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지수탈28 식량위기를 피하려는 중국의 노력 상하이에서 가장 큰 젠바이Zhenbai 농산물 시장은 도시의 증가하고 있는 신선채소와 육류 수요를 충족시키는 데 도움이 되고 있다. 중국의 14억 인구는 세계가 먹을거리를 재배하고 판매하는 방식을 바꾸고 있도록 식욕을 돋우고 있다. 중국의 식단은 기업들이 베이컨부터 바나나까지 모든.. 2017. 12. 25. 중국이 모잠비크부터 미주리까지 세계의 먹이그물을 잣다 중국의 해외농업 투자에 대한 흥미로운 분석 기사가 있어 옮겼다.그러니까 중국이 먹을거리 확보를 위해 처음에는 개발도상국에서 원재료를 생산하여 운송하는 방식을 취했는데, 그것이 여러 난관 -토지수탈 문제, 지역민의 반발, 해당 국가의 농산물 무역 규제, 들쭉날쭉한 생산량 등- .. 2017. 5. 30. 아프리카의 비옥한 농지가 세계를 먹여살릴 수 있을까 에티오피아의 기근이 발생하기 쉬운 고원에서 농기구와 가축을 이용하여 한 가족이 밀을 수확하고 있다. 교육은 소농이 더 효율적적으로 일하는 데 도움이 되지만, 밀 수확량은 여전히 세계 평균의 1/3 이하이다. 에티오피아 인구의 1/3 이상이 영양부족 상태이고, 정부에서는 이를 줄이고.. 2014. 6. 29. 토지수탈로 빈곤에 빠지는 라오스의 농민들 Photo: Martin Abbiati/IRINMost people depend on the land for their livelihoodsBAN HOUYTHAO, 22 May 2014 (IRIN) - "Land grabs" in Laos are driving poor farmers, including ethnic minorities, off their land, away from livelihoods they know and into further poverty, activists and experts say. “When these lands [are given] to companies and converted to industrial agriculture or o.. 2014. 5. 26. 탄자니아 농민들, 토지수탈로 생물연료 투자자를 고소하다 선진국은 기후변화를 막는다며 친환경 에너지의 사용을 적극 권장하고 있다. 그 가운데 하나가 생물연료이다. 온실가스 배출의 주범인 석유를 사용하지 않으니 괜찮다며 추진하지만, 그걸 생산하기 위해서는 자신들의 땅이 아닌 개발도상국의 빈(?) 땅에 가서 원료를 생산해야 한다. 그.. 2013. 7. 22. 씨앗을 위해 투쟁하는 비아 깜페시나 지난 월요일 유기농민들의 끊임없는 항소에 대하여 미국 법원은 몬산토와 그 특허받은 종자의 손을 들어주었다. 미국 대법원이 다시 한 번 만장일치로 농업계 거인의 '라이센스 계약'을 긍정한 지 한 달 만에 그 결정은 소농 공동체에 또 다른 타격을 주었다. 사진: 비아 깜페시나의 Tineke .. 2013. 6. 18. 이전 1 2 3 4 5 다음 반응형