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곳간/문서자료

성호사설 10권 인사문 - 종면법種綿法

by 石基 2008. 5. 15.
반응형

백성은 반드시 의식衣食을 힘입어 사는 것이다. 옷은 상마桑麻에서 나오나, 상마를 이용하는 것이 오히려 목면木綿만 못하다. 우리나라에 문익점이 있은 것은 마치 광중廣中에 황시黃始가 있은 것과 같다. 누에를 칠 때 선잠先蠶 제사가 있다면, 지금 진주晉州 강성江城에도 문익점의 사당을 세워서 광중에 황시의 사당이 있는 것과 같이 해야 할 것인데, 아직껏 사당을 세우지 않았으니 우리나라 사람의 두서없음이 이와 같다.
어느날 나의 친구 남군南君이 공주公州에서 와 나에게 말하기를 “내가 목화농사를 오래 하다 보니, 그 묘리를 터득하여 남들보다 배의 수확을 얻는다. 목화의 성질은 습기를 싫어하는 것이므로 물이 잘 빠지는 전지를 택하여 심어야 된다. 《주례周禮》에 ‘밭가의 도랑은 깊이와 너비를 두 자로 한다’ 하였으니, 이 말을 표준하여 도랑을 만들 것이며, 땅은 사질토가 가장 좋다.

봄이 되면 먼저 밭을 세로 갈아[縱耕] 두 고랑을 합쳐 한 두둑을 만드는데, 너비는 도랑과 같이 한다. 그리고 입하立夏가 되면 쟁기로 그 높은 두둑을 없애고 가로 갈아[橫耕] 이랑을 만드는데, 간격을 한 걸음 정도로 한다.

한 사람이 소의 뒤를 따라가며 고랑에다 구덩이를 만드는데, 직경은 포백척布帛尺으로 반 자 정도로 한다. 이렇게 한 다음, 똥재를 구덩이 속에 넣고 양쪽 두둑의 흙으로 두텁게 덮은 뒤 손바닥으로 판판하도록 두드린다. 또 손으로 표지를 해서 씨를 뿌릴 때 알아보기 쉽게 한다. 이렇게 한 뒤에 종자를 뿌리고 흙을 덮는 것은 딴 곡식과 마찬가지로 한다.

솎아줄 때는 아주 드물게 해야 하는데, 토박한 밭에는 한 구덩이에 10포기, 토옥한 밭에는 6~7포기만 남기고, 서로 겹으로 붙은 것은 반드시 없애 버린다.
무릇 한 해에 6~7번의 김을 매는데, 첫 번과 두 번째 맬 때는 양쪽 흙으로 대강 북만 주고, 싹이 점점 자라 세 번째 맬 때는 양쪽 옆 흙을 싹 사이에 두텁게 끌어모아서 가지가 사방으로 벌어지도록 한다. 네 번째 맬 때는 더욱 높게 북을 주어 물이 쉽게 빠지도록 한다. 북을 많이 주어야 뿌리가 깊이 박혀 바람에 흔들려도 열매가 떨어지지 않는다.

똥재는 봄보리 한 마지기를 심는 데 소로 6~7바리를 실어내니, 똥재는 두엄만 못하다. 대개 목화의 성질은 뿌리를 깊이만 박고, 옆으로 뻗어나가지 않기 때문에 똥재를 두둑 위에 흩뿌리는 것은 목화의 뿌리와 아무 상관이 없으니, 구덩이를 파고 넣어야 그 줄기가 억세져서 곁순이 나지 않는다. 바람이 불면 뿌리가 흔들리는 까닭에 반드시 두텁게 북을 주고, 장마가 지면 잎이 무성해져서 열매가 썩어 떨어지는 것이 많기 때문에, 윗 순을 잘라 크지 못하게 하면서 옆으로 퍼지게 하여 햇볕을 받도록 한다. 대개 목화는 열매가 맺지 않음은 걱정할 것 없고 다만 열매가 맺혀도 목화 송이가 잘 피지 않을까 걱정인데, 이와 같이 가꾸기만 하면 맺힌 열매는 제대로 벌어져 목화 송이가 된다.

《시경》에 '삼을 심는데 어떻게 하나? 그 이랑을 가로 하기도 하고 세로 하기도 한다[藝麻如之何 橫縱其畒]’라고 하였는데, 삼 역시 건조한 밭이라야 잘되는 것이므로 이렇게 말했으니 옛사람이 농사의 묘리를 자세히 안 것이 이와 같다.

목화는 그 뿌리를 깊이 박는 것이므로 지기地氣를 가장 많이 손상시킨다. 같은 밭에 3년을 계속하여 목화만 심으면 목화송이도 차츰 작아지고, 목화의 질도 계속 나빠진다. 그러나 이 방법을 잘 이용하면 별로 실패가 없을 줄로 안다” 하였다.
어떤 이는 또 “이와 같이 할 것이 아니라 산 밑 경사진 밭을 비스듬하게 갈고, 오직 이랑에 물만 잘 빠지도록 하며, 싹을 솎을 때는 처음에 아주 드물게 하는 것이 좋다. 조금 큰 뒤 드물게 남기면 꽃이 가지 끝에만 있어 목화가 제대로 되지 않는다”고 한다. 이 말도 역시 옳다. 이 두 사람의 말은 산업에 중요한 일이기 때문에 자세히 적는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