 큰 규모인 것은 단 하나가 남아 있지만, 자본은 국경을 따지지 않으니 뭐 그렇습니다. 몬산토는 바로 그때 우리나라에 진출했습니다. 뭐 눈에 잘 띄지 않는 농업 분야라 그런데, 몬산토코리아의 매출액은 2007년 기준으로 약 456억에 달합니다. 매출 2위의 약 66억과 비교하면 그 영향력이 확 피부로 다가옵니다. 

구제금융 이전 한국에는 네 개의 큰 종묘회사가 있었습니다. 서울종묘, 중앙종묘, 청원종묘, 흥농종묘가 그것입니다. 98년 중앙종묘와 흥농종묘가 멕시코의 종자회사 세미니스에 매각됩니다. 그리고 신젠타가 서울종묘를 인수합니다. 마지막 청원종묘는 일본계인 사카다 종자회사로 매각됩니다. 그리고 나머지 소소한 종묘회사들이 영세한 중소기업으로 전락을 합니다. 그런데 그 멕시코의 세미니스가, 한국의 가장 크고 유망한 종묘회사를 인수한 그곳이 몬산토에게 매각되는 겁니다.


1996~2008년 사이 '빅 식스'가 합병해 온 종자회사들을 보여드리겠습니다. 이 자료는 미시간 주립대학의 필립 하워드 교수가 만든 것입니다. 



그림 설명은 파란 원은 종자회사, 빨간 원은 제약이나 화학회사입니다. 회색 실선은 완전한 소유권, 점선은 부분적인 소유권을 뜻합니다. 아무튼 이 그림을 통해서도 몬산토의 어머어마한 영향력을 한눈에 볼 수 있습니다.


몬산토는 1980년대 중반부터 엄청난 속도로 종자회사들을 먹어치우기 시작합니다. 그리고 그를 바탕으로 개발한 유전자조작 생물을 활용해 세계의 식량 공급을 좌지우지합니다. 지금도 독립적인 여러 종자회사를 파트너쉽이란 명목으로 지배하고 있지요.

이러한 빅 식스는 따로 떨어져 존재하지 않습니다. 서로 하나 이상의 협약을 맺어 공동으로 특허권을 나누어 갖는 등의 방법으로 공생하고 있습니다. 몬산토야 말할 것도 없고, 다우는 바이에르와, 신젠타는 다우 몬산토 듀폰과, 바스프는 다우와 몬산토와 이어져 있죠.


이 결과가 우리에게 다가오는 현실은, 종자를 지배하는 자가 식량을 지배하고, 결국 식량을 지배하는 세계를 지배한다는 것입니다. 우리 스스로 씨앗을 지키지 못하면, 농사의 미래는 어두울지도 모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