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어느 아름다운 날, 옥수수밭에서 시작할 것이다 —지난 여름 아이오와의 옥수수밭이라 부를 것이다. 옥수수는 키가 크다. 대기가 반짝이고 있다. 단 하나 잊은 것이 있다 —그건 매우 중요하다...


... 중요하지만, 아직은 말하지 않겠다.


대신 돌아가보자. 잠시 뒤 옥수수밭으로 돌아올 것이지만, 재미를 위해 남아프리카 케이프타운에 있는 공원으로 날아가겠다. 그곳에서 금속제 큐브가 잔디밭에 놓여 있는 걸 볼 것이다.


그 큐브는 사진작가 David Liittschwager 씨가 놓아둔 것이다. 그는 몇 년 동안 세계를 여행하면서 정원과 공원, 숲, 바다 등 사진을 찍는 곳에다 큐브를 하나씩 놓았다. 딱정벌레, 귀뚜라미, 물고기, 거미, 벌레, 새 —눈으로 볼 수 있을 만큼 큰 건 사진을 찍었다. 24시간 뒤 그가 케이프타운의 큐브에서 발견한 것은 다음과 같다:





0.02평의 잔디밭에서 30가지의 식물과 약 70가지의 벌레가 있다. 그리고 영국 가디언 연구자가, "큐브를 집어들고 10걸음을 걸어가면, 50% 이상 다른 식물 종을 만날 수 있었다. 그걸 언덕 위로 옮기면, 그 종을 찾아보지 못할 것이다." 개체군이 거리에 따라 크게 변했다 —눈에 보이지 않는 곰팡이나 미생물, 자그마한 것들은 세지도 않았다.


또 다른 사례: 여기 코스타리카의 해발 30m 지점에 사는 무화과나무 밑에 큐브를 놓았다. 여기에서 아래로 계곡이 보인다.





웬일인가? 150가지 이상의 식물과 동물이 0.02평의 공간에 살거나 지나다녔다: 새, 딱정벌레, 파리, 나방, 벌레, 벌레, 벌레, 벌레...





하바드대의 생물학자 E.O. Wilson 씨는 David Liittschwager의 사진집의 서문에서 그건 보통 우리의 이목을 끄는 큰 동물이라고 했다. 무릎을 굽혀 작은 부분까지 관찰하면 "점차 더 작은 서식지, 더 막대한 수를 가리기 시작할 것이다."


그들은 흙을 만들고 공기를 통하게 하며, 수분을 시키고, 잡동사니를 제거하는 생물이다. 이들은 엄청나게 많이 있다. 


옥수수밭으로 돌아가자.


아이오와로 돌아가 나의 동료 Craig Childs 씨와 모험을 하기로 결정했다. 그는 자신의 새 책에서 얘기했듯이, Angus라는 친구를 고용해 함께 Grundy County에 있는 73만4500평의 밭 한가운데에서 사흘을 보내기로 했다. 그들의 계획은 옥수수밭 사이에서 살고 있는 옥수수 이외의 생물을 찾는 것이다. 곧 Liittschwager와 같은 개체수 조사다.


그러나 옥수수밭은 국립공원이나 원시림과 같지 않다. 옥수수 농민은 옥수수를 옹호한다. 옥수수를 먹는, 옥수수를 해치는, 옥수수를 방해하는 어떠한 것이든 죽인다. 그들의 옥수수는 해충을 방제하며 재배된다. 땅에다가 살포한다. 줄기에다가도 또 살포한다. "무얼 찾을 수 있을 것인가?"





그 답에 놀랐다. 그는 거의 아무것도 발견하지 못했다. "나는 아무것도 듣지 못했다. 새 소리도, 벌레 울음소리도."


거기에는 벌도 없었다. 대기와 대지는 텅 비어 있었다. 그는 개미 한 마리를 발견했는데 "너무 작아 표본으로 만들지도 못했다." 잠시 뒤, 다른 두둑으로 기어가서 버섯을 발견했다. 그건 "사과 씨앗만 했다(아래 그림의 하나)." 그러고 난 뒤 거미줄의 거미가 꾸정모기를 (딱 한 마리) 먹고 있었다. "먼지만 한" 한 마리 빨간 진드기가 "황급히 메마른 땅 위로 지나갔다." 메뚜기 몇 마리 그게 다이다. 여기저기 기어다녔지만 그가 발견한 건 더 없었다. 


"완전히 다른 행성에 온 느낌이었다." 벌거벗은 세계.




그러나 100년 전, 이 밭이 있던 이곳 평원은 300종의 식물, 60종의 포유류, 300종의 조류, 수천 마리의 곤충들이 살던 곳이었다. 이곳의 흙은 미국에서 가장 기름지고 좋았다. 그런데 지금 이곳에선 거의 아무것도 살지 않는다. 우리가 모두 없애 버렸다. 


물론 우린 인구를 부양해야 한다. 그러나 우리에게는 지구 위에 사는 모든 생명을 위한 작디작은 창조물도 필요하다. 의도적으로 식량을 생산하기 위해 생물학적 사막을 만들어 버리는 이상한 종이 하나 있다: 바로 우리들이다. 그래, 그게 효율적이다. 개미가 사라지고, 벌이 사라지고, 새들이 떠나버리는 그런 효율이다. 여기에는 무언가가 없다. 우리의 옥수수밭은 너무 조용하다.




http://goo.gl/sbtR9

728x90
728x90


Rufina Gibson weeds a peanut patch on her farm in Malawi's Dedza district. African farmers typically raise several crops and animals on their farms, which provides environmental and nutritional advantages over single-crop farming, but productivity is lower than it could be. 

Credit: Stevie Mann/International Livestock Research Institute









Rebecca Nelson, who teaches international agriculture at Cornell University when she’s not zooming around Africa and Latin America, thinks a lot about the future of farming. She also happens to be my wife. on a recent long-distance car trip, I grilled her on some of the ideas she’s been working on. I may be biased, but I think they’re pretty important.

Since the middle of the last century, she says, farmers in the world’s wealthier countries have been practicing what we’ve come to know as “modern” agriculture. They plant scientifically improved seeds in soil that’s been fortified with synthetic fertilizers. They apply insecticides, herbicides and fungicides to protect the plants as they grow. Irrigation solves the age-old problem of unreliable water.

Value judgments aside, this is essentially an industrial model. Its operating principle is “optimized simplicity.” You reduce the number of moving (and living) parts and make the individual elements as robust as you can. If something isn’t working, you swap it out for something better. You measure success by subtracting the cost of your inputs from the value of your outputs.

The Green Revolution, which boosted rice and wheat production in much of lowland Asia and Latin America in the 1960s and 1970s, was basically the extension of this model to the developing world. Vast areas of land were planted with the same crop varieties, and governments and other agencies provided farmers with subsidized seeds, fertilizers, pesticides, irrigation, energy and loans. It was a powerful package, and it produced.

Scientists often get the credit for the technical breakthroughs – hybrid crops, nitrogen fertilizers – that made this revolution possible. But the real driver, Rebecca argues, was a seemingly limitless supply of oil – oil for fertilizer, for pesticides, for tractors, for pumps, for milling, for storage, for processing, for hauling. Oil didn’t just bump up yields; it also dramatically reduced the number of people needed for farming, fueling an epic migration from the countryside to the cities. For many political leaders, adding oil to agriculture was a crucial first step toward the ultimate goal of an advanced industrial economy.

If oil was cheap and abundant in the 20th century, information was expensive and scarce. It typically was locked away in industry and university labs. When the experts were ready to release it, they did so carefully, providing clear instructions on its proper use and (with some notable exceptions) protecting their rights of ownership.

Today, the world is different. We know that oil, water and land are finite resources and that their costs are only going up. We know that our love affair with fossil fuels has been disastrous for the climate and has created huge new challenges for food production in the places least equipped to deal with them. We know that chemical fertilizers create dead zones in our oceans and release greenhouse gases 300 times stronger than carbon dioxide. We know that pesticides can upset the balance of delicate ecosystems and pose serious hazards to human health. We know thatmonocultures are not just environmentally destructive, but also undermine good nutrition. We know that separating animal husbandry from the cultivation of crops produces enormous amounts of pollution and waste.  

The most important words in that last paragraph are “we know.” Because if oil is no longer cheap and abundant, information suddenly is. Not just in wealthy countries, but in poor ones, too. Most Indians and Africans have cellphones. The Internet is reaching places that only recently got electricity. An unprecedented amount of data is now available to nearly anyone who wants it, and nearly anyone can upload his or her own.

What that data tells us, more than anything, is that the world is a diverse and complex place. Soils, climates and cultures vary greatly, even within small areas. And ecosystems, economies and societies behave more like living organisms than factories or machines. Everything is connected and everything interacts – a bacterium on the root of a plant with the quality of local schools with the transparency of national governments with the acidity of distant seas.

In a world like that, a food production system based on optimized simplicity seems quaint at best. Rebecca says we’d do better to aim for optimized complexity. Call it post-modern agriculture.

She’s hardly the only person thinking this way. There’s a growing buzz in agriculture circles about the promise of “agroecology” – an approach to farming that looks for synergies and complementarities among crops, trees, livestock, birds, insects, microbes, soil, water and people.

There also has been a much broader embrace of the notion of “multifunctionality,” which sees agriculture not just as a means for churning out food, but also for providing employment, preserving wildlife habitat, sequestering carbon, protecting the soil and water, and fostering health and happiness.

What’s so post-modern about all that? For 10,000 years, most of the world’s farms have been, to some degree, ecological and multifunctional. But with a more difficult climatedegraded soils,diminishing water supplies, competition for land and laborchanging diets and billions more mouths to feed, few of those farms are as productive, or as resilient, as they urgently need to be.

And as they can be. Research has shown that integrated farms that recycle nutrients, use natural pest control and produce many different products aren’t just easier on the environment, but they also can provide more food and fiber than industrial farms. And they can be less vulnerable to upsets like pest infestations, disease outbreaks, flooding and drought. 

So what does a post-modern farm look like? Is it high tech or low tech? Grand scale or small scale? Labor intensive or capital intensive? There’s no single answer – and that’s the point. There are so many variables, from the biological to the physical to the political to the economic. What makes sense in one place may be totally inappropriate in another. 

Finding suitable solutions will take time and effort and lots of input from lots of people, from scientists and policymakers to farmers and consumers. And that gives Rebecca heart. Because a complex system based on information, creativity and local knowledge is likely to be more enduring – and more empowering – than a simple one based on oil. 



http://cironline.org/blog/post/are-we-ready-post-modern-farming-4037

728x90
728x90


막연히 '미국의 목화농사는 대규모로 이루어지니 기계를 쓸 거야'라고 생각했다. 세상에나 그 막연한 생각이 아래의 사진 3장에 확 깨버린다. 이건 뭐 어마어마한 규모의 농사구만!


이에 반해 제3세계의 목화농사는 주로 사람의 노동력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그러니 경쟁력이란 걸 따지자면 이런 대규모 농업에 비할 수 있겠는가? 거기에다 미국의 목화농업은 정부를 통해 보조금도 엄청 받는다는 사실. 세계의 주요 목화 생산국인 미국의 목화 가격에 따라 제3세계의 목화농민들이 살았다 죽었다 한다는 것이 이제야 실감난다. 


이와 관련하여 요즘 <코튼로드>라는 책을 보는데 거기에 나오는 몇 구절을 옮기면 이렇다.

아마두 투마니 투레 당시 말리 대통령은 "지원금이 없다면 미국 농민들은 우리 말리 농민보다 훨씬 비싼 값에 목화를 생산할 겁니다. ... 또 유럽과 미국 사이의 환율전쟁에 대항해 우리가 무얼 할 수 있겠습니까? 유로가 오르면 달러로 매매되는 우리 목화는 값이 떨어집니다."


말리에 주재한 비키 허들스톤 미국 대사는 이렇게 말한다. "아프리카는 언제나 자기들이 안고 있는 문제를 스스로 해결하기보다 다른 대륙의 탓으로 돌리죠. ... 당신이 정직한 사람이라면 미국에 가서 매우 현대적인 농업의 진면목을 볼 겁니다." 


어째서 미국의 목화 농업이 세계의 목화 농민을 들었다 놓는지, 미국의 매우 현대적인 농업의 진면목이 무엇인지 아래의 사진을 보면 확 다가온다. 더 많이 알려면 역시 그곳에 가봐야 한다! 


이러한 농기계를 묘사한 글이 <코튼로드> 129~130쪽에 나온다. 아래의 사진과 함께 보면 좋을 것 같아 인용한다.


멀리 지평선까지 둘러보아도 눈에는 온통 순백의 세계만이 들어온다. 바로 수확 첫날(5월16일)이다. 마투그로수에서 수확하는 첫날이라는 뜻이리라 짐작한다. 몇몇 녹색 반점들이 멀리서 가물거린다. 그보다 더 멀리에는 숲이 버티고 있어서 순백의 세계를 저지한다. 저 숲은 앞으로 얼마나 오랫동안 버틸 수 있을까? 흰색 바다가 브라질의 중심을 독점했다. 백색이란 우리에게는 눈이나 얼음의 상징이다. 백색은 순수를 뜻하며, 순수란 차가움이다. 그런데 도대체 이 열대지방을 몰아친 거대한 백색의 장원은 무어란 말인가? 이 백색의 장원 뒤에는 무슨 비밀이 숨어 있을까? 

가까이 다가가자 녹색 반점의 정체가 드러난다. 상당히 야성적인 동물로 크기가 엄청 크고(높이 3미터), 끔찍할 정도로 먹성이 좋다. 꼬부라진 검은 손가락으로 불쌍한 목화를 낚아채서 심연처럼 보이는 입속으로 집어넣는 여섯 개의 녹색 살인귀. 이 커다란 구멍을 입이라고 부른다면, 그 안에서는 이빨 대신 둥그런 강철판이 쉬지 않고 돌아간다. 맹렬하게 작동 중인 존디어 사의 기계가 바로 녹색 반점의 정체다. 곤충을 닮은 다른 기계들도 이에 못지않게 저돌적으로 움직인다. 엄청 크고 노란 거인 개미는 목화를 운반한다. 회색과 빨간색이 섞여서 잠자리처럼 보이는 녀석은 보통 때에는 발을 움츠리고 있다가 갑자기 발을 쭉 뻗는다. 끝이 늘어나는 긴 발이다. 이 긴 발들이 이제 막 수확을 시작한 밭에 뿌리는 안개비 같은 건 뭘까? 구멍이 뚫린 데다가 오줌까지 싸대는 발이라니...... 이 괴상한 브라질의 잠자리는 정말 놀라운 존재다. 

그러는 동안 목화는 통으로 옮겨졌으며, 압축기가 오랫동안 사정없이 그 위를 눌렀다. 트럭들이 기다리고 있었다. 이 트럭들은 집채만한 '잿빛 금궤'를 운반하기 위해서 여기까지 온 것이다. 백색의 장원을 보고 일으킨 현기증이 다시금 엄습한다. 이 거대한 기계 곤충들은 물론 전문기사가 운전을 한다. 하지만 그들은 땅에 발을 내려놓는 법이 없다. 거대한 들판에 인간이라고는 그림자도 보이지 않는다. 나는 다시금 아프리카를 생각해본다. 과거 식민지 농장 시절에 수확은 어떤 모습이었을까 상상해본다. 지금으로부터 2세기 전이었다면 이 1만 헥타르를 수확하기 위해 얼마나 많은 노예가 동원되어야 했을까?






728x90
728x90

작부체계를 바꾸는 것만으로 농약과 화학비료에 대한 의존을 줄일 수 있다는 연구가 발표된 적이 있다. 아이오와 주립대학의 Marsden 농장에서 행해진 실험결과가 그것이다. 약 2,5000평 정도의 농지를 셋으로 나누어 농사를 지었다. 하나는 관행적으로 옥수수-콩 돌려짓기, 다른 하나는 옥수수-콩-귀리 돌려짓기, 마지막은 옥수수-콩-귀리-자주개자리 돌려짓기. 마지막 작부체계에선 자주개자리를 기를 때 가축을 방목하여 똥오줌을 받았다고 한다. 삼포제 농법의 부활이라고도 볼 수 있다. 똑같지는 않지만, 자주개자리를 포함한 마지막 작부체계 전통농법의 하나인 과거 유럽에서 행해지던 삼포제 농법을 새롭게 응용한 방식이라고 평가할 수 있겠다. 자주개자리는 콩과식물인데다가 가축이 그걸 뜯어먹으며 똥오줌을 싸니 밭이 더욱 기름질 수밖에...


그 결과가 아주 재미난데, 새로운 작부체계를 활용하니 옥수수와 콩의 수확량이 늘고, 농약과 화학비료의 사용량은 88%까지 감소했으며, 지하수의 독성물질은 200배 줄었고, 수익에선 큰 차이가 나지 않았다. 물론 좋은 점만 있는 건 아니다. 단점으로 꼽힌 것은 역시 인건비. 인건비가 증가한단다. 이봐라, 왜 현대농업으로 나아갈수록 농민이 가난해지고 농지에서 쫓겨나 도시로 나가는지 엿볼 수 있는 단서다. 아무튼 그래도 낫지 않은가? 담합해서 농민들 땀 묻은 돈이나 뜯어먹는 농약회사, 비료회사, 농협에게 돈다발을 안기기보다는 정직하게 땀흘리며 일하는 농민, 노동자에게 그 돈이 들어간다니 말이다. 인건비 상승, 나쁘게만 볼 것이 아니다.


미국에선 1년에 약 227만 톤의 농약이 사용된다. 많다고 느끼는가? 한국은 OECD 국가 중 농약사용량 1위의 국격 있는 나라다. 작물보호협회(농약이 작물을 보호한다고, 농약이 지닌 나쁜 이미지를 없애고자 만든 이름)에서는 억울하다고 호소한다. 단순히 비교하는 건 의미가 없다고 하면서 말이다. 여기를 보라(http://goo.gl/Mg9It). 핑계를 댄다고 많이 쓰는 게 많이 쓰는 게 아닌 것이 되는 건 아니지 않습니까, 작물보호협회여? 하긴 농업 분야 이외에도 공원, 골프장, 아파트단지 등등의 관리를 위해서도 엄청나게 사용하고 있다. 자살자들도 애용하고...ㅜㅜ


조선의 농법 중에 일본인 농학자들의 혀를 내두르게 한 2년3작식 작부체계가 있다. 이를 유럽의 삼포식 농법과 비교해도 전혀 손색없는 훌륭한 농법이라고 평가했지. 결론적으로 이번 실험결과나 조선의 전통농법이나 일맥상통하는 건 땅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놀려서 최대의 산출을 빼 돈을 벌 것이냐가 아니라, 땅을 얼마나 아기자기하게 놀려서 적당한 산출을 얻으면서도 지력을 유지하도록 할 것이냐다. 


작부체계의 다양성이 증가하면 생산성, 수익성, 환경에 더 이롭다는 연구결과는 여기를 참조할 것(http://goo.gl/S5DaI).


그 실험결과 옥수수 생산량은 평균 4%, 콩은 9% 증가했다. 빨리빨리 옥수수-콩만 돌리는 것보다 시간이 오래걸리니 수익이 떨어질 것이라 예상하겠지만, 수익 면에서는 비슷했다는 점. 농약과 화학비료 사용이 준다는 점이 중요하다. 그런데 이런 재미난 연구는 주목받지 못하고 스탠포드 대학의 유기농을 먹는다고 건강해지는 게 아니라는 연구나 세간의 주목을 받고 말이야(http://goo.gl/HKigg). 


2년3작식이 뭔지 궁금해여? 궁금해여? 궁금하면 500원.




728x90
728x90

화학물질과 유전자조작 작물에 의존하는 에너지 집약적 공업형 농법은 공중보건만이 아니라 이 행성을 파괴하고 있기도 하다.


공업형 농업은 막대한 온실가스를 배출하고 지구온난화를 일으키면서, 이른바 유전자조작 가뭄 저항성 작물과 농산연료와 같은 잘못된 해결책을 조장하고 있다.


공업형 농업은 살충제, 화학비료, 다이옥신을 포함한 독성물질로 환경과 토양 속 먹이그물을 오염시키고 있다.


공업형 농업은 습지와 대수층을 메마르게 하고 오염시켜 농지를 사막으로 만들어 버린다. 물론 공업형 농업은 마실 수 있는 물까지 오염시킨다.


공업형 농업은 유전자조작 작물과 농산연료, 목초를 위한 대규모 단작으로 열대우림을 파괴한다.


공업형 농업은 영양과 생물다양성은 감소시키면서 식료품 비용은 증가시킨다.


공업형 농업은 농약에 내성을 가진 슈퍼 해충과 슈퍼 잡초 및 항생제 내성 균을 양산한다.


공업형 농업은 새롭고 더욱 치명적인 동식물과 인간의 질병을 유발시킨다.


공업형 농업의 화석연료를 낭비하는 집약적 농법은 천연가스 프랙킹과 타르샌드 추출을 활발하게 만들어 숲과 대수층, 농지를 파괴한다.


공업형 농업은 1%의 부유한 화학적, 에너지 집약적 농장과 식품 생산업자에게 엄청난 보조금을 지급하여 99%의 부를 강탈한다.




http://www.organicconsumers.org/bytes/ob314.htm




728x90
728x90


인도 농업노동자가 Gujarat주에서 유기농으로 기른 양배추를 보여주고 있다. 사진: Sam Panthaky/AFP/Getty Images



인도의 노력하는 농민들은 유기농적 삶에 관심이 싹트면서 이익을 얻기 시작했다. 유기농 농민의 수입이 급증했을 뿐만 아니라 –유기농 전문가에 따르면 30%에서 200%까지– 농약에 오염된 땅이 자연농의 방법을 통해 회복되면서 수확량도 올랐다. 

유기농업은 약 7년 전 이 지역에서 시작되었다. 농민들은 여러 이유로 전통적인 농사 방식으로 전환하고 있다.

첫째, 건강한 삶을 지향하고 유독성 먹을거리에 대한 우려와 먹을거리 시장을 괴롭히는 저질품이 증가하여, 해외와 인도의 점점 풍요로워지는 도시들에서 유기농산물을 판매하면 10~20%의 할증료를 벌 수 있다.

둘째, 농약과 화학비료의 값이 엄청 오르고 농민은 대출을 받아 비싸게 사야 하며, 조작된 종자 품종은 부채의 소용돌이에 말려들게 만들고 있다. 심각한 부채와 대출의 짐이 온 나라에서 농민의 자살을 부추기고 있다. 특히 Maharashtra의 Vidarabha 지역에서 그렇다. 유기농업은 화학물질과 화학비료 대신 거름 같은 값싼 자연의 산물을 활용하기에 70% 이상 경작비와 투입재의 비용을 대폭 줄인다. 

셋째, 농민은 1960년대부터 엄청나게 많은 수확량과 기근 억제, 식량부족을 해결하기 위해 농약과 화학비료를 어마어마하게 쓰도록 유도한 인도의 녹색혁명이 불러온 유해한 영향으로 고통받고 있다. 몇 십 년 동안 화학물질은 땅에 타격을 주었고 수확량은 급감하고 있다.

"서구의 현대농업은 농촌의 농업을 망쳐 놓았다. 화학물질의 남용은 땅을 산성화시키고 딱딱하게 만들었다. 그건 농사짓는 데 더 많은 물이 필요하다는 뜻이며, 그만큼 비용이 많이 든다"라고  Organic India의 Narendra Singh은 말한다. "화학물질은 농업에서 가장 큰 문명을 죽였다 –농사를 위해 가장 좋은 흙을 만드는 지렁이를."

Maharashtra의 Jalgaon 지구에 사는 35살의 농부 Umesh Vishwanath Chaudhari는 자신의 2,4000평 농지의 수확량이 급감한 일을 겪은 뒤 7년 전 유기농업으로 전환했다. 그는 고대의 베다 과학을 사용하는 유기농법에 대한 책을 발견했다. 그는 소의 똥오줌, 꿀, 부엽토와 같은 재료를 사용하는 자연적인 비료와 농약을 만들기 시작했다 –두엄을 만들고자 지렁이를 사용하는 과정. 그 이후 그의 수확량과 수입은 40%까지 올랐고, 흙에는 벌레들이 돌아왔다. 그는  Pune와 Mumbai, 기타 도시에 있는 유기농 상점에 라임, 커스터드 애플, 북채를 파는 한편, 그의 면화는 농촌의 NGO Morarka에서 사들인다.

그는 6000평에 유기농 면화를 심고, 구입하기보단 자신의 거름을 직접 만드려고 10마리의 소를 살 계획이다. "농약과 화학비료 대신 거름을 사용하는 것은 비용을 절반까지 줄이고, 난 이런 생산물로 할증료를 얻는다"고 그는 말한다. "난 스쿠터를 몰고 다녔는데, 지난 몇 년 사이 오토바이와 자동차를 살 여유가 생겼다 –심지어 두 대의 트랙터도."

농업대학을 나온 43살의 Udday Dattatraya Patil은 그의 작물이 영양분의 결핍이 나타나 화학비료 비용이 증가하게 된 뒤 유기농업으로 돌아섰다. 게다가 그의 바나나 작물은 기온 변동과 기후변화로 인하여 만신창이가 되었다. "바나나는 온도 변화에 민감하기에 20%가 쓸모없게 되었다. 유기농 바나나는 이를 견딜 수 있다. 현재는 못쓰게 된 것이 없다"고 그는 말한다. 지금 그는 똥으로 거름을 만들 수 있는 40마리의 암소와 황소 및 부엽토 기구를 가지고 있다. 그의 수확량은 20%, 수입은 30%까지 증가했다.

비록 그가 마을 사람들에게 혁신적인 농업전문가로 일컬어지지만, 그는 Jalgaon 지구의 Chahardi에 있는 3000명 가운데 유일한 유기농 농부이다. "일부가 도전했지만 즉각적인 결과가 나오지 않으면 포기하고 말았다. 유기농업은 노력이 필요하고 유기적인 투입재에 투자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많은 농민이 초기에 수확량이 떨어지는 두려움 때문에 뛰어들기를 주저한다; 좋은 결과는 3년 뒤에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더욱이 Moraka에 따르면 시장은 1년에 500~1000%까지 성장하고 있지만, 먹을거리 시장의 0.1%일 뿐이다. 

Kavita Mukhi는 Mumbai에서 생산자와 소비자가 직거래하는 유기농 농민 장터를 매주 연다. 그녀는 유기농 먹을거리에 관한 의식을 북돋고자 노력하고 있다. "유기농 매장에서 우연히 발견하는 것이 그것에 관해 들을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다"라고 그녀는 말한다. "광범위한 마케팅이나 혜택의 의식이 전혀 없다."

의식이 높아지면, 유기농업 전문가들은 소농에게 유리하기 때문에 더 많은 농민이 운동에 참여할 것이라 믿는다. 그들은 이미 농장 차원에서 바이오매스를 순환시키기 위한 소와 물소를 가지고 있으며, 그것은 근본적으로 유기농업의 토대이다.

"유럽과 달리 인도의 현대적 농업혁명은 아주 오래되지 않았다. 이는 그들이 아직 현대의 화학적 투입재 없이 농사짓는 노하우를 가지고 있다는 뜻이다"고 Moraka의 Mukesh Gupta는 말한다.

유기농업이 인도의 증가하는 식량 수요에 대한 해답이 아니라는 비판자도 있지만, 지지자는 그 방법이 유일하게 빈곤한 농민을 위한 지속가능한 방식이라고 말한다.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