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庫間/문서자료

군품과 자리품

by 雜것 2010. 2. 18.
반응형

지난주 모임에서 조사항목에 대한 이야기를 하다가 군품과 자리품에 대해 적절히 설명을 하지 않고 넘어갔는데요. 자료를 보던 중 눈에 띄어서 다음과 같은 설명을 옮기기로 하겠습니다.

"군품과 자리품은 모두 있는 사람들한테 선돈을 얻어쓰는 것인데, 군품은 쌀 한 말에 셋, 넷씩(삼일, 사일간의 품일) 해주는 것으로 가래질도 해주고 하여튼 해달라는 대로 가서 일을 해주는 것이다. 자리품은 쌀 한 말에 논 한 마지기씩 모도 내주고 논도 매주고 지게질도 해주고 하는 것이다. 자리품은 보통 명절 때 많이 한다. 장난하느라고 있는 집에 가서 놀고, 그래서 선돈을 쓰고 농사철에 자리품을 팔게 된다."

이 두 용어는 혼용되는 경우도 있고, 어느 한쪽(주로 자리품)으로 두 관행 모두를 지칭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또 도급이라는 것과 혼용되는 경우도 있지요. <<수원시의 역사와 문화유적>> 조사 당시 권선구 오목천동 곳집말의 김대영씨(남. 1926년생. 당시 곳집말 노인회장)가 위와 같이 깨끗이 정리를 해주었더군요. 당시 조사일지에는 자리품에 대한 설명 뒤에 물음표를 달았었는데, 이는 아마 "논 한 마지기씩 모도 내주고 논도 매주고 지게질도 해준다"는 표현-특히 지게질-의 의미를 이해하지 못했던 탓인 것 같습니다. 다른 지역의 용례들에 비추어볼 때도 이와 같은 설명이 타당한 것 같습니다. 물론 자리품을 줄 때 '지게질' 즉 벼베기를 빼고 모내기와 논매기만을 맡기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야 사실 정하기 나름이겠지요.

즉 군품은 어느 논의(또는 논이 아닌 다른 밭, 산, 집 등) 무슨 일인지를 정하지 않고 단지 일을 해주는 품의 일수日數만을 정한 후 군품미(-米)를 준 사람이 부르면 언제든지 가서 그 일을 해주어야 하는 관행이고, 자리품은 특정 논을 맡아서 모내기, 김매기, 벼베기(지게질)까지 해주기로 하고 마지기 당 한 말씩으로 쳐서 미리 품값을 받고 나중에 일을 해주는 관행을 말하는 것입니다. 이렇게 되면 <일꾼 한 명 당 하루 논 한 마지기>를 기준으로 삼는 품삯 계산법과도 들어맞지요.

물론 김매기나 벼베기의 경우 대개 하루 한 마지기 이상을 할 수 있습니다. 그러니까 자리품을 얻는 쪽에서도 이점이 있는 거지요. 즉, 일을 잘 하는 사람은 남들과 같이 한데 묶여서 품을 팔러다녀서는 오히려 불리합니다. 자기가 일을 잘 하는 만큼 일을 못하는 사람의 몫까지도 해야하거든요. 그러면 품삯은 똑같이 받고 일을 일대로 더 하고, 완전히 손해 난만입니다. 그러나 자리품으로 일을 하면, 자기가 일을 잘 하는 만큼, 10마지기 논에 대해서 하루 한 마지기 한 말로 계산해서 열 말 품값을 받고 실제로는 5일이나 7일 정도로 끝내버리는 거지요.

이것은 도급과 사실상 같은 개념입니다. 그때문에 군품 대신 자리품이라는 말을 쓰고 자리품 대신 도급이라는 말을 쓰는 용례들이 나타나게 되었던 것 같습니다. 그러나 '자리'라는 말이 붙은 이상 어느 한 자리(특정 논)에 대한 품을 파는 것이라는 뜻을 갖는 것이 더 자연스럽겠지요.

그렇다면 자리품과 도급은 어떤 관계에 있는 것일까요? 아직 확신할 수는 없지만 자리품은 개인을 기준단위로 삼는데 반해 도급은 집단을 기준으로 삼는다고 일단 구분할 수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일이 능숙한 사람에게 있어서 자리품이 갖는 이점은 점차 확연해지고, 그러나 개인이 맡을 수 있는 일의 범위는 한계-끽해야 한 닷 마지기 아니겠습니까-가 있다는 점도 명백해졌을 때, 뭔가 이걸 사업적으로랄지, 좀더 큰 규모로 해보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 것 같습니다.

이때 만일 마음이 맞고 모두 한결같이 일손이 날랜 5명이나 10명이 모여 도급작업반을 결성하면, 그만큼 맡을 수 있는 논의 면적도 커지고, 당연히 일꾼들에게 떨어지는 몫도 커질 겁니다. 그렇게 품팔이 일꾼-좀 말이 그렇다면 전문적인 일용농업노동자-이 늘어나고(이 추세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것이 분단과 전쟁으로 인한 월남민의 유입 같은 것이 있겠지요), 경작규모가 커지고 농업의 수익성도 증대되는 과정에 자리품에서 도급으로의 발전이 자리잡는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드는데요. 여러분들 생각은 어떻습니까.

반응형

'庫間 > 문서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두레패  (0) 2010.02.18
석발미, 한백미  (0) 2010.02.18
농업의 역사  (0) 2009.07.13
안산 대부도 사투리  (0) 2009.05.09
안산의 농업  (0) 2009.05.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