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현대농업16

대규모 단작 방식의 목화 농업 막연히 '미국의 목화농사는 대규모로 이루어지니 기계를 쓸 거야'라고 생각했다. 세상에나 그 막연한 생각이 아래의 사진 3장에 확 깨버린다. 이건 뭐 어마어마한 규모의 농사구만! 이에 반해 제3세계의 목화농사는 주로 사람의 노동력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그러니 경쟁력이란 걸 따지자.. 2012. 11. 28.
작부체계의 변화로 생산성, 수익성, 환경친화성을 얻을 수 있다 작부체계를 바꾸는 것만으로 농약과 화학비료에 대한 의존을 줄일 수 있다는 연구가 발표된 적이 있다. 아이오와 주립대학의 Marsden 농장에서 행해진 실험결과가 그것이다. 약 2,5000평 정도의 농지를 셋으로 나누어 농사를 지었다. 하나는 관행적으로 옥수수-콩 돌려짓기, 다른 하나는 옥수.. 2012. 10. 21.
공업형 농업의 폐해 화학물질과 유전자조작 작물에 의존하는 에너지 집약적 공업형 농법은 공중보건만이 아니라 이 행성을 파괴하고 있기도 하다. 공업형 농업은 막대한 온실가스를 배출하고 지구온난화를 일으키면서, 이른바 유전자조작 가뭄 저항성 작물과 농산연료와 같은 잘못된 해결책을 조장하고 있.. 2012. 2. 23.
유기농업 -인도의 미래인가? 인도 농업노동자가 Gujarat주에서 유기농으로 기른 양배추를 보여주고 있다. 사진: Sam Panthaky/AFP/Getty Images 인도의 노력하는 농민들은 유기농적 삶에 관심이 싹트면서 이익을 얻기 시작했다. 유기농 농민의 수입이 급증했을 뿐만 아니라 –유기농 전문가에 따르면 30%에서 200%까지– 농약에 오염된 땅이 .. 2011. 5. 1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