풀32 풀과 작물은 다르다 아무것도 투입하지 않은 흙에서 풀이 싹트는 걸 가지고 이미 흙에 많은 게 있으니 작물을 재배하면서도 아무것도 넣지 않아도 된다고 설파하는 주장은 미심쩍다. 물론 그럴 수도 있지만, 꼭 그렇지만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풀 같은 경우는 땅속에서 몇 년이나 잠들어 있으면서 자신이 .. 2016. 3. 15. C4 벼 프로젝트 대부분의 작물이 C3 광합성을 하는 식물이고, 대부분의 풀들이 C4 광합성을 하는 식물이라고 한다. 이 둘의 결정적 차이는 쉽게 이야기하자면(자세한 내용은 나도 잘 모르니 여기를 참조하시길... https://ko.wikipedia.org/wiki/C4_%EC%8B%9D%EB%AC%BC), 더 척박한 환경에서도 잘 자라느냐 아니냐라는 점.. 2015. 11. 10. 유전자변형 작물이 안고 있는 문제의 핵심은 바로 농사이다 유전자변형 농산물의 안전성에만 집중하다가는 문제의 핵심을 놓치기 쉽다. 유전자변형 작물을 개발하여 재배하는 가장 큰 이유는 바로 '풀 문제'라고 생각한다. 실제로 미국에서 재배되는 유전자변형 콩의 거의 대부분 -90% 이상- 이 제초제 저항성 작물이고, 옥수수와 면화의 경우에도 .. 2015. 7. 10. 씨앗을 뜻하는 두 한자 우리는 보통 씨앗을 뜻하는 한자라고 하면 種子를 떠올리기 쉽다. 하지만 한자에는 우리가 생각지도 않게 씨앗을 뜻하는 글자가 두 가지 있다. 그것은 바로 仁과 子이다. 그에 대해 검색하니 다음 링크와 같은 글이 나왔다. http://m.mjmedi.com/news/articleView.html?idxno=1792 전창선이란 한의사가 두.. 2015. 1. 31. 잡초를 먹자 미국에선 요즘 길거리에서 먹을거리를 찾는 운동이 시작되고 있는 모양이다. 땅에 떨어진 음식을 주워 먹자는 것이 아니라, 그전에는 그냥 풀이라 부르며 지나치던 식물을 캐서 먹는 운동인가 보다. 그렇다. 우리는 예전부터 '나물'이란 이름으로 먹어오던 그 식물들 말이다. 몇몇 나물은 .. 2015. 1. 1. 슈퍼잡초의 등장 흥미로운 그래프. 미국에서 유전자변형 작물이 도입된 후 이른바 슈퍼잡초가 증가하고 있다는 이야기. 물론 유전자변형 작물 자체의 잘못이라기보다는 제초제가 만연해진 농업 관행을 짚고 넘어가지 않을 수 없다. 유전자변형 작물을 재배하지 않는 한국의 논에서도 제초제에 내성이 생.. 2014. 6. 2. 이전 1 2 3 4 5 6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