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품종41 농촌진흥청에서 유전자변형 벼를 개발했다 몬산토는 멀리 있는 것이 아니다. 바로 우리의 곁에도 존재한다. 농촌진흥청에서 물바구미를 스스로 쫓는 벼를 개발했다고 떠들썩하다. 'BT 옥수수'와 같은 'BT 벼'라고 한다. 이를 가지고 단지 농약을 치지 않는다는 이유로 "친환경적으로" 물바구미를 방제한다고 선전한다. 그런데 과연 .. 2013. 10. 10. 2008년 한중일 농업사학회 발표자료 http://www.agri-history.kais.kyoto-u.ac.jp/East-Asian2008/proceedings.pdf P-1 岩本純明 (도쿄농업대학) 근대 일본의 공업화와 농업 부문 P-2 구자옥(전남대 명예교수), 이은웅(서울대 명예교수), 이병렬(한국 기상청) 한국의 벼농사 재배 및 품종의 변천사 ―근대화 과정을 중심으로 P-3 王思明(난징농업대학 .. 2013. 7. 10. 왜 슈퍼마켓에는 5가지의 사과밖에 없는가 현대의 인류는 그 어느 시기보다도 풍요로운 축복 속에서 살아가고 있다. 대형마트나 시장에 가면 진열대마다 먹을거리들이 넘쳐나고, 식당에 가도 식재료가 끊이는 법 없이 줄기차게 요리가 나온다. 그런데 과연 우리는 풍요로운 것이 맞는가? 우리가 먹는 음식에 쓰이는 식재료들을 가.. 2013. 7. 9. 다양한 닭의 품종과 토종 닭 외쿡에선 요즘 '뒤뜰 양계(Backyard Poultry)'라는 형태의 닭 키우기가 유행처럼 번지고 있다. 그런데 여기서 어떤 닭을 키우느냐, 그게 사람마다 자기가 좋아하는 품종의 닭을 키운다는 말씀. 대형 양계장에서는 생산성만 극대화시킨 닭 품종을 키우지만 개인이 소규모로 몇 마리 키우는데 내.. 2013. 6. 14. 영양가 없는 품종 개량 현대의 품종은 주로 '다수확'에 초점을 맞추어서 개발된 것들이 대부분이다. 기능성을 강조한 품종도 일부 있지만, 그것들도 기본적으로는 안정적인 '다수확'이 가능해야 한다는 전제에서 자유롭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양이 되지 않으면 돈이 되지 않는 현실에서, 안정적으로 대량생산.. 2013. 6. 2. 벼 품종과 쌀 소출 우리나라가 근대적인 벼 품종개발 연구를 시작하게 된 것은 1906년에 대한제국 권업모범장(勸業模範場)이 설치되면서부터 라고 볼 수 있다. 이때 일본은 조선의 근대화를 도와준다는 미명아래 이와 같은 기관을 설치하게 하였지만 그 속셈은 한반도를 그들의 식량기지화함과 동시에 식민.. 2013. 2. 11. 이전 1 ··· 3 4 5 6 7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